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t air treatment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7초

0.27% C-1.5% Mn-1.0% Cr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Si의 영향 (Effect of Si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in 0.27% C-1.5% Mn-1.0% Cr Steel)

  • 정우창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7-126
    • /
    • 2017
  • The variation i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during heat treatment was examined in a series of 0.27% C-1.5% Mn-1.0% Cr steels with silicon contents in the range of 0 to 1.0 wt%. It was found that addition of 0.5%~1.0% silicon increased both tensile strength and impact toughness through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and microstructural refinement. 0.27% C-1.0% Si-1.5% Mn-1.0% Cr steel showed tensile strength of 1,700 MPa in the as-quenched condition and the steel revealed a full martensitic structure even after air cooling from $900^{\circ}C$ to room temperature, showing air hardening characteristics. Tempering at $150^{\circ}C$ which corresponds to the typical paint-baking temperature after painting of body in white, slightly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and increased elongation, but substantially increased the impact toughness compared to the as-quenched steel.

0.27% C-1.0% Si-1.5% Mn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Cr의 영향 (Effect of C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in 0.27% C-1.0% Si-1.5% Mn Steel)

  • 정우창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81-189
    • /
    • 2016
  • The variation i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during heat treatment was examined in a series of 0.27% C-1.0% Si-1.5% Mn steels with chromium contents in the range of 0 to 1.0 wt%. It was found that chromium decreased the martensite packet size through the austenite grain refinement and increased tensile strength in the as-quenched steel, about 70 MPa per 1.0 wt%. The 0.27% C-1.0% Si-1.5% Mn-1.0% Cr steel showed tensile strength of 1700 MPa in the as-quenched steel. The 0.27% C-1.0% Si-1.5% Mn-1.0% Cr steel revealed a full martensitic structure after air cooling from $900^{\circ}C$ to room temperature, showing air hardening characteristics. Tempering at $150^{\circ}C$ slightly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and increased elongation, which is in a good agreement with impact toughness result.

세척수 온도에 따른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Lotus Root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 장민선;김지강;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8-293
    • /
    • 2011
  • 본 연구는 신선편이 연근의 열처리에 대한 품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지에서 구입한 연근을 수돗물로 표면과 아물질 등을 제거하고, 박피 및 절단한 후 30, 55, $80^{\circ}C$에서 45초간 열처리한 후 PE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하였다. 중량 감모율, 표면색도, 일반세균, 관능검사 등을 통하여 품질을 분석하였으며 중량 감모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열처리를 한 경우 증가폭이 낮았다. $80^{\circ}C$ 열처리한 연근의 L값은 가장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55^{\circ}C$ 열처리한 연근의 갈변이 다소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중 연근의 미생물수는 열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처리한 연근은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80^{\circ}C$ 열처리한 연근은 미생물 억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80^{\circ}C$ 열처리는 표면 갈변이 가장 심하였으므로 균수 제어와 갈변억제에 효과적이며 관능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55^{\circ}C$ 열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복합가공사를 이용한 Wool-like 직물의 역학적성질 (The Mechanical Propertis of Wool-like Fabrics Using Composite Textured Yarn)

  • 박명수;윤종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08-412
    • /
    • 2003
  • The micro structure of POY was modified and a wool-like touch yarn of composite fibers with different shrinkage was made. With this yarn 12 different fabrics with wool like touch were prepared. The characteristic physical property changes of the fabrics examined are as follows: 1. In all cases, the initial high shrinkage stages were observed in hot water treatment and the 3D images of complex multilayer of typical doubling fibers with different shrinkage were also observed in hot air treatment of 170C. 2. The tensile strength changes of satin and plain fabrics with the change of twist count showed similar behavior. However, WT's were slightly higher and RT's was lower in twill and satin fabrics than those in plain fabric. 3. Since a slight decrease of B's of twill fabric found with increasing twist count under given experimental condition, it could be influenced on the anti-drape stiffness was decreased and flexibility was increased. 4. A significant decrease of G values was observed in the twist count 800-1000 T.P.M However, in the twist count higher than 1000 T.P.M G values observed were kept nearly constant. 5. MIU of plain and twill fabrics showed a drastic decrease at the twist count higher than 1000 T.P.M.

굽은 관에서의 연소폭발천이 현상 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of deflagration to detonation transition in bent tube)

  • 곽민철;김기홍;여재익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3-267
    • /
    • 2011
  • 본 연구는 에틸렌-공기 혼합물로 채워져 있는 굽은 관에서의 충격파와 화염의 상호 작용, 화염 가속, 연소폭발천이 현상을 수치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델은 지배방정식으로 Navier-Stokes 방정식과 경계조건 처리 방법으로 ghost fluid 기법을 사용하였다. 굽은 관에서 여러 충격파 강도를 이용한 모델링을 통하여 화염과 강한 충격파의 충돌에 의한 열점 생성과 화염 전파의 가속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평균 화학적 열 발생률이 대략 20 MJ/($g{\cdot}s$)이 되는 지점에서 최초 폭굉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우리는 복잡한 형상에 의한 효과를 포함하는 수치적 계산 결과를 기반으로 관에서의 강한 충격파, 충격파와 화염의 상호 작용, 열점, 연소폭발천이 현상 등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 PDF

분무성형법에 의한 Al 합금(AA2014) 대형봉상성형체 제조시 기공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of Porosity in Al Alloy(AA2014) Large Rod Preforms by Spray Forming)

  • 신돈수;윤의박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94-501
    • /
    • 1997
  • In order to manufacture large rod preforms of 2014 Al alloy with a good mechanical property by spray forming method, it was spray-formed at a droplet temperature of $715^{\circ}C$, a droplet flight distance of 400mm, and a spraying angle of $35^{\circ}$. The rod preforms were extruded at $397^{\circ}C$ with the die temperature of $420^{\circ}C$ under the hot extrusion ratio 21:1 and T6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The 2014 Al alloys cast by hot top process were also extruded and heat-treated at the same condition as a reference material. Microstructural observation and tensile tes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usion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of spray-formed Al alloy. Spray-formed Al alloys had many porosities due to inappropriate process conditions such as long droplet flight distance and low droplet temperature but have fine equiaxed grain. These porosities were reduced with decreasing in grain size by hot extrusion. Ultimate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of spray formed-extruded 2014 Al alloy were inferior to those of the normal cast-extruded 2014 Al alloy, but elongations were superior. The control of porosity was important to get spray formed preform with a good mechanical property.

  • PDF

Effect of zirconia surface treatment using nitric acid-hydrofluoric acid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resin cements

  • Cho, Jin Hyung;Kim, Sun Jai;Shim, June Sung;Lee, Keun-Woo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2호
    • /
    • pp.77-84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rface roughness of zirconia when using Zircos E etching system (ZSAT), applying a nitric acid-hydrofluoric acid compound as a pretreatment agent, and also to compare the shear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ZSAT, air abrasion, and tribochemical silicacoating were applied on prepared 120 zirconia specimens (10 mm in diameter, 7 mm in height) using CAD/CAM. Each 12 specimens with 4 different resin cements (Panavia F 2.0, Rely X Unicem, Superbond C&B, and Hot bond) were applied to test interfacial bond strength.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application of the ZSAT on the zirconia specimens, surface roughness value after 2-hour etching was higher than those after 1- and 3-hour etching on SEM images. RESULTS. For Superbond C&B and Rely X Unicem, the specimens treated with ZSAT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values than those treated with air abrasion and tribochemical silicacoating system. Regarding the failure mode of interface over cement and zirconia surface, Rely X Unicem and Hot bond showed cohesive failures and Panavia F 2.0 and Superbond C&B showed mixed failures. CONCLUSION. Zircos E etching system in zirconia restoration could increase its shear bond strength. However, its long term success rate and clinical application should be further evaluated.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4. 개량조개 건제품 저장중의 색소 잔존율 및 흡수율의 변화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4. The Changes of Pigment Retention and Water Absorbing Capacity of Dehydrated Surf Clam Meat during Storage-)

  • 이용호;허종화;한봉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56
    • /
    • 1971
  • 토사질을 제거하여 자숙 탈각한 개량 조개육을 BHA 또는 EDTA 처리를 하여 열풍건조 및 천일건조 하였다. 이 건제품을 유리병에 넣어 밀폐한 다음 암실에서 3개월간 저장 하였을 때 색소 잔존율 및 흡수성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열풍건제품과 천일건제품 모두 저장중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2) BHA를 처리한 제품은 EDTA 처리 또는 대조제품 보다 저장중 색소 소실이 적었다. 3) 열풍건제품과 천일건제품 모두 저장중 흡수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BHA 또는 EDTA 처리가 흡수성에 미치는 뚜렷한 효과는 찾아 볼 수 없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감귤과피(柑橘果皮)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 감귤과피(柑橘果皮)의 열풍건조(熱風乾燥)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itrus Peel Waste -I. Drying of Citrus Peel by Hot Air-)

  • 장호남;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5-250
    • /
    • 1977
  • 밀감 과피의 효율적인 건조방법과 건조특성을 알기 위하여 온도, 표면적의 변화, 종류,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후의 건조등에 대하여 열풍건조 실험을 하였다. (1) 상온하에서 자연건조시는 $3{\sim}6$일에 수분함량을 70%에서 20%까지 떨어뜨릴 수 있었다. (2) 온도에 따른 열풍건조는 $60^{\circ}C$에서 50분가량 소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60^{\circ}C$이상에서는 별다른 건조속도의 증가를 볼 수없었다. (3) 표면적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256등분으로 하여 표면적을 약 2배로 한결과 건조시간이 50분에서 15분으로 단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 문단(文旦)과 병교을 제외하곤 밀감의 종류에 따른건조속도의 변화는 볼 수 없었다. (5) 소석회 처리와 압착후 건조는 둘다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생과피의 경우는 별다른 잇점이없고 최초수분함량이 $1200{\sim}1300%$인 경우는 유리하다고 보아진다. 결론적으로 온주밀감및 대부분의 감귤과피는 잘게 썰어서 $60^{\circ}C$에서 열풍건조 하면 15분정도에서 수분함량을 10%이하까지 건조할 수 있으며 연중을 통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있는 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건조 방법에 따른 예비열처리 당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 Carrot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during Storage)

  • 이경숙;박관화;이상화;최은옥;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86-1092
    • /
    • 2003
  • 대표적 근채류인 당근을 이용하여 데치기 및 열풍, 감압 및 동결 건조방법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열풍 및 감압에서의 건조율 비교 시 데치기한 당근(BC)는 데치기를 하지 않은 당근(RC)보다 빠르게 건조되었으며. 재수화에 의한 복원률은 모든 건조방법에서 RC가 BC보다 높았다. Carotene은 열풍과 감압건조 후 상온 저장 시 BC가 RC보다 잘 유지되었다. 갈변은 모든 건조방법에서 BC가 RC보다 낮게 나타나 데치기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었으며, 동결건조 당근이 가장 덜 갈변되었다. 당근의 경도는 건조 후에 크게 감소하였으나, 열풍건조와 감압건조 당근은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당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C와 RC의 경도 비교의 경우에는 모든 건조방법에서 BC가 RC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중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모든 건조당근에서 BC가 세포구조 및 미세구조가 더욱 안정하며 일정하여 데치기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