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life

검색결과 4,973건 처리시간 0.04초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ntent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s of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 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3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분석하여 현재 가정교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후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과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12종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교과서 중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이다. 분석방법은 Romey의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ESD 내용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에서 공통으로 추출된 내용요소들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분석준거(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영역)로 분석한 결과 23개의 관련 주제에 따른 하위 내용요소들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학교 12종 가정교과서의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 내용요소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세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적 영역(68%), 경제적 영역(58%), 환경적 영역(4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청소년 소비자의 역할이 주체적인 소비자에 중점을 두었고, 이와 관련된 내용들이 인간의 안전, 소비문화, 사회적 관심,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권리 등과 상당히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중년기 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 폐경에 대한 태도와 성역할정체감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djustment of Mid-Life Women - Focused on Women's Attitudes toword the Menopause and Transitions of Sex Role Identity -)

  • 박경숙;김명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1호통권17호
    • /
    • pp.65-8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 tendency of adjustment of mid-life women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djustment of mid-life women. For this purpose, attitudes toward the menopause(ATM) scale, Korean Sex-Role Inventory(KSRI) scale, General Well-Being(GWB) scale, an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CESD) scale were developed. The sample was selected from the 331 women living in Seoul, whose age was from 40-59, and whose last child was older than 13 years of ag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well-being that the mid-life women was averag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above average. 2) the attitudes of the mid-life women about menopause were a litte negative in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ides. 3) As for the related variables, frequency of leasure activies was significant to the well-being level of the mid-life women. And age, Socio-Economic Status(SES), status of last chi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level of them. 4) The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d in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adjustment and menopause status was irrelevant to it. 5) In the case that the mid-life women have high sex-role identity, that they have androgyny or masculinity, they appeared well adjusted. 6) In the result of mulitiple regressing analysis, the influence that the variables had on the mid-life women's well-being will be presented as fallows in order of importance: Sex-role identity, frequency of leasure activies and age. Above 3 variables explain 24% of adjustment of mid-life.

  • PDF

입원한 암환자와 재가 암환자의 가족지지, 희망, 삶의질 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Hope of Hospitalized and Home Care Cancer Patients)

  • 조계화;김명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3-363
    • /
    • 1997
  • With the occurrence of cancer, most cancer patients experience various emotional change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emotional shock. Especially in our country, cancer has been recognized as an incurable disease resulting in death.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ncreases daily. But as the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s is also increasing, there is a need to find the better methods of nursing care for cancer 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1) To understand family support and hope and quality of life for the cancer patient both during hospitalization and at home. 2)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hope and quality of life. To examine the problems. we used a questionnaire and obtained data form the records of 45 home care and 90 hospitalized (in 3 university hospitals) patients in Taegu area from the period of June 15 to August 15, 1996. SPSS /PC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the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1) In the aspect of family suppor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hospitalized and home care cancer patients(t=1.63, P>0.01). 2) In the aspect of hop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have a higher score than home care cancer patients(t=3.08, P>0.01). 3) In the aspect of quality of lif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have a higher score than home care patients(t=2.96, P<.01). 4)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ope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0.5195 and P=0.000. In addi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quality of life and family support is 4179 with P=0.000. 5) The family support of the cancer patient is influenced by sex(F=9.1863, P<0.01), education(F=4.3641, P<0.01) and the level of life (F=5.5002, P<0.01), 6) The hope of cancer patients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F=3.6413, P<.05), education(F=6.0113, P<.01). and the level of life(F=5.0649, P<.01). 7)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is influenced by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F=5.1167, P<0.05), education(F=3.1590, P<0.01) and the level of life(F=5.6942, P<0.01).

  • PDF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at Nursing Home or Their Home in Chungnam)

  • 송은숙;김은진;김명희;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 150명과 재가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낮잠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출 빈도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상생활 신체활동 정도에서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매우 가벼운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운동 빈도에서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비율이 높았다. 2. 시설과 재가 노인 대부분이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 시설노인은 치매(50.0%)와 소화기질환(30.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0.0%)과 당뇨병(26.0%)순으로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여자의 경우 시설노인은 소화기질환(43.0%)과 혈관질환(27.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6.0%)과 심장질환(27.0%)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제 복용의 경우 남자 시설노인은 안한다는 응답이 52.0%로 높았으며, 재가노인의 60.0%가 가끔 먹는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 음주, 구강상태와 같은 건강관련 평가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빈도의 경우, 여자 노인은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 노인은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시설노인보다 재가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의 양에서는 시설노인은 적당량 식사를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재가노인은 배부를 때까지 식사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사시간은 시설노인들의 식사시간이 재가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간식빈도에서 시설노인은 1회가, 재가노인은 2회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시설노인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각각 2,229.9 kcal와 2,302.1 kcal로 재가노인의 1,894.0 kcal와 1,885.9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밖에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니아신, 엽산, 비타민 C, 칼슘, 인, 철, 아연 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노인의 건강상태가 재가노인보다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식사빈도, 식사 섭취량, 영양 섭취량 등이 재가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에 대한 영양평가 및 관리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서울과 충주시 거주자의 삶의 질과 주거환경 만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nd Housing Satisfaction between Seoul and Chung-Ju City Residents)

  • 신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75-18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variables to affect it, 2) to identify housing and community satisfaction between Seoul and Chung-Ju city residents and to compare it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Seoul city residents' life and housing satisfactions are more higher than Chung-Ju's and housing variable influenced relatively higher degree to life satisfaction. Prefered housing and community features were identified and community satisfaction variables were investigated.

  • PDF

재가노인의 가정간호요구도 및 일상생활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me Nursing Care Requirement and Activities of Daily Life Among the Elderly at Home)

  • 조선화;김병성;김공현;박형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5-145
    • /
    • 199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health status, the requirement of home nursing care, and dependency of daily life of the elderly so that the result could be us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home nursing care practices. The study subjects were 249 elders over 65 years old who resided at home in low income areas of three districts in Pusan.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7, 1993 through January 27, 1994,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X²-test and Student's T-test using SPSS/PC/sup +/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lcohol drinking rate was 50.0% for men and 27.7% for women, and cigarette smoking rate was 77.8% for men and 27.1% for women. 92.9% of elders aged 65-75 exercised regularly as compared to 81.9% of elders aged 75 and over(p<0.05). 2. 63.9% of male and 85.9% of female elders had chronic diseases showing singnificant differences(p<0.01), and both sexes had 1.7 kinds of chronic diseases in average; musculoskeletal diseases were the most common in 25.7%, while 6.8% of the elderly had cardiovascular diseases. 3. Partially movable elderly was 6.9% for men and 6.8% for woman, showing 47.1% of causes being cerebrovascular accidents. 4. The home nursing requirement was the highest for medication(66.3%), intramuscular injection(53.8%), and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body·temperature·pulse rate(47.0%). 5. Among Physical Activities of Daily Life, bathing(10.4%) and movement(4.0%) showed high dependency rates, and amo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fe, phone calling(25.3%), shopping(24.5%), going out by bus(22.5%) showed high dependency rates. 6. For five categories of home nursing showing high requirements such as physical health examination, blood pressure·temperature·pulas rate measurements, medication, and intravascular injection, the requirements were different by age groups, education, and marital status(p<0.05).

  • PDF

지능형 u-Life 서비스를 위한 단계적 예측 (Multi-Level Prediction for Intelligent u-life Services)

  • 홍인화;강명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23-129
    • /
    • 2009
  • 유비쿼터스 홈은 가정 내의 다양한 가전기기 및 센서들로 구성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u-Life, u-Health등의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의 디지털 가정환경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홈서비스는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가전기기들을 상황에 맞게 적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한다. 이러한 상황인지 홈 환경에서 집안을 미리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의 미래 행위를 예측하는 것을 미래 유비쿼터스 홈에 가장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 상황인지 서비스를 위한 단계적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예측과 실행의 두 단계로 이루어 진다. 첫 번째 예측단계에서 트리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다음 위치를 예측하고, 두 번째 실행 단계에서는 테이블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에 있는 가전기기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미리 예측하고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들은 한 개씩 독립적으로 동작하기보다 여러 기기가 함께 동작하여 특정 목적에 이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모드서비스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작시키고자 하는 기기들을 한꺼번에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이 제안한 단계적 예측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가정계열 선택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요구 분석 (Analysis of the Need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Home Economics Elective Courses)

  • 한주;주수언;유난숙;박미정;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3-187
    • /
    • 2021
  •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 및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발맞추어 고등학생들의 가정계열 선택과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689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계열 선택과목에 대한 요구와 성별, 학년, 가정과학 이수여부에 따른 가정계열 선택과목(각 과목별, 분야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정 계열 중 식생활 분야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으며,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 있어서도 식생활 분야에서는 다른 분야에 비해 실험과 실습 수업에 대한 요구가 월등히 높았다. 성별 선호도의 차이에서는 가정계열 전체 분야에 걸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선호를 보였으며, 학년별로는 식생활 분야에서만 3학년이 1학년보다 과목에 대한 선호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정과학을 배우고 있거나 배운 학생들이 가정과학을 배우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모든 분야에서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차기 교육과정에서 가정계열 진로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심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Retirees' Life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성미애;최새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9호
    • /
    • pp.13-25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retirees' life satisfaction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ve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 betwee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2 wave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158 retired men and 145 retired women in the second wave and all of whom had worked at the first wa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Also, famil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spouse's work status and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such as marriage and employment, influenc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Financial support from adult children living elsewher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was only found in effects of living arrangement (living alone/with a spouse vs. multipl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on retirees'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