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environment

검색결과 919건 처리시간 0.022초

MCFC Off-gas 촉매연소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CFC Off-Gas Catalytic Combustor)

  • 이상민;이영덕;안국영;홍동진;김만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06-412
    • /
    • 2007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sign of a catalytic combustor for 1.6 kW MCFC system has been performed. The roles of the catalytic combustor are to completely burn anode off-gas and to supply sufficient $CO_2$ to cathode channels. In order to avoid hot spot or fuel slippage, flow uniformity at the catalyst inlet was achieved by installing two crossing perforated plates between the catalyst and the mixing chamber with minimal pressure drop. A Pd/Ce/Ni-$Al_2O_3$ catalyst was used for complete combustion of the off-gas at GHSV=36,000.

알루미늄 합금 형재의 열간압출 금형설계 시스템 (A Design System of Dies for Hot Extrusion of Structural Shapes from Aluminum Alloys)

  • 조해용;김관우;최재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1-136
    • /
    • 2002
  • A design system of dies for hot extrusion of structural shapes such as Z's, L's, T's, U's and H's from aluminium alloy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design system of dies is based of estimated die design rule system. The design rules for die design are obtained from the handbooks, plasticity theories and relevant references. The environment of the system is AutoCAD and AutoLISP, the graphic programming language was use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This system includes five major modules such as section shape design module, die opening number module, die opening layout module, die correction module and die bearing design module that are used to determine design variables. This system would be used to design of dies for hot extrusion from aluminum alloys and widely used in manufacturing course.

Landsat TM 영상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로부터의 온배수 확산의 추적조사 (A Tracing Survey of Hot Waste Spread from Nuclear Power Station by Means of Landsat TM Images)

  • 최승필;양인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1-236
    • /
    • 1997
  • 지금까지는 선박등을 이용하여 표본추출등으로 온배수 확산관측이 이루어져 왔으나 온배수의 확산속도, 위상조건, 비용, 범위설정 및 위치결정등의 여러 방해인자등 때문에 동시성, 광역성 및 경제성등의 문제에 있어서 새로운 탐사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면 단시간에 해양환경을 감시 및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보다 상당히 신속하며 정확하게 수온분포와 확산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공위성 영상에 의하여 수온의 조사, 온배수의 유동 및 확산상태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자생식물 열수추출액의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 민상기;박연경;박지연;진성현;김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51-962
    • /
    • 2004
  • 병원성세균에 대한 자생식물 열수 추출물 141종의 항균효능을 검색하였다. 실험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건조 후 열수 추출하여 시료화 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시험 대상 균주로는 그람양성균 7주 및 그람음성균 12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그람양성군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55종이었으며 특히 달맞이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사방소리 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칡(꽃), 이질풀(지상부), 배롱나무(꽃)은 6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를 보였다. 그람음성균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45종이었으며 달맞이 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 사방오리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목련(미성숙과)은 8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스펙트럼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식용 가능하며 항균효능을 보인 달맞이꽃 (꽃), 석류(과피, 꽃),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의 열수 조추출물은 식품 보존제 및 가축 식이사료 등에 첨가하여 병원균 감염예방 등의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남 지역의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 발생 양상 (Pattern of the Occurrenc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Jeonnam Province)

  • 고숙주;강범용;최덕수;김도익;이관석;김창석;최홍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73-280
    • /
    • 2013
  • 전남 지역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병은 나주, 순천, 영광, 신안 등 8개 시군에서 발생되었으며, 영광 지역이 가장 심하였다. 시설재배에서는 주로 고추, 피망, 토마토에 발생하였고, 노지재배에서는 고추의 피해가 컸다. 고추 육묘장에서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발생을 조사한 결과, 나주, 순천, 장흥 지역에서 발병주율은 1.1-30%로 조사되었다. TSWV은 일반적으로 6월 상순에 초발하여 8월까지 지속적으로 발병이 증가하였으나, TSWV에 감염된 묘가 정식된 경우 정식 초기인 5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였다. 시설재배지에서 꽃노랑총채벌레가 대만총채벌레보다 황색점착트랩에 높은 밀도로 채집되었고, 노지고추에서는 대만총채벌레가 꽃노랑총채벌레보다 우점하였다. 동절기 휴경기에 하우스 내와 측창 사이의 잡초를 완전히 제거한 경우에는 방치한 포장에 비해 바이러스 초발일이 1개월 정도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고, 측창쪽에서 가까운 열이 바이러스 발생율이 높았고 측창에서 멀어질수록 발생율이 낮아졌다.

고온하에서 질소시비가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생육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NITROGEN AND AG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SEEDING ON GROWTH AND NODULATION WHEN GROWN UNDER A HOT ENVIRONMENT)

  • 김무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0
    • /
    • 1987
  • 영양액을 사용한 고온하의 Growth chamber에서 근류균을 접종한 Alfalfa의 수양시기별 작물명부위에 대한 실표시비의 영향에 관한여 미국 University of Nevada에서 실험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그장에 대한 실표시비의 효과는 높이 인정되었으나 근장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는 다소의 증가을 보였다. 실표시비의 작물의 용접과 건물수량은 무실표구에 비하여 2배이상의 증가를 보여 실표시비의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근류의 착생수에 있어서도 실표시비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전구 공히 근류균의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Alfalfa 분배시 소량의 실표시비의 장려를 암시하는 것 같다.

  • PDF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플래시 저장 장치에서 잦은 쓰기 참조 흡수가 플래시 변환 계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sorbing Hot Write References on FTLs for Flash Storage Supporting High Data Integrity)

  • 심명섭;도인환;문영제;이효정;최종무;이동희;노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3호
    • /
    • pp.336-340
    • /
    • 2010
  • 플래시 저장장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휴대용 저장매체로 각광 받고 있다. 플래시 저장장치의 착탈성을 고려해 보면, 데이터의 무결성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려는 파일시스템 동작이 플래시 변환 계층(FTL) 기법들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시스템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발생시킨 잦은 쓰기 참조가 플래시 저장장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비휘발성 램을 이용한 잦은 쓰기 참조의 흡수가 플래시 저장장치 내의 FTL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실제 시스템 환경에서 실시된 성능 평가 결과는 잦은 쓰기 참조가 포함된 워크로드들에서 FTL 성능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와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비휘발성 램을 이용하여 잦은 쓰기 참조를 흡수함으로써 FTL 기법들이 플래시 저장장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됨을 실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다.

Use of hot water, combination of hot water and phosphite, and 1-MCP as post-harvest treatments for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f. flavicarpa) reduces anthracnose and does not alter fruit quality

  • Dutra, Jaqueline Barbosa;Blum, Luiz Eduardo Bassay;Lopes, Leonardo Ferreira;Cruz, Andre Freire;Uesugi, Carlos Hidemi
    •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 HEB
    • /
    • 제59권6호
    • /
    • pp.847-856
    • /
    • 2018
  • This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ot water ($43-53^{\circ}C{\cdot}5min^{-1}$; $47^{\circ}C{\cdot}2-6min^{-1}$), 1-methylcyclopropene (1-MCP) at $50-300nL\;L^{-1}$ and a combination of hot water ($47/49^{\circ}C{\cdot}5min^{-1}$) and phosphite $40%\;P_2O_5+20%\;K_2O$;$40%\;P_2O_5+10%\;Zn$) in anthracnose control and the effect on fruit quality [fresh weight loss (FWL-%); pH, total soluble solids ($TSS-^{\circ}Brix$), and titratable acidity (TA = % citric acid (CA)] of passion fruit ( Passiflora edulis f. flavicarpa ) at the postharvest stage. When the fruits were in the stage of 0% dehydration and fully yellow peels, they were disinfested and inoculated with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y were then subjected to the above mentioned treatments; this was followed by incubation for 120 h. The diameter of the disease lesions was monitored daily. After the incubation, a physic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Hot-water treatment resulted in disease reduction at 47 and $49^{\circ}C$ for 4 and 5 min. The combination of hot-water treatment at $47^{\circ}C$ (4 or 5 min) and application of the phosphite of K or Zn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severity in fruits. The 1-MCP treatment reduced anthracnose severity in passion fruit mainly at $200nL\;L^{-1}{\cdot} 24h^{-1} $. None of the treatments significantly chang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uit [FWL (2.6-4.1%); pH (3.2-3.5), TSS ($8.9-10.9^{\circ}Brix$), and TA (1.8-2.5% CA)].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관리 전략 - 김해시를 사례로 -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ilation Paths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Gimhae, South Korea -)

  • 엄정희;손정민;서경호;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5-127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열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바람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8 위성영상자료 및 공간통계 분석을 통해 김해시 열섬의 Hot spot과 Cool spot 지역을 도출하고, 김해시의 열환경 취약지역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풍력자원지도를 활용하여 김해시 바람길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Hot spot 지역인 진영읍, 진례면, 주촌면, 도심지 일대가 바람이 약한 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의 기온과 바람 형성이 지형 및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을 바탕으로 김해시의 바람길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Hot spot 지역과 바람이 약한 지역에는 공통적으로 농업 및 공업단지가 분포하고 있었는데,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거나 조성중인 진영읍과 진례면에서 Hot spot 지역이 확대 강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 및 건축계획이 요구된다.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가 위치해 있는 주촌면은 고층 아파트 및 주촌선천지구 도시개발지구가 들어설 예정이므로, 현재에도 취약한 열환경이 향후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후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바람길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기본계획뿐만 아니라 도시재생 및 환경계획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김해시의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기후친화적인 도시개발을 위한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동주택의 급탕부하 지속시간 및 부하 패턴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Hot Water Supply Patterns and Peak Time in Apartment Housing with District Heating System)

  • 김성민;정광섭;김영일
    • 에너지공학
    • /
    • 제21권4호
    • /
    • pp.435-443
    • /
    • 2012
  • 세계는 원유재고 감소와 국제 정세의 불안정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유가와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원유를 100% 수입하고 있으며, 사용되고 있는 에너지의 에너지원 중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유가 상승에 따른 영향은 더욱 민감하게 나타난다. 국내에 수입되고 유통되는 에너지의 97% 중 1/3 이상이 사무소나 주거용 난방, 급탕 및 취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물론 산업체, 연구소 등에서 사무소 및 주거용 에너지 소비패턴으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고효율 저에너지 기술개발을 통해 소비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탄소배출을 억제하는 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은 반면 인구밀도가 높고, 인구의 도시집중화로 공동주택의 주거비율이 높은 추세이기 때문에 최근 공동주택단지는 초고층화, 대형화가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급수 급탕에 대한 사용패턴도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급수 급탕에 대한 설계 자료는 대부분 외국의 설계 기준과 현장 경험치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에 의존하고 있으며, 사용실태에 대한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급수 급탕 설비 설계 시 과대 또는 과소 설계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공급자 측 급탕 열 공급환경과 사용자측 열사용량을 측정하여, 급탕부하가 발생하는 시간과 사용 실태 및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급자 측 급탕설비 설계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