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extracts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7초

손바닥 선인장 (Opuntia humifusa) 줄기 추출물의 생리활성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Opuntia humifusa Cladode Extracts)

  • 윤민선;유재수;이근광;김명곤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117-121
    • /
    • 2012
  • 손바닥 선인장(Opuntia humifusa) 줄기 열수와 75% 에탄올 추출물의 일부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전자공여능은 열수 추출물에서 79.07%, 에탄올 추출물에서 82.54%를 보였다. 각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은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100 ${\mu}g/well$)한 경우에서 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수 추출물은 HeLa와 AGS 세포주에서 50% 이상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항균 효과를 조사한 결과 그람 음성세균인 S. aureus KCCM 11593에 대해서는 물과 75% 에탄올 추출물에 있어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세균에 있어서는 항균 효과가 없었으며, 오히려 세포 생장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O 생성 저해 효과에 있어서는 물 추출물(34.31%)이 에탄올 추출물(25.59%)에서 보다 더 항염증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구지방세포(3T3-L-1)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방세포의 분화가 증가되어 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80과 100 ${\mu}g/mL$처리구 에서는 분화촉진제인 IBMX + dexamethasone의 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분화정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천년초 줄기는 항염, 항균, 항산화, 항암효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앞으로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성 식품과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hodosporidium toruloides를 활용한 비트 열수추출물의 중성지방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of Beta vulgaris L. on Triglyceride Biosynthesis Using Rhodosporidium toruloides)

  • 강주원;;안병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5-42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Rhodosporidium toruloides를 활용하여 비트 열수추출물의 중성지방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조구, 실험대조구, 비트 열수추출물, 30% 및 6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YPD 배지에서 배양한 유지효모의 중성지방의 함량은 각각 8.76, 3.43, 2.87, 3.16 및 3.64 mg/dL로 나타났으며, 유지 효모의 세포수는 각각 10.48, 8.46, 12.40, 12.80 및 $8.24{\times}10^3cell/mL$로 나타났다. 대조구, 실험대조구, 0.02, 0.1 및 0.5% 비트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유지효모의 총 지질 함량은 각각 112.29, 38.90, 147.87, 211.36 및 291.89 mg/g로 나타났으며, 유지효모의 중성지방의 함량은 각각 6.02, 2.83, 2.38, 1.37 및 0.73 mg/dL로 나타났다. 대조구, 실험대조구, 0.02, 0.1 및 0.5% 비트 열수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유지효모내 소량의 형광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실험대조구, 0.02, 0.1 및 0.5% 비트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유지효모의 세포수 증가율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4, 21, 82 및 103%로 증가하였다. 유리지방산과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비트 열수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Negativ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awdust on Mycelium Growth of the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 Choi, Myung-Suk;Yang, Jae-Kyung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0-114
    • /
    • 2005
  • Extracts from sawdust of Pinus densiflora were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entinula edodes. It was extracted by hot water and then successively extracted by n-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The yields of the n-hexane-soluble, ethyl acetatesoluble, methanol-soluble and methanol-insoluble fractions of water extracts were 8.2%, 10.6%, 32.0%, and 49.2%, respectively. The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41.5% inhibition at 1,000 ppm.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antifungal activities between n-hexane-soluble fraction and methanol-soluble frac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hot water extracts showed 23.5% of antifungal activity against L. edodes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four antifungal compounds were separ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솔잎 및 녹차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 김수민;조영석;성삼경;이일구;이신호;김대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2002
  • 솔잎과 녹차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반응 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검토하였다. 각종 항산화제와 항산화력 비교에서 추출물 농도별 지방산화 억제능력은 0.1%보다는 0.3%가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고, iron sources에 대한 binding 능력은 열수추출물이 우수하였다. Deoxyribose상에서의 hydroxyl radical 포집능력은 솔잎과 녹차 에탄올추출물이 대조구 보다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iron 함량은 솔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녹차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열수추출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각종 항산화제에 비하여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의 감소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0.3%의 솔잎과 녹차 추출물은 pH 1.2와 pH 3.0에서 95%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ascorbic acid 자체보다도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각종 육제품 제조시 첨가물로서 산화방지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제로서의 사용을 시사하는 것이다.

넓미역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Undariopsis peterseniana)

  • 조명래;윤성진;김윤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273-280
    • /
    • 2013
  •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from Undariopsis peterseniana were determined,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tOH) and hot water extracts of U. peterseniana were investigated using DPPH (1,1-diphenyl-1-picrylhydrazyl), ABTS (2,2'- 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reducing power.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were 12.5%, 23.1%, 9.7%, 0.2% and 54.5%, respectively, and alginic acid content was 12.3%. The major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alanine, phenylalanine, aminoethanol, valine, glutamic acid and phosphoserine. Ca (1589.1 mg) was the largest mineral followed by Na (344.6 mg), Mg (74.3 mg), Zn (10.2 mg) and Fe (1.5 mg).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EtOH and hot water extracts were exhibited at 15.7 and 4.3 mg GAE/g sample,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OH extract exhibited strong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reducing power, and hot water extract also demonstrated strong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 peterseniana contained an abundance of naturally occurring nutrient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an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of EtOH and hot water extracts from U. peterseniana could be good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for healthcare products.

Screening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s and Medicinal Herbs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Kim, Yun-Jin;Park, One-Kyun;Kim, Yong-Seong;Kim, Hong-Kyoon;Kim, Wa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386-396
    • /
    • 2002
  • This study screened 76 Korean traditional patent medicines and 58 medicinal herbs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mong the prescriptions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Samsoum, Chujunghwang-yont'ang, and Sashinhwan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and Chujunghwang-yont'ang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the medicinal herbs,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Terminalia chebula, Caesalpinia sappan, and Coptis chinensis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y, Shigella sonnei and Salmonella typhimurium. An interesting characteristic of the traditional medicines such as Samsoum, Chujunghwang-yont'ang, and Sashinhwan was that both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ere active. Chujunghwang-yont'ang exhibit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microorganisms tested.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Terminalia chebula, Caesalpinia sappan, and Coptis chinensis showed the strong of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all microorganisms tested.

양파 수확 후 잔재물을 이용한 발효 및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세포독성 분석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nd Hot Water Extracts Using Residues after Onion Harvest)

  • 김태원;이건희;전병균;이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63-116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파 수확 후 버려지는 잔재물의 활용가치를 위해 이들로부터 추출한 발효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세포독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pH는 모두 산성을 나타내었고, 유기물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0.75%로 열수 추출물의 0.19% 보다 4배 많이 함유되었다. 다량원소 중 칼륨성분을 제외한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성분의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 보다 높게 나타내었고, 미량원소 중 철과 규소성분의 함량도 발효 추출물에서 열수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반면에 붕소성분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발효 추출물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추출물에서 $16.2{\pm}3.3mg{\cdot}g^{-1}$로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인 $14.6{\pm}1.4mg{\cdot}g^{-1}$ 보다 $1.6mg{\cdot}g^{-1}$ 높게 나타내었다. 반면에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4.8{\pm}0.7mg{\cdot}g^{-1}$로서 발효 추출물의 함량인 $0.1{\pm}0.1mg{\cdot}g^{-1}$ 보다 $4.7mg{\cdot}g^{-1}$ 높게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력은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발효 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발효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101.6%와 97.9%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 모두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미나리 추출물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s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thanol Extracts)

  • 원범영;신기영;하현지;윤여상;김예리;이형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82-887
    • /
    • 2015
  • 본 연구는 미나리의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에탄올추출 농도가 미나리의 영양학적 성분 변화에 미치는 정도를 관찰함으로써 진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열수추출물, 에탄올추출물(50%, 80%, 95%)로 추출 농도를 다르게 하여 미나리를 추출하였다. 수율을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4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50% 에탄올추출물에서 단백질 함량이 6.76%, 탄수화물 함량이 19.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 함량은 열수추출물과 비교하여 에탄올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에탄올추출 농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P<0.05). 식이섬유를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추출물을 제외한 에탄올추출물(80%, 95%)에서 열수추출물과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0.05), 두 실험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총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은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고(P<0.05), 에탄올 농도에 따라서도 유의차를 나타냈으며(P<0.05), 95% 에탄올추출 시 5.35%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비타민 A 함량은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에탄올추출 농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P<0.05). 무기성분 측정 결과, 나트륨, 칼슘, 철의 경우 열수추출물에 대해 에탄올추출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에탄올추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에탄올추출 방법을 사용 목적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미나리를 이용한 우수한 가공식품 개발 가능성과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감마선 조사한 오미자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Tyrosinase와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by Gamma Irradiation)

  • 전태욱;조철훈;김기혁;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9-374
    • /
    • 2002
  • 오미자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tyrosinase 저해, xanthine oxidase 저해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열수, ethanol, methanol 그리고 acetone등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과 30 kGy로 조사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모두 tyrosinase 저해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 후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는 열수 추출물보다 용매 추출물이 저해 효과가 높게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실험 결과, 오미자 추출물은 열수 및 용매 추출물 모두 저해력을 나타내었으며, 감마선 조사는 xanthine oxidase 저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 그리고 6.0으로 측정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pH 1.2와 3.0 에서 높은 소거력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은 methanol, ethanol 그리고 acetone 추출물보다 아질산염 소거능이 훨씬 높게 나타내었다. 감마선을 30 kGy까지 조사하였을 때, 오미자 추출물의 생리 활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ntitumo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Fruiting Body of Phellinus linteus

  • Lee, June-Woo;Baek, Seong-Jin;Bae, Woo-Chul;Park, Jeong-Min;Kim, Yong-Seok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30-235
    • /
    • 2006
  •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linteus were extracted by hot water and alkali methods. Sugar contents of PL-H (hot water extract) and PL-A (alkali water extract) were 81.1%, 37.4% and protein contents were 6.2%, 21.8%, respectively. Amino acid pattern showed that two extracts contained large amount of aspartic acid and alanine. Two extracts showed characteristic IR absorption pattern for glycosidic bond at $890\;cm^{-1}$. PL-H was divided two fractions b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the molecular weights of each fraction were estimated to be about 10 kD and 225 kD, respectively and also PL-A was estimated 10 kD. Two extracts showed strong antitumor, immunomodulat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ized glycopeptide anticancer 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