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life area

검색결과 636건 처리시간 0.025초

2009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Connectivity of the 2009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sumption' Area)

  • 박지숙;김정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337-34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12 kind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1) textbooks, 9 high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2 high school hom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5 areas and 9 subject areas of 'Understanding of market and consumer', 'Reasonable consumption', 'Re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sumer problems', 'Formation of desirable consumption culture', 'Career and occupation related to consumption lif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connectivity of contents in the area of 'consumption life' in the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analyzed connectivity of contents on the basis of 'developed', 'repeated', 'different' and 'r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nalysis results show that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1) textbooks are mainly dealing with problems related to consumption life and ways to practice healthy consumption life, high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emphasized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culture in modern life and practice and method of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and high school home science textbooks contain overall contents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umption life. In general, contents were distributed as 'developed' 11 times (32.4%), 'repeated' 6 times (17.6%), 'reduced' 13 times (38.2%), 'different' 4 times (11.8%). Contents of the majority of textbooks are composed suitable for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but connectivity of 'developed' cannot be considered a desirable type of connectivity. various formation plans as suggested shall be devised not to let learning elements of 'consumption life' area discontinued considering school levels and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The analyses of duplicated contents of 'Consumer Life'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이정윤;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1-1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생활' 영역의 분석준거를 설정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중복된 내용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가정과 교육에서 '소비생활' 영역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내용 중복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기술 가정 I II", "사회 I II", "도덕 I II", 고등학교 "기술 가정", "사회", "생활과 윤리"교과서를 개발된 분석 준거로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도덕, 사회) 교과서 내용의 중복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술 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 순으로 '소비 생활' 영역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중학교 기술 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된 중복 상세 요소는 '소비자 정보', '소비의 경제적 영향', '식생활과 지속가능성',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둘째,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사회, 생활과 윤리)를 분석준거에 따라 내용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 '소비생활' 영역 교육내용의 비중은 기술 가정, 생활과 윤리, 사회 교과서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중복 내용 요소는 '식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소비욕구', '소비의 경제적 영향', '소비문화의 변화요인과 특징',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가정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은 학습자인 청소년 소비자가 실제 일상생활에서 교과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소비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강점을 지니며 교과 특성상 의식주생활을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생활' 영역을 다루고 있으므로, '소비생활' 영역 교육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정과 교육에서의 '소비생활' 영역 교육은 교육 내용의 학년별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단원 내용 구성을 통해 중복 내용 요소를 줄이고, 청소년들이 실제 소비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청소년들이 미래 사회의 합리적인 성인 소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소비생활' 영역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정교과 학습을 통한 남중생의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신현자;김기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Home Economics learning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boy’s home life and to suggest th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students’opinion of Home Economic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Cheong-ju area using questionaire. The subjects were 487 boys who studied Home Economics (HE group)and 480 boys who studied Technique (T group) in middle school.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and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 home lif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life; In urban area, the interests in bealth and the role of the consum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rural areas-on the bases of the standard of life, the middle class students had a higher interest in nutrition and food habits, the students whose father were engaged in special job had a higher interest in health and nutrition. 2. The difference of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between HE & groups; In the field of food life, HE’s knowledge about the six nutrients and the basic food groups and attitude toward buying food were higher than T’s. In the field of family life and resources, HE and T accepted the importance of family life and the role of home as important, hoped to get psychological relax from home and to take the right sexual education. In the field of clothes life, HE and T had the general tendency to have their clothes in proper manner and to select their clothes for themselves, but HE took a higher interest in clothes mending and the role of clothes. 3. The opinions on Home Economics; HE answered that Home Economics was useful to them (more than 90% of HE) and that 57.1% of HE were interested in Home Economics. The order of interest among three fields were as follows: food life, clothes life, family life and resources. 71.9% of T hoped to take Home Economics course.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세 행동체계별 가족생활 영역 목표 요구도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Family Value and Needs on Learning Objectives of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the Three Systems of Action)

  • 오윤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9-25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의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 둘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lceil$기술${\cdot}$가정$\rfloor$ 교과의 가족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가족가치관은 비교적 근대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관, 성역할관, 자녀관, 효 및 부양의식, 가족주의 가치관의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근대적인 가치관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가족생활 영역 목표에 대한 요구도는 해방적 행동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술적 행동체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나 해석적 행동체계와 비슷하였다. 셋째,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의 요구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기술적, 해석적 행동체계의 목표의 요구도는 가족가치관과 상관이 거의 없었으나, 해방적 행동체계의 목표 요구도는 가족가치관이 근대적일수록 높았다. 넷째, 가정과교사의 가족가치관과 가족생활 영역 목표에 대한 요구도에 있어서 여교사, 가정과목 자격 소지 교사, 젊은 교사, 교직경력이 적은 고사가 각각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근대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고 아울러 해방적 행동체계의 목표를 더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정교과가 실천 비판적인 교과라는 본질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 가족생활 교육 과정에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정과교사 교육과 재교육 과정을 통해서 성숙된 가족가치관과 가족에 대한 해방적 인식관심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lceil$기술${\cdot}$가정$\rfloor$ 교과 지도 시에 기술과 가정 영역을 분리하여 가정과교사가 가족생활 영역을 지도하는 것이 실천 비판적 관점에서의 가정과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가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과의 관련성 (2009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Education)

  • 이연숙;채정현;유태명;왕석순;이은희;김하늬;최민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47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교육학 분야에서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어떠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는지 고찰하고, 가정과 교육과정은 인성교육의 요소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을 죠셉슨 연구소가 제안한 존중, 배려, 책임, 신뢰성, 공정성(정의), 시민성의 여섯 기둥 덕목을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전문가로부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가정교육학의 제 영역인 인간발달과 가족, 자기관리와 소비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영역의 인성교육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모든 영역이 인성교육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과 인성교육 덕목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 및 가족 영역에서는 인성교육의 모든 덕목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자기 관리와 소비생활 영역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 중영역은 책임 덕목과 많은 관련이 있고 존중과 배려 덕목과도 일부 관련이 있다. '소비생활' 중영역은 주로 시민의식 덕목과 많은 관련이 있고 책임 덕목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식생활 영역에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책임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공정성, 배려, 시민의식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녹색식생활과 음식만들기'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책임, 공정성, 배려, 시민의 식의 모든 덕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생활 영역에서 '옷차림과 자기표현'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배려, 시민의식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중영역은 존중, 배려, 시민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생활 영역에서 '주거와 거주환경' 중영역은 나와 다른 삶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관용적 자세와 관련이 있다. '지속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중영역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심, 환경에 대한 책임의식과 공동체적 협력과 관련이 있다. 종합적으로 자기 관리와 소비생활영역의 교육내용과 성취기준은 인성교육의 일부 덕목과, 그 외의 모든 영역은 인성교육의 모든 덕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의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Develop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standards for clothing life area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태명;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19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의 이론적 체계에 기초하여 의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를 구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 조사, 전문가 협의 및 워크샵을 실시하였고, 이를 교육목표와 내용기준의 개발에 반영하였다. 교육목표는 대영역 목표와 하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하위 목표에 따라서 각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의생활 내용 체계는 내용기준의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각 내용기준에 따라 내용요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내용요소는 내용기준에 적절한 최소의 핵심적인 내용만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앞으로의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를 개발할 때 융통성을 가질 수 있다.

  • PDF

기혼여교사의 가정생활건전도 및 관련 변인 연구 (A study on the married female teacher전s soundness of home life and the related variables.)

  • 이정우;오연옥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권1호
    • /
    • pp.79-90
    • /
    • 199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 soundness of home life. This study was focused to analyze the soundness of home life according to the objective variables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It was not also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helped to elevate the home life soundness, but also to prevent family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married female teachers living in Seoul area. The sample size was 237.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oundness of home lif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y pattern among the objective variables. 2) The soundness of home lif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lf-actualization and internal-external of control. 3) The variables such as income, self-actualization and internal-external of control affected the soundness of home life.

  • PDF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의 진로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cluded in Family Life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박예라;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75
    • /
    • 2022
  • 이 연구는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 내용을 분석하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2021)에서 개발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교과서 분석을 위한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서 진로교육 내용 반영 수준은 생애 설계와 진로 선택 단원이 87개로 가장 많았고, 청소년의 발달 특성 단원이 36개,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양립 단원이 31개 순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으로는 다양한 직업인의 탐색(24.30%)이 가장 많았고, 미래사회의 변화 탐색(22.74%), 직업세계의 변화 탐색(18.66%) 순으로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가정생활 분야)에 반영된 진로교육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재가 비암 환자의 생의 말기 단계별 신체적, 영적 간호요구도 - 간호요구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중심으로 - (Physical and Psychospiritual Care Need by End-of-life Stages among Non-cancer Patient at Home: Based 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Care Need)

  • 이종은;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7-13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eeds at each end-of-life care stage and to analyze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care needs for home care nursing among non-cancer patients. Methods: We used a retrospective design. Total eligible patients were 117 at the ages of 40 and over, who continuously received home care nursing throughout beginning, stable, and near death stages, and finally died at home from January 1, 2006 to December 31, 2006. Descriptive statistics, Cochran's Q test, Friedman's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 the area of physical care, the care need for 'assistance for activities in daily life'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beginning stage. The care need for 'aggravation or adverse changes in physical symptom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ear death stage. In the area of psychospiritual care, 'family's psychological burden' was revealed as having the highest rate of care needs in the every stage. Conclusion: Future intervention should consider assessing care needs in end-of-life care for non-cancer patients who are provided with home care nursing.

거주지대에 따른 농가의 생활의 질에 관한 연구 - 생활수준 및 생활만족수준을 중심으로 - (Quality of Life of Korean Farm Households Across Residential Areas)

  • 김인숙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64
    • /
    • 1995
  •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Quality of Life (QOL) of Korean farm households and examine the impacts of explanatory variables on QOL across residential areas. The data from 760 farm housewives were analyzed using means,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general level of QOL of farm households was low. More specifically, among the three subcategories of QOL, the non for satisfaction in community life (SCL) was the highest and the score for satisfaction in home life (SHL) was the lowest. The score for the level of living in home life (LLHL) and SCL were high in the urban area and the score for the SHL was low in the mountainous area. 2. The significantly influenced variables fur the three subcategories of QOL were different in each residential areas. But it was common that the LLHL in the four residential areas was significantly determined by monetary asset and home management ability and the SHL was significantly determined by monetary asset in the three residential areas except the mountainous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