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gatewa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2초

홈 게이트웨이 보안 관리 방식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Security Management Architecture of Home Gateway)

  • 김현철;안성진;정진욱;김성혜;유윤식;전용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67-74
    • /
    • 2003
  • 가정 내의 각종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 (Home Network) 기술과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 그리고 각종 서비스 제공 기술 또한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킹 기술을 이용하여 가정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 액세스 네트워크 환경,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및 콘텐츠 제공 기술 등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기술들 중에서 강력한 인증 및 보안 기능이 요구되는 홈 네트워크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홈 네트워크의 관리 방법의 정립은 홈 네트워킹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한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SNMPv3을 이용한 홈 게이트웨이 보안 관리 체계와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다양한 홈 네트워킹 보안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도 제안한다.

  • PDF

인터넷 홈 네트워크 가전 제어를 위한 UPnP 확장 (The UPnP Expansion for Internet Home Network Electrical Appliance Control of Ubiquitous environment)

  • 조경희;이성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95-698
    • /
    • 2007
  • 최근 유 무선 홈 네트워크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을 수용하여 가정내 유무선 정보가전기들을 인터넷을 통해서도 통합제어 가능한 효율적인 미들웨어를 필요로 한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기본적으로 표준 TCP/IP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PnP(Pulg and Play)개념을 네트워킹에 확장한 것이다. 지능형 가전, 무선기기 및 모든 종류의 PC들을 연결하기 위한 파급력이 있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지닌다. UPnP는 TCP/IP를 기본으로 하여 가정내 정보가전들을 통합제어 하기위한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로 제시되어 상용화 되고 있지만 그 한계가 내부 네트워크에 국한되고 기능의 한계와 다른 기기들을 제어하기가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홈 네트워크 가전 제어를 위해 UPnP를 확장하여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로간의 모든 기능 및 컨트롤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을 연구한다.

  • PDF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게이트웨이와 관리 서버 개발 (Development of a Home Gateway na a Management Server for Home Network Environments)

  • 권진혁;정재윤;김학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2호
    • /
    • pp.261-26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나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종 디지털 정보가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제어할 수 있는 홈 게이트웨이이다. 다른 하나는 흠 게이트웨이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관리 서버이다. 홈 게이트웨이는 이더넷/ADSL과 같은 TCP/IP 네트워킹 기능을 지원하며, HomePNA, IEEE1394, PLC와 같은 홈 네트워크 기능, PSTN/SLT, VoIP, 비디오 통신과 같은 통신기능을 구현하였으며, 향후 디지털 홈 환경에서의 핵심 네트워크 장비가 될 것이다. 관리 서버는 한 지역 내에 설치된 흠 게이트웨이와 이와 연동된 각 가정 내의 다양한 디지털 정보가전 및 HA(Home Automation) 기기들을 통합 관리/제어하는 특정 서버이다.

안전한 Home Network 서비스를 위한 RMCS 설계 및 구현 (RMCS Plan and the Embodiment for the Home Network Service which is Safeent)

  • 선재훈;이동휘;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9-27
    • /
    • 2005
  • 최근 들어 Home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더불어 Home 네트워크 산업도 날로 발전하고 있다. Home 네트워크에 관한 관심과 보급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Home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접근망(Access Network)과 댁내망(Home Network)의 중간에서 Home 네트워크 서비스를 원활하게 중계하고 댁내망안에서 홈기기(PC, 홈패드, DTV 등)들 사이의 중계 역할을 하는 Home 게이트웨이에 대한 중요성 역시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Home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미비한 실정이며, 여러 가지 기술을 적용하여 Home 게이트웨이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 표준을 마련하는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현재 Home 네트워크 관리체계를 보면 대부분이 ID/PASSWORD 접근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우리는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서 '1.25 대란'과 같은 충분한 댓가를 치루며 보안에 대한 교훈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Home 네트워크 환경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역할 기반의 다중인증 시스템 RMCS를 구현하여 시스템이 내.외부 모두로부터 안전한 보호를 제안하였다. 기존 ID/PASSWORD 방식을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외부망으로부터의 접근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였으며, 역할기반의 MIB 구조를 이용하여 Home 네트워크 내부에서도 보다 안전한 권한 제어를 통한 Home 네트워크의 보안을 제안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utomatic detection system of IoT based sensor device (Considering the application service of reduction of consumption current)

  • Kwon, Myung-K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3-122
    • /
    • 2018
  • In this paper, IoT(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hich is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applied to the study of reduction of consumption current. The IoT is a sensor that collects data, a sensor communication, a gateway that processes and stores the collected data. Data application of IoT technology is applied to smart home, smart city, healthcare, smart factory, etc. and it needs to b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By sensing the location of the sensor device, the specific functions of the gateway and the platform are turned ON and OFF to reduce the consumption current of the equipment during the OFF period. When the sensor device accesses the gateway,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gateway is turned ON and When the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gateway, it senses the sensitivity of the wireless signal and automatically turns off the certain functions. As a resurt, it has reduced the consumption of curr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ystem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sensor devices by applying IoT technology. The system implementation is realized by software based, and defines the requirem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nsor device gateway. The gateway automatically detects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device and performs necessary functions. Finally verifies the automatic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gatewa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evice.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city and office.

UML을 이용한 흠 네트워킹 지원 게이트웨이 관리 서버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Sever for the Gateway Supporting Home Networking Using the UML)

  • 권진혁;민병조;강명석;남의석;김학배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93-404
    • /
    • 2004
  • 최근에 일반 가정에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고,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운용되던 가전 기기들이 네트워크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 서브 네트워크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던 가정 자체가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되어가는 추세로 이어진다. 가정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규약들을 기존에 구축된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를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아여 이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할 수 있는 RG(Residential Gateway)가 필요하다. 그러나 내장형 시스템인 RG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를 제안하였다. 관리 서버의 시스템 구조를 통해서 하드웨어의 문제를 해결하고 각 기기들에 사설 IP를 할당하여 IP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다. 원격에서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서 도메인내의 모든 RG 및 정보가전들을 관리,감시,제어가 가능하고 HTTPS 프로토콜을 통해서 통신에 대한 보란 수준을 높이는 웹 기반의 접근 방법을 관리 서버에서 제공한다. <중략> 관리 서버의 UI는 UML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모드로 접속하도록 설계하였다. 설계된 3가지 모드는 관리자 모드,RG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NMP를 사용하고 있으며 관리 서버와 RG간의 폴링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폴링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다중 쓰레드를 이용한 관리 서버와 RG간의 폴링 방법을 나타낸다.

  • PDF

Power Line Carrier를 이용한 XML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XML based Home Gateway using Power Line Carrier)

  • Myoung, Kwan-Joo;Kim, Dong-Sung;Cho, Sung-Guk;Yun, Ji-Hun;Kwon, Wook-Hyu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53-56
    • /
    • 2000
  •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e for the residential gateway is designed for the traffic statistics of home environment. The suitability of 10 Mbps power line communication is investigated for the control and the video data distribution through simulation. The design issues are discussed for a residential gateway and the network design that is based on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s presented. Traffic models are established from the actual traffic traces. They are us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residential networks.

  • PDF

홈 네트워킹 지원 게이트웨이 관리 서버 설계 및 개발 (A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anagement Server for Gateway supporting Home Networking)

  • 권진혁;남의석;안상태;김학배
    •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 2003년도 제4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2
    • /
    • 2003
  • In the paper, the Management Server (MS) is designed and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1 imitations in the Residential Gateway (RG). The Proposed MS is composed of the Network Management System(NMS), Home Automation System(HAS), Persistent Data Management(PDM). The developed MS is a dedicated server which manages both individual RG and internet home appliances implemented at a home-network environments.

  • PDF

모듈 기반의 RESIDENTIAL GATEWAY 장치의 설계와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DULE-BASED RESIDENTIAL GATEWAY)

  • 박부식;서정욱;임기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
    • /
    • pp.370-373
    • /
    • 2003
  • The legacy Residential Gateway (RG) which constitutes fixed WAN interfaces and LAN interfaces, is at a disadvantage due to difficult modification of a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lexible module-based RG on the basis of the RG standardization and demonstrate the prototype system, whose function is verified by the home automation application.

  • PDF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확장 홈 네트워크 기반의 AMI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n AMI System Based on an Extended Home Network for the Smart Grid)

  • 황유진;이광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7호
    • /
    • pp.56-64
    • /
    • 2012
  • 스마트 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구성하는 기술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홈 네트워크와 연동되고 효율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AMI 시스템을 제안 한다. 확장된 홈 네트워크 기반의 AMI 시스템은 스마트미터, 통신 모듈, 홈 게이트웨이, 보안 모듈, 미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전력 응용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홈 네트워크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도록 IEEE 802.15.4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제안 홈 게이트웨이는 웹 서비스를 통해 외부 관리 시스템과 에너지 소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고, AMI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홈 게이트웨이와 미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보 전달의 안전성을 얻기 위하여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 하였으며 보안 알고리즘은 대칭적 블록 암호화 방식인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제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본 연구에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제어를 하지 않을 경우보다 전력 소비가 평균적으로 4~42%정도 줄어드는 것을 실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