•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extracts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5초

성숙도에 따른 대추(Ziziphus jujube Miller)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Ziziphus jujube Miller Fruits During Maturation)

  • 홍주연;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12-719
    • /
    • 2010
  •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미숙 대추에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았고, 10.0 mg/mL의 농도에서는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같이 90% 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 하였으나, 미숙 대추의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미숙 대추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는 39.92%의 SOD 유사활성능을 확인되었다. 대추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와 추출물의 1.0 m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미숙 대추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미숙 대추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한 시료인 미숙 대추, 완숙대추, 건조 대추에는 항산화 물질의 대표적인 폴리페놀 물질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로서 항산화성도 우수한 것으로 보여 천연항산화제나 기능성 식품 및 다양한 식품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 var. koreana) 과병 열수추출분획물의 간보호 및 혈중 알콜 저하 작용 (Hepatoprotective and Blood Alcohol Lowering Effects of Fruit Peduncle Extract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in the In Vitro and in Vivo Animal Models)

  • 나천수;정남철;양규환;김세현;정하숙;동미숙
    • 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4-40
    • /
    • 2004
  • Hovenia dulcis which is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Japan is known to show hepatoprotctive effect and reduce the acute alcohol toxicity. In this study, the hepato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chemically induced experimental liver injury models and lowering effect of blood alcohol level in animal models acutely administered alcohol by the peduncle extract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were investigated. HdfHW-1, and HdfM-1 which are the extracts of fruit peduncles and young branches with hot water or 70% methanol and followed with 100% methan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CCl_4$ or D-galactosamine/LPS induced damage in sliced liver. The hot water or methanol extracts of fruit peduncle protected dose-dependently against $CCl_4$ induced toxicity in primary hepatocyte culture and particularly, the amount of LDH release was reduced to the control level at 500 $\mu\textrm{g}$/ml of hot water extracts. HdfHW-1 also decreased the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 in rats. The active components of HdfHW-1 seemed to be high molecular weights because 0.2 M NaCl HdfHW-1 fraction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NaCl fractions of HdfHW-1 elu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NaCl on DEAE 650C column chromatography. HdfM and HdfHW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blood alcohol in rats and mice administered 40% alcoh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ot water or methanol extracts of fruit peduncle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have hepatoprotective effect and may be reduce alcohol toxicity.

적송잎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성 성분에 대한 proanthocyanidin의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검증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 이옥희;김기영;장민경;유기환;김성구;김미향;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3-219
    • /
    • 2008
  • 솔잎에 포함되어 있는 flavonoid들은 free radical 소거능이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중 특히 proanthocyanidin은 심장혈관 보호작용과 항산화 활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리산 적송잎으로부터 열수, 에탄올, 헥산 및 아임계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폴리페놀성 물질 중에 포함된 proanthocyanidin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성 물질 및 proanthocyanidin의 농도가 열수 추출물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을 추출물, 헥산 추출물, 아임계 추출물 순으로 낮아졌다. 한편, 각 추출물들의 총 폴리페놀성 물질의 농도에 대한 proanthocyanidin의 함량을 계산한 결과, 아임계 추출물의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헥산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열수 추출물 순으로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적송잎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은 농도의 총 폴리페놀성 물질 및 proanthocyanidin이 포함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임계 추출물의 경우 비록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성 물질의 농도는 낮지만 이들 대부분이 proanthocyanidin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각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경우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타나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으로부터 4가지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기능성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므로 솔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추출 가공법 선택에 있어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ROS 생성에 대한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Nelumbo nucifera Gaertner flower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오지원;이진하;이옥환;김계훈;김혜란;이효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44-7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ROS생성 저감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축적과 ROS 생성을 관찰하였다.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XTT assay에서 100, 200 및 $400{\mu}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및 aP mRNA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ROS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주요 유전자인 NOX4 및 catalase의 유전자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효과와 더불어 ROS 생성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비만과 같은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솔잎과 쑥 추출물의 기능성 점토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 강윤한;박용곤;오상룡;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8-984
    • /
    • 1995
  • 솔잎과 쑥의 기능성 검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수 및 70% acetone으로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의 항변이원성,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작용, 전자 공여작용, polyphenol oxidase(PPO)에 대한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 항산화 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의 열수 및 70% acetone 추출물 모두 총 polyphenol 성분 중 flavanol형 tannin의 함량이 60% 이상이었고, 간접변이원인 Trp-P-1을 이용한 항변이원성 실험결과 70% acetone 추출물은 처리구는 82.2%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ACE 저해작용은 열수 추출물이 61%로 70% acetone 추출물의 50%보다 저해능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두가지 추출물 모두 8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나리에서 분리한 PPO 조효소에 대한 70% acetone 추출물의 저해효과는43%로 나타났고 또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산성 부근(pH 3.0)에서 각 추출물 모두 $80{\sim}90%$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쑥추출물의 경우 항변이원성은 70% acetone 추출물이 84.1%로 솔잎과 유사하였으나 ACE 저해작용은 열수 추출물이 75.1%로 acetone 추출물의 57.6%보다 높았고, 전자공여 작용은 두 처리구 모두 45% 정도였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솔잎에 비해 $20{\sim}30%$ 분해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솔잎 열수 추출물을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얻은 분획물을 대두유에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 항산화성을 조사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효과가 있었다.

  • PDF

민들레 뿌리 물 추출물의 마우스 선천 및 획득 면역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Root of Taraxacum officinale on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in Mice)

  • 윤택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5-282
    • /
    • 2008
  • Hot-water($100^{\circ}C$) and cold-water($4^{\circ}C$) extracts of Taraxacum officinale root were assessed for the effects of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in mice. Hot water extracts(TO-100) and cold water extracts(TO-4)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of macrophages at concentrations below to 18 mg/ml and 8 mg/ml, respectively. The thioglycollate-induced macrophages cultured with TO-100 and TO-4 produced a significantly higher quantity of various cytokines, such as IL-6 and IL-12, than those treated with medium. This shows that the extracts potently stimulated the innate immune response. When mice were subcutaneously immunized(sc) with OVA+FIA(Freund's incomplete adjuvant)-emulsified TO-100, TO-100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IgE, but enhanced the production of IgG1, IgG2a and IgG2b. The culture supernatant obtained from the splenocytes of mice treated with OVA+FIA-emulsified TO-100 also evidenced elevated levels of both OVA-specific Th1-type(IFN-$\gamma$) and Th2-type cytokines(IL-4, IL-6 and IL-1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100 can modulate the immune responses to allergens in mice.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of Hovenia dulcis Thunb Fruits

  • Hu, Weicheng;Lee, Kab-Yeon;Wang, Myeong-Hye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7-213
    • /
    • 2010
  • Hovenia dulcis Thunb fruits were successively extracted with hot water, water, methanol,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The crude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potential antioxidant by measuring scavenging against DPPH free radicals, reducing power, superoxide radicals, and protection of protein damage and cultured cells from a lethal dose of hydrogen peroxide ($H_2O_2$). In all chemical assays used, the hot water extract of H. dulcis fruits, which contained $61.14{\pm}2.57$ (Tannic acid mg/g extract, n=3) of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s exhibited highest activity in in vitro models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ssay,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on of protein damage. In addition, the hot water extract protected cultured RAW 264.7 macrophages from a lethal dose of $H_2O_2$ and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 in RAW 264.7 cells.

Effect of Pleurotus ferulae Extracts on Viability of Human Lung Cancer and Cervical Cancer Cell Lines

  • Choi DuBok;Cha Wol-Suk;Kang Si-Hyung;Lee Byoung-Rai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5호
    • /
    • pp.356-361
    • /
    • 2004
  • When SiHa cells were incubated for varying periods of time with extracts of PFF and PFM, the cytotoxic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PFF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tracts from fruiting bodies of p. ferulae contain antitumor Substances. When A549, SiHa and HeLa cells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FF and PFM extracts, the ethanol extracts of PFF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A549 tells at concentrations over $10{\mu}g/mL$ and against SiHa and HeLa cells at concentrations over $40{\mu}g/mL$.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cytotoxic effects of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FM and the hot water extracts of PFF on all 3 cancer cells were not significant. Also, the PFF ethanol extracts induced synergistic effects on the TRAIL-induced apoptosis in A549 cells, which were strongly resistant to TRAI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s of PFF were the most prominent antitumor agents toward lung cancer cells (A549).

망태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β-glucan, and amino acid contents of Phallus indusiatus)

  • 안기홍;조재한;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망태버섯의 성숙한 자실체(fruiting body)와 균모와 자루가 돌출하기 전의 에그(egg)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 중에서 항산화 활성과 베타글루칸 함량,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방법 별로 열풍 건조한 시료와 동결 건조한 시료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망태버섯의 에그의 열풍건조 후 열수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각각 59.4%와 15.6%로 자실체 추출물 시료에 비하여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도 역시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열수추출물에서 8.25 mg GAE/g의 함량치를 가장 높았다. 망태버섯 에그의 열풍건조 시료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45.9%로 나타나 자실체 및 동결건조 시료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자실체와 에그의 건조시료로부터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망태버섯 에그 건조시료 대부분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자실체의 건조시료 함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망태버섯 자실체와 에그에서 가장 높은 함량치를 보인 아미노산 성분은 비필수 아미노산인 시스테인(Cys)으로 에그에서는 205.6 mg/kg의 함량치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높은 성분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과 비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탐산(Glu) 이었다. 본 연구의 야생 식용버섯으로 잘 알려진 망태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은 열풍건조에 의한 건조시료로부터 추출하였을 경우 효능이 더 높았으며,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함량은 망태버섯의 자실체에 비하여 에그의 추출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조건에 따른 구기자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xthorn(Lycii fructus) Hot Water Extracts by Roasting Conditions)

  • 이부용;김은정;최희돈;김윤숙;김인환;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8-772
    • /
    • 1995
  • 건 구기자와 볶음조건을 달리한 볶은 구기자의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건 구기자의 일반성분은 수분 17.5%, 회분 5.4%, 지방 14.7%, 단백질 18.9%, 섬유질 12.8%, 당질 31.7%였다. 열수 추출시 추출수율은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이 더 빨리 추출되었으며, 색도는 명도가 감소하고 적색도가 증가하여 추출물이 더 진한 갈색을 나타내었고 탁도 역시 증가하였다. pH는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5.08에서 4.38로 감소하였고 산도는 0.09%에서 0.16%로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특히 glucose함량이 0.45%에서 0.12%로 크게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건 구기자에 비해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linoleic acid의 비율이 감소하고 palmitic acid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단 냄새, 탄 냄새, 신 맛, 탄 맛, 떫은 맛 등은 증가하였고 단 맛과 구수한 맛은 약간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