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value

검색결과 839건 처리시간 0.027초

예술창작공간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창작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Artistic Creative Space - Focused on Seoul Art Space -)

  • 조연주;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35-45
    • /
    • 2012
  • As the importance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has increased, governments have set a strategy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cultural art. One of concrete ways is establishing a cultural space by using idle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blicness of Seoul Art Spac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facilities of creative space and provide basic date for the further plan of creative spac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8 facilities from Seoul Art Space which is operated by City of Seoul.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extracted 5 elements(each element has 4 sub categories) for publicness(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historical connectivity and stay time) and to evaluates publicness of the Seoul Art Space, we analyzed these facilities based on these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ublicness of Seoul Art Space acquired 96.9%(100% is 64 points) for stay time, 95.3% for convenience, 90.6% for accessibility, 73.4% for openness and 62.5% for historical connectivity. For the openness, we suggest to use glass materials and open the space to the public. To improve historical connectivity, we suggest to determine appropriate theme for a particular space or area and set a function of buildings for the differentiation.

  • PDF

OBSERVING SITES FOR THE CENTRAL SOLAR ECLIPSES IN ANCIENT CHINESE HISTORY

  • Ahn, Sang-Hyeon
    • 천문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125-138
    • /
    • 2020
  • We determine the observing sites for eclipses of large magnitude recorded in ancient Chinese chronicles from 200 BCE to 900 CE, by adopting the difference between terrestrial time and universal time, ΔT, given by Morrison & Stephenson (2004). The records of solar eclipses with large magnitude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variations of the capital cities of ancient Chinese dynasties. We determine areas in which all the eclipses in each group, with an eclipse magnitude larger than a certain threshold value, could be observed. We find that these areas coincide with the historical capitals, which agrees with the general idea that the solar eclipses were observed at the capital of each dynasty. This result also verifies the ΔT values during the period from 100 BCE to 400 CE, during which historical records of eclipses are so rare that the ΔT values can only be obtained by interpolating the long-term data. Moreover, we show that the eclipses described by the term Ji in East-Asian history are not all total eclipses; their mean magnitude is 0.96 ± 0.04. We find that complementary expressions, such as dark daytime and appearance of stars during the eclipse, strengthen the possibility that eclipses described by the term Ji were total. We also provide quantitative definitions for expressions such as 'being not complete and like a hook', 'being almost complete', 'visibility of stars during the eclipse', and 'darkness during an eclipse.' The literal meanings of these expressions are in agreement with the recent physical modeling of sky brightness during total eclipses provided by Können & Hinz (2008).

The Historical Even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Republic of Korea

  • Hee-Joong HWANG
    • 한류연구
    • /
    • 제2권2호
    • /
    • pp.19-26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events that shaped South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its value to businesspeople. Chapter 2 reviews South Korean FDI literature, highlighting critical studies and a research gap. Chapter 3 strategically separates findings into four major historical events. Every event-from economic liberalization to technical advances-is studied. Chapter 5 offers valuable insights and guidance on how these events affect practitioners. The following chapters aim to promote FDI dynamics understanding and enable businesses and governments to make strategic decisions in South Korea's dynamic economy.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history in Korea is significant for practitioners. These events have impacted the nation's economy from the 1960s economic liberalization to modern technology advances. Practitioners must understand these events' far-reaching implications to make informed decisions. The opening up of the economy, chaebols' involvement, financial crises, and high-tech industry emphasis provide excellent lessons. This understanding helps practitioners navigate the global economy, adapt, and be resilient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the Republic of Korea. Thus, practitioners should actively advocate for FDI and economic growth policies with government agencies. Collaboration ensures that the government's strategic vision matches industry practitioners' requirements and goals. By working together, practitioners help create policies that make Korea more appealing to international investors.

건설산업의 효율적 정보관리체계 구축전략 (A Strategy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Company)

  • 이태식;김용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458-461
    • /
    • 2001
  • IT의 발전으로 산업사회가 정보화를 거쳐 지식화되면서 Value Chain을 규명하여 비효율적인 생산구조를 혁신하는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이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ERP를 확대하기 위해 SCM(Supply Chain Management)와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이 제조업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산업에서는 이러한 IT의 접목이 본격화되지 못 하고 있으며 정보화에 대한 인식 또한 미비한 실정으로 정부 주도의 건설CALS와 일부 대기업에서만이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개별 시스템을 통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다수의 건설관련 기업은 기존의 조직 및 생산구조에 대한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산업의 특성상 사업수행 정보(Project Information)와 실적자료(Historical data)의 효율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기존의 기능 중심의 정보흐름을 프로젝트 중심의 정보흐름으로 전환할 수 있는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및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의 개발이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건설산업에서의 정보화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보의 발생과 흐름을 분석하여 정보화체계 구축의 핵심인 정보의 표준화·동시화·중앙집권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서울 북악산 도화동 원림유적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Garden Remains in Mountain Bukak in Dohwadong, Seoul)

  • 김홍곤;김영모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6-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북악산에 소재하는 도화동 원림유적을 대상으로 문헌의 발굴 고증과 현장학술조사를 병행하여 도화동 원림유적의 위치와 유래 역사적 변천 원형경관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헌상에 나타나는 도화동 원림유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련 문헌사료 고증을 통하여 도화동 원림유적의 역사적 변천과 원형경관 원림유적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확인된 도화동 원림유적의 원형과 원림유적으로서 가지는 가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화동 원림유적은 남곤의 집터 또는 대은암과 관련한 유적으로 알려져 왔으나,"총쇄록"의 기록에 나타나는 암각자(巖刻字)와 원림유적 내 암각자가 완벽한 일치를 보임에 따라 1889년 고종의 어명에 의해 조성된 왕실어원인 도화동(桃花洞)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경지략"에 의하면 도화동(桃花洞)이란 지명은 동(洞) 내에 복숭아나무가 많은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며 "아정유고", "연암집"등의 기록에서는 도화동에서 문인들이 모여 계회를 벌이고 화류(花柳)를 즐겼다고 전하는 바 도화동은 필운대에 버금가는 화류의 명소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도화동 원림유적은 18세기에 들어와서는 명공석현(名公昔賢)을 비롯한 안동 김씨의 계회장소로 이용되어 오다가 1864년 흥선대원군의 집정 후 안동김씨 숙청과정에서 훼철 방치되었으며, 이후 1889년 고종(高宗)의 어명(御命)에 의해 왕실공간으로 변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도화동은 자연 지세를 그대로 따르고, 주변의 유려한 경관을 자연스럽게 끌어들였으며, 개개의 경물과 요소에 의미를 부여하여 이상적 경관모델로서 상징적인 도화경(桃花景)을 구현한 전통원림의 원형을 그대로 보여주는 가치 있는 원림유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는 사료에 기초하여 현장조사와 학술고증을 통하여 도화동 원림유적의 실체와 원림유적으로서의 가치를 파악하는 데에 진전이 있었다. 다만 군사지역에 속해 있어 조사범위의 한계가 있고 현재까지 전면적인 발굴조사를 통한 유구와 원지형에 대한 파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구체적인 원림유적의 범위와 구조를 파악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도화동 원림유적의 실체를 밝히고 향후 보존과 활용을 위하여 사적지정과 동시에 추가적인 학술발굴조사가 시행되어야 하며, 유적 내 원지형을 교란하는 시멘트 및 축대의 제거를 포함한 정비보존대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for Youngsan River Area)

  • 장문현;이정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29-339
    • /
    • 2009
  • 역사문화지도는 한 지역의 개별적인 유적에 대한 단순한 집성이 아니라,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시.공간적 연관성에 대한 종합적인 반영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문명의 발상지라고 할 수 있는 수계권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생활환경의 연구는 지금까지의 지역단위 차원을 넘어서 타 문화권의 비교, 나아가 국가 및 대륙간의 문명사 연구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토대로 문화적 유형화 및 지역적 정체성 파악을 위한 공용의 문화정보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즉,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은 수계권의 다양한 역사문화정보를 전자지도의 형태로 담아내고,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는 Web GIS 기반의 통합정보시스템인 것이다. 상기의 시스템은 고고, 건축 미술, 생태환경, 역사, 민속 문학, 음식 등 각 분야별 기초조사 자료에 의한 종합적인 산출물이며, 학제간 연구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공공의 자료로써 새로운 가치창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적으로 Web GIS 기반의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는 첫째, 영산강유역 분야의 연구에 대한 로드맵을 확인하는데 공헌할 수 있으며, 둘째, 영산강유역의 역동적 구조와 특성에 대한 학제적 탐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셋째, 역사문화지도 연구를 위한 전문화 된 전자 학술자원 제공의 본격적 발판을 마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방안과 사적 지정 전략 (Conservation Plan and Historic Site Designation Strategy of Celadon Kiln Site in Banam-ri, Gochang)

  • 신민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1호
    • /
    • pp.208-223
    • /
    • 2023
  • 본 글은 시도지정기념물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비 방안과 전략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격적 논의에 앞서 초기 청자요지로 주목받고 있는 이 유적의 높은 학술적 잠재력을 설명하면서 기념물 지정으로 인해 추진될 예산 확보, 향후 사적 지정에 대한 기대까지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현황과 정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기념물로 지정된 지 1년이 되지 않은 이 유적이 향후 사적 지정을 위한 정비를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해야 할지에 대해 현지 조사 등으로 현재의 보존상황을 검토하였다. 무엇보다 유적의 명확한 성격을 밝히기 위한 발굴조사와 문헌조사를 시행하고, 현지 조사를 토대로 관람객들을 위한 안내시설을 정비하고 이와 연계한 홍보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적의 정의 및 도자기 가마의 사적 지정 현황과 함께 지정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 사적 지정된 진안 도통리 청자요지,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요지의 사례를 검토하여 발굴조사, 문헌조사, 학술대회의 세 가지를 사적 지정의 목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발굴조사의 결과는 완전성, 진정성, 정체성을 두루 갖춘 문화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근거가 된다. 문헌조사는 발굴로 밝혀지지 않은 유구의 역사적·문화적 성격을 보완하는 근거가 된다. 학술대회는 문화재가 가진 위치성과 유적의 위상, 유적과 관계 있는 사건 등 문화재의 본질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Mathematics Education as a Humanities Form of Education-A Brief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 Han, Dae-H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27-132
    • /
    • 2001
  • Mathematics holds a key position among many subjects of school education. Besides having an instrumental value, mathematics for the general public has been underestimated. Thus,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western educational theorists have emphasized the value of mathematics as humanities form of education. First of all, we discuss Platonism as a philosophical basis of the ancient Greek mathematics education. Next, we examine the thoughts of Froebel, who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public education since 19th century, and discuss the value of mathematics teaching in their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s. Also, we examine the humanistic valu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criticized the traditional western ethics and epistemology, and established instrumentalism. In this paper, we recognize the humanistic valu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philosophies of mathematics education.

  • PDF

Concept Drift Based on CNN Probability Vector in Data Stream Environment

  • Kim, Tae Yeun;Bae, Sang Hyu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47-151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concept drift by apply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in a data stream environment.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compares only the final output value of the CNN and detects it as a concept drift if there is a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input value of the data stream reacts sensitively even if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is incorrectly detected as a concept drift.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reduce such errors, not only the output value of CNN but also the probability vector are used. First, the data entered into the data stream is patterned to learn from the neural network mode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value and probability vector of the current data and the historical data of these learned neural network models is compared to detect the concept drift. The proposed method confirmed that only CNN output values could be used to reduce detection errors compared to how concept drift were detected.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기억유산의 등재기준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riteria of Remembrance Heritage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 김가영;이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22-37
    • /
    • 2016
  • 본 연구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유산 중 부정적인 역사를 증명하는 문화유산의 세계유산 등재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정적인 역사"와 이와 관련한 "교훈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포괄할 수 있도록 '기억유산'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세계유산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의 비무장지대와 유사한 역사적 배경 또는 형태를 지닌 유사 세계유산 사례를 중심으로 등재기준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비무장지대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추진할 경우 적용 가능한 등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기억유산은 유산 자체의 역사적 예술적 경관적 학술적 등의 가치보다는 보편적 의의를 갖는 사건이 발생한 장소로서 건축적, 경관적, 고고학적, 기술적으로 사건을 증명하거나 역사의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 경관, 장소로서 평가되었다. 둘째, 기억유산은 등재기준 (ⅵ)과 함께 주요사건에 따라 등재기준(ⅲ) 또는 등재기준(ⅳ)를 함께 적용하여 등재 신청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한국 비무장지대의 경우 냉전시대를 증명하는 유산으로서 등재기준(ⅳ), 평화의 상징적 가치로서 등재기준(ⅵ)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