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y of medicine

검색결과 5,238건 처리시간 0.04초

A Way to Avoid Muscular Fibrosis in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after Acupuncture Injection Therapy

  • Wong, Yiu Mi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7-229
    • /
    • 2017
  • Fibrosis of skeletal muscle following acupuncture is an iatrogenic disorder. The present case illustrates a patient with a unilateral fibrotic formation on a thumb muscle after acupuncture injection therapy with red sage. The patient in the present case was a counter-terrorism police officer with right-handedness; he noted a palpable nodule three months after injection therapy at his left first dorsal interosseous in which the acupuncture point LI4 (He Gu) is located. He also found a reduction in the strength of his left pinch grip that noticeably affected his left handgun marksmanship. However, being ambidextrous in single-hand pistol shooting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counter-terrorism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claims, no underlying disease or trauma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s current complaint. During physical examination, a fibrotic formation in his left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was visualized by using diagnostic ultrasound; also, as confirmed with dynamometry, the strength of his left pinch gri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right counterpart. Because acupuncture injection therapy has three components, antiseptic practices, the mechanical action of syringe insertion, and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 sterile herb extract, any one of the components may have contributed to the present adverse event.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s small in dimension and rather vascular; thus, it is not an ideal site for intramuscular injection. When a clinician needs to treat a patient by performing acupuncture at the LI4 acupoint and injecting a herbal extract simultaneously, the clinician should only mechanically stimulate the LI4 acupoint while injecting the herbal medicine into the LI14 (Bi Noe) acupoint on the same meridian, the LI14 acupoint being located in the distal portion of the deltoid muscle and being fairly close to the universally agreed upon site on the upper arm for safe administration of an injection.

Mobile SMS와 상담을 기반으로 한 노인용 대장내시경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for Colonoscopy in the Elderly)

  • 이영순;이봉조;하창윤;전미양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64-7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for colonoscopy in elderly people.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non-synchronized design 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72 elderly people (36 elderly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in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ubjects, 49 were male (68.1%) and 23 were female (31.9%), and the age was 69.04±6.14 years. Forty-five subjects (62.5%) answered that they had underlying diseases, eight subjects (11.1%) had a family history of colon disease, and 61 subjects (84.7%) had undergone a colonoscop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when three days and one day before the test. The control group received verbal explanations using information shee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s test, and the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21.0.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wel cleanliness scores (t= 3.60, p= .003) between the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the groups in the sedation drug dosage (propofol (t= 1.02, p= .730), midazolam (t= 0.66, p= .380)) and time for colonoscopy (t= 1.08, p= .23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mobile SMS and counseling for colonoscopy was proposed as an educational program before colonoscopy.

복부 연조직 농양 환자에서 농양 배양을 혈액배양병으로 했을 때의 성과 1예 (Diagnostic Performance of Blood Culture Bottles for Abscess Culture in Patient with Abdominal Soft Tissue Abscess)

  • 조교진;장철훈;황재연;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118-123
    • /
    • 2021
  • 세균 감염에서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려면 배양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복부 연조직 감염의 농양을 혈액배양병을 사용하여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Actinomyces radingae와 Clostridium ramosum이 배양된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전에 건강하였던 13세 남자 환자가 배꼽주변에 발생한 통증, 발적 및 발열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아는 복부 수술 및 외상의 병력은 없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배꼽주위에 농양을 동반한 피부 연조직염이 확인되었고 선천성 기형은 없었다. 초음파 유도 흡인을 하여 8.5 mL의 화농성 농양이 흡인되었고, 농양은 혈액배양병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농양 배양검사에서 A. radingae와 C. ramosum이 확인되었다. 감염증의 원인이 드문 세균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농양 배양을 할 때 일반적인 농양배양의 방법 보다는 혈액배양병을 사용하는 것이 원인균이 분리될 가능성을 높이고 더 빨리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 및 가슴신경뿌리병증의 임상적 고찰: 비침습적 중재시술치료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ervical and Thoracic Radiculopathies: Non-Invasive Interventional Therapy)

  • 노학재;이상헌;김병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0권2호
    • /
    • pp.83-97
    • /
    • 2008
  • Cervical and thoracic radiculopathies are among the most common causes of neck pain. The most common causes are cervical disc herniation and cervical spondylosis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and diabetes mellitus and thoracic disc herniation in thoracic radiculopathy. A thorough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testing that includes electrodiagnostic examination and imaging studies may distinguish radiculopathy from other pain sources. Although various electrodiagnostic examinations may help evaluate radiculopathy, needle electromyography is the most important, sensitive, and specific method. Outcome studies of conservative treatments have shown varying results and have not been well controlled or systematic. When legitimate incapacitating symptoms continue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attempts, more invasive spinal procedures and intradiscal treatment may be appropriate. Surgery has been shown to have excellent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disc extrusion and neurological deficits. However, patients with minimal disc herniation have fair or poor surgical outcomes. In addition, conventional open disc surgery entails various inadvertent surgical related risks. Although there has not yet been a non-surgical interventional procedure developed with the therapeutic efficacy of open surgery, conservative procedures can offer substantial benefits, are less invasive, and avoid surgical complications. While more invasive procedures may be appropriate when conservative treatment fails, prospective studies evaluating cervical and thoracic radiculopathies treatment options would help guide practitioners toward optimally cost-effective patient evaluation and care.

  • PDF

전이성 뇌암으로 오인된 노카디아 뇌농양: 적극적 치료를 요하는 심각한 중추신경계 감염병 (Nocardia Brain Abscess Mimicking a Metastatic Brain Tumor: A Severe CNS Infection Requiring Aggressive Management)

  • 이아름;김희경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1호
    • /
    • pp.50-54
    • /
    • 2013
  • 노카디아병 (nocardiosis)은 actinomycetales 목, nocardia 과에 속하는 호기성 양성 간균에 의한 감염으로 노카디아종은 사람과 동물에서 국소적, 전신적인 화농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노카디아병은 일반적으로 기회감염으로 생기지만 감염자의 1/3은 면역기능이 정상이다. 저자들은 고령의 크론병 (Crohn's disease) 여자 환자에서 노카디아종에 의해 발생한 폐 노카디아병과 뇌농양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병변은 영상 검사상 주위 부종을 동반하며 조영 증강을 보여 수술 전에는 종양으로 생각되었고, 전이성 뇌암처럼 공격적인 병의 진행을 보였다. 노카디아병의 조기 진단,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이루어 졌을 때 예후가 좋다. 저자들은 뇌에 생긴 노카디아병을 보고하여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을 알리고 악성 병변과의 감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개에서 척수공동증을 동반한 소낭성 뇌수막종 1례 (Spinal Syringomyelia Secondary to an Intracranial Microcystic Meningioma in a Dog)

  • 원상철;김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39-444
    • /
    • 2014
  • 체중 2.7 kg의 5세령 암컷 말티즈 견이 양측 슬개골 탈구와 후지 파행으로 지역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도르레절제술과 슬개골의 외측 보강 봉합법을 이용하여 슬개골 탈구 정복술을 실시하였으나, 수술 3주 후 등을 굽힌 자세의 보행과 후지의 운동실조, 흉요추부의 압통, 간헐적인 경련증상으로 재 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촬영 결과, 우측 전두엽의 종괴와 경수에서부터 3번 요수까지의 공동성 변화가 확인되었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 뇌종양은 느슨한 망상구조 또는 레이스 모양의 수막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세포 외부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많은 낭포성 공간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종양세포들은 vimentin 양성, 신경원 특이 에놀라제 및 신경교 섬유질 산성 단백질에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경수와 흉수 부위에는 부정형의 확장된 중심관 유사 동공이 관찰되었다. 이 증례는 개에서 특이적인 두개강 내 소낭성 뇌수막종과 연관되어 2차적으로 발생한 척수공동증의 임상소견과 영상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 분석 (Analysis of sports injuries among Korean national players during official training)

  • 김은국;김태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555-5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국가대표 선수로써 공식적으로 수행한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에 대해 종목별로 분석하였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진료하고 관리하는 의사, 물리치료사 및 종목별 트레이너들은 훈련도중 발생한 모든 스포츠 손상을 보고서 양식에 기록하였고, 이 중 기존에 이환되어 있는 만성 스포츠 손상을 제외한 급성 및 재발성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년간 총 3,421건의 스포츠 손상이 발생하였고, 이 중 1,560건은 급성 스포츠 손상, 1,861건은 재발성 급성 손상이었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복싱과 하키였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재발성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레슬링과 펜싱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공식적인 훈련기간 동안 발생한 종목별 스포츠 손상과 관련된 특징 및 발생률 (incidence rates)에 대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중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간 생체 데이터의 패턴분석을 위한 UB-IOT 모델링 (UB-IOT Modeling for Pattern Analysis of the Real-Time Biological Data)

  • 신윤환;신예호;박현우;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2호
    • /
    • pp.95-106
    • /
    • 2016
  • 생체 데이터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사상의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생체 데이터는 사람의 맥박과 혈압, 심박동 수와 과거의 병력, 노화의 정도, 체질량 지수 등을 의미하며, 이 생체 데이터는 사람의 건강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 척도로 활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생체 데이터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도록 가공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화되고 있는 생체 데이터를 현재 시점의 스냅셧으로만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연속성이 배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생체 데이터들로 구성되는 Big Data 환경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포함하는 생체데이터의 패턴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전자침을 사용할 때 침자리의 선정을 신중하게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영상 및 NFC 기반 실시간 시약 계량 등록 시스템 (Image and NFC based Real Time Reagent Measurement and Registration System)

  • 이근우;정상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52-658
    • /
    • 2019
  • 사물인터넷을 이화학, 약학, 생물학 및 의학 등 다양한 연구실험분야에 적용한 경우 다양한 센서와 기기를 부착하여 지능적으로 연구장비 및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연구실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시약의 정확하고 편리한 기록관리 및 실험과정의 연구이력과 근거, 역추적성 등을 위해서는 실시간 시약 계량 및 등록의 연구지원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현재 기존 시약관리방법은 전산 관리방법을 이용하지만 시약등록과 관리가 일체화된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한 수기에 의한 기록 관리가 대부분으로 실험에 대한 기록오류 및 많은 시약에 대한 계량 및 등록에 대한 소요시간이 큰 점 등 번거로움과 문제점들이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인식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에 의한 시약 등록과 동시에 전자저울로 계량 측정된 시약정보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실시간 시약 계량 및 등록 방법을 연구하였다.

반세기 전 한국에서 근무하였던 한 미국흉부외과 의사 - Dr. George Schimert - (A Cardiac Surgeon from the USA who had Worked in Korea a Half Century Ago - Dr. George Schimert -)

  • 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189-201
    • /
    • 2008
  • Dr. Schimert는 1918년 스위스에서 태어나고 항가리와 독일에서 의사 면허를 취득하였다. 세계 이차 대전 직후 미국으로 이민 후 인턴, 레지던트 트레이닝을 계속한 그는 1956년 당시 심장수술로 세계적 명성을 떨치고 있던 미네소타 대학의 Dr. Lillehei의 지도하에 심장수술 트레이닝을 시작하였다. 이 기간 중인 1958년 그는 당시 미네소타 프로젝트의 일원으로 한국의 서울대학병원에 근무를 시작하였다. 이후 15개월 동안 그는 의학 총괄 자문관으로서 전반적인 의학 교육 및 행정에 참여하는 한편 당시 초창기의 흉부외과를 정립시키는데 공헌하였다. 특히 1959년 8월 6일에는 심방중격결손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바이패스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하였으나 환자는 불행히도 수술 6시간 후에 사망하였다. Dr. Schimert는 1959년 10월 미국으로 귀국하여 이듬해인 1960년에는 뉴욕 Buffalo General Hospital의 첫 심장수술 책임자로 부임하였다. 이후 동 병원에서의 기여 및 성과를 인정받아 1985년에는 그를 기념하여 Dr. George Schimert Lectureship and Medical Conference가 제정되었다. 이후 은퇴 생활 중 2002년 12월 7일 병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