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7초

띠미로 버섯 추출물의 항암효과

  • 양규호;양정희;류병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8-182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particutarly focusing on the antitumor effects of extracts obtained from mushroom, Daedalea dickinsii against Hela cell, Hep $G_{2}$, cell, L 929 cell and Sarcoma-180. Antitumor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Daedalea dickinsii against Hela cell showed at the highest level of 70% when adiministrated at the concentration of 1.5 mg/100 ml, however Hep $G_{2}$, cell inhibited 40%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hot water extracts. Antitumor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Daedalea dickinsii against Hela cell indicated at the highest level of 60% when 4 mg/ml was administerated. Antitumor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Daedalea dickinsii inhibited 51.03% against L929 cell. The solid tumor sarcoma-180 growth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 of Deadalea dickinsii inhibited 45.67% when administrated at the concentration of 60mg/kg, and the life prolongation was higher 30.88% than that control group.

  • PDF

느릅나무 근피 추출물에 의한 인체 암세포 증식 및 DNA 합성 억제효과 (Effect of Extracts from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on Inhibition of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32-1236
    • /
    • 2007
  • 인체 암세포계(MG-63 골육암 세포, HT-29 인체 결장암세포, K-562 백혈암세포)를 이용하여 느릅나무 근피 메탄올 추출물, 열탕 추출물 및 즙액에 의한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느릅나무 근피 메탄올 추출물, 열탕 추출물 및 즙액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인체 골육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인체 결장암세포와 백혈암세포에서도 느릅나무 근피 메탄올 추출물, 열탕 추출물 및 즙액은 낮은 농도인 1 mg/ml에서부터 활성을 나타내어 40% 이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앞서의 MG-63 골육암 세포에서 보다 그 증식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느릅나무 근피 메탄올 추출물, 열탕 추출물 및 즙액을 골육암과 결장암세포에 투여한 2일 후에 세포내의 DNA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따라서 느릅나무 근피 추출물은 인체 암세포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으며 열탕 추출물에서도 항암활성 효과를 보여 느릅나무 근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은 열에 안정한 것으로 여겨진다.

늙은 호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 강윤한;차환수;김흥만;박용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1997
  • 늙은 호박의 기능성 검토를 위하여 껍질, 과육, 섬유상 물질 및 가식부의 4 부위를 열수, 70% 아세톤, 70% 메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과육의 경우 63.7∼68.2%를 나타내었다. pH는 70% 아세톤 추출물에서 5.01∼5.45였고, 열수 추출물이 5.78∼6.22로 나타났으며, 부위 중에서 과육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 부위는 과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섬유상 부위, 총당은 과육, 섬유상, 껍질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은 것을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용매 종류를 볼 때 껍질, 과육 부위의 경우 열수 추출물, 섬유상, 가식부의 경우 아세톤과 메탄올로 추출할 경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과 가식부는 메탄올, 섬유상 물질은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것을 나타났다. 특히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의 크기는 총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

  • Kim, Kyung Soon;Roh, Kwang 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7-354
    • /
    • 2013
  • Apple and pear are popular fruits consumed in Korea and are common fruit in daily diet. In order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pple and pear peel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from hot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two fruit pee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95% methanol extracts of the apple peelsand 70% ethanol extract of the pear peels,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pear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apple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pear peels. The apple and pear peels had the highest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95% methanol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ar peels was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s were detected in hot water, 95% m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scorbic acid, a synthetic antioxidant used as positive control, had significant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apple and pear peels. In conclusion, the apple and pear peelshave great potential as natural antioxidants. Therefore, abov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antioxidants.

갈색먹물버섯 자실체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항당뇨, 항콜린에스테라아제, 항티로시나아제 및 Nitric oxide의 저해 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ti-diabetic, anti-cholinesterase, tyrosinase and nitric oxide inhibitory potential of fruiting bodies of Coprinellus micaceus)

  • ;이민웅;윤기남;김혜영;진가헌;최재혁;임경환;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0-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해 갈색먹물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 항당뇨, 항콜린에스테라아제, 항티로시나제와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pr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naringin 등 총 4종류의 페놀성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항산화 효과 실험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에 비해 낮았지만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고, 철 이온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는 메탄올과 열수 추출물이 양성대조군인 BHT에 비해 30% 높게 나타났으나 환원력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43%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당뇨 실험에서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저해효과는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2.26%와 67.59%를 보여 양성대조군인 acarbose의 81.81%에 비해 낮았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저해효과는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94.64%와 74.19%를 보여 양성대조군인 galanthamine의 97.80%에 비해 낮았다.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저해효과는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91.33%와 91.99%를 나타내 양성대조군인 kojic acid의 99.61%와 매우 유사한 효과를 얻었다. 염증저해 효과 실험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배지에 갈색먹물버섯 자실체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전 처리 한 후 염증매개 물질인 LPS를 투여하여 메탄올과 열수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갈색먹물버섯의 자실체에는 항산화, 항당뇨, 항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항티로시나아제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천연 건강식품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Different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Fruiting Bodies

  • Alam, Nuhu;Yoon, Ki-Nam;Lee, Kyung-Rim;Shin, Pyung-Gyun;Cheong, Jong-Chun;Yoo, Young-Bok;Shim, Mi-Ja;Lee, Min-Woong;Lee, U-You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295-301
    • /
    • 2010
  •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leurotus ostreatus fruiting bodies extracted with acetone, methanol, and hot wat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tested against $\beta$-carotene-linoleic acid, reducing power,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ous chelating ability. Furthermore, phenolic acid and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analyzed.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beta$-carotene-linoleic acid inhibition as compared to the other exracts. The acetone extract (8 mg/mL) showed a significantly high reducing power of 1.54 than the other extracts. The acetone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extracts for scavenging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 The strongest chelating effect (85.66%) was obtained from the acetone extract at 1.0 mg/m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P. ostreatus fruiting bod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detected seven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naringenin, hesperetin, formononetin, and biochanin-A in an acetonitrile and 0.1 N hydrochloric acid (5 : 1) solvent extract.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centration was $188{\mu}g$/g. Tyrosinase inhibition of the acetone, methanol, and hot water P. ostreatus extract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thanol extract had good tyrosinase inhibitory ability, whereas the acetone and hot water extracts showed moderate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s tes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P. ostreatus may have potential as a natural antioxidant.

生附子와 修治附子에 관한 毒性연구 : 급성 및 아급성 독성과 Aconitine 알칼로이드 함량분석 (TOXICOLOGICAL STUDIES ON RAW AND PROCESSED (PREBREWED) ACONITI TUBERS; ACUTE, SUBACUTE TOXICITY STUDIES AND ASSAY OF ACONITINE ALKALOIDS)

  • 박한수;김승희;김부영;장일무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41-49
    • /
    • 1990
  • Aconiti Tuber is the root of Aconitum sp (Ranunclacea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 having cordiotonic, diuretic and analgesic effect.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known that Aconiti Tuber contained toxic agent, aconitine alkaloids so that only processed Aconiti Tubers have been used as herbal drug traditionally.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processed Aconiti Tube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conitine and acute, subacute toxicity test were performed on 5 commercial processed Aconiti Tubers. Arapid and precise method using HPLC has been developed for th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aconitin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hydrochloric acid (pH3) and hot water decoction. In case of d-HCL extracts, the contents of aconitine were from 0.08 mg/g to trace. But in case of hot water decoction extracts, the contents of aconitine were not detected. For the investigation of Aconiti Tuber toxicity in rats, hot water decoction samples and methanol extracts were tested. 1) Acute toxicity test Hot water decoction sample and methanol extracts from Aconiti Tuber did not show any toxic effects in rats by an oral administration. $LD_50values of 2 extracts were above 10.0 g/kg. 2) Subacute toxicity study In the repeated administration study, hot water decoction samples were given orally to Sprague-Dawlay rats for 2 week at daily doses of 5.0 g/kg. The results are as follows; No toxic manifestation, body weight changes and lethality were observed during wxperimental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serum enzyme activities such as GOT, GPT, LDH, ALP between treated and control groups. However CPK values were decreased in the Subuja-treated group. (P<0.01). In addition, no gross and microscopic changes were noted in Aconiti Tuber-treated groups.

  • PDF

추출 방법에 따른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Cryptomeria japonica Leaves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s)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세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495-510
    • /
    • 2017
  • 본 연구는 삼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잠재적인 천연 항산화제로의 적용 가능성 구명에 관한 연구이다. 삼나무 잎 추출물은 세 가지 추출방법에 의해 정유, 메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로 획득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 하였고, 대조구와 비교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FRAP 활성, zanthin oxidase 저해활성, 철이온 chelate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정유의 항산화 활성보다 우수했다. 정유가 함유하고 있는 테르펜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비교적 낮은 성분으로 사료된다. 활성이 우수했던 메탄올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은 다양한 유기용매(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methanol, ethanol, acetone)와 물을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였고, 메탄올 추출물의 acetone 및 물 분획물, 그리고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분획물이 천연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거나,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 높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냈기 때문에 삼나무 잎 추출물은 수산기 및 당류를 가지는 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맛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Pholiota nameko Fruiting Bodies)

  • ;신도빈;이수민;임경환;이태수;이우윤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7-10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맛버섯의 자실체로부터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이용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나 토코페롤에 비해 낮았지만 다른 종류의 버섯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금속이온 제거 항산화 실험에서는 맛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양성대조군인 BHT나 토코페롤에 비해 월등하게 높아서 맛버섯의 자실체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맛버섯의 항염증 저해 효과 실험에서는 RAW 264.7 대식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배지에 맛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및 열수 추출물로 각각 전 처리 한 후 염증매개 물질인 LPS를 투여하여 맛 버섯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첨가된 맛버섯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된 NO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맛버섯의 추출물이 carrageenan에 의해 흰쥐 뒷발에 유도된 부종 저해 실험에서는 투여한 맛버섯의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흰쥐의 뒷발에 유도된 부종의 용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맛버섯 자실체에 함유된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은 천연 항산화제나 항염증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파래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과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The Anticoagul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nteromorpha intestinalis Extracts)

  • 임은정;조경련;김지영;이유현;효진녕;김영준;조홍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4
    • /
    • 2008
  •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Enteromorpha intestinalis. In order to examine its blood anti-coagulant effects, Enteromorpha intestinalis was extracted with cold water, methanol, hot water, HCl and NaOH. In general, the alkali extract of Enteromorpha intestinalis was approximately 17 times stronger than the control. The anti-cancer effects of select extracts(methanol, hot water, 0.1 N NaOH, 1 N NaOH) were determined in human melanoma cells(Bl6/F10), fibrosarcoma cells(HTl080) and breast cancer cells(MCF7) by MTT assay. With the treatment of 250 ${\mu}g/m{\ell}$ of methanol extracts. HT1080, B16/F10 and MCF7 cell viabilities significantly decreased to 8.06%, 3.62% and 10.10%, respectively. Thus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possibie use of Enteromorpha intestinalis as a function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