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ne deacetyl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5초

Histone deacetylation effects of the CYP1A1 promoter activity,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cells in hepatic, prostate and breast cancer cells

  • K. N. Min;K. E. Joung;M. J. Cho;J. Y. An;Kim, D. K.;Y. Y. Sheen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81-181
    • /
    • 2003
  • We have studied the mechanism of action of TCDD on CYP1A1 promoter activity in both Hepa Ⅰ and MCF-7 cells using transient transfection system with p1A1-Luc reporter gene. When HDAC inhibitors, such as trichostatin A, HC toxin and a novel HDAC inhibitor, IN2001 were cotreated with TCDD to the cells transfected with plAt-Luc reporter gene, the basal promoter activity of CYP1A1 was increased by HBAC inhibitors. Also,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HDAC inhibitors, such as IN2001 and trichostatin A increased the basal activity of CYP1A1 promoter but TCDD stimulated CYP1A1 promoter activity was not changed by HDAC inhibitors. And, in stably-transfected Hepa Ⅰ cells with p1A1-Luc, HDAC inhibitors increased the basal promoter activity only Also,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DAC inhibitors on the human breast and prostate cancer cells in terms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based on SRB assay. IN2001 as well as trichostatin A inhibited the MCF-7, MDA-MB-231, MDA-MB-468, T47D, ZR75-1, PC3 cell growth dose-dependently. The growth inhibition of these cells with HDAC inhibitors was associated with profound morphological change, which suggests the HDAC inhibitors induced apoptosis of cells. The result of cell cycle analysis after 24h exposure of IN2001 showed G2/M cell cycle arrest in MCF-7 cells and apoptosis in T47D and MDA-MB-231 cells.

  • PDF

Trichostatin A 처리에 의하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전사활성화 및 불활성화 (Transcriptional Activation and Re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Molecules by Trichostatin A)

  • 백종수;이희경;조영수;김성영;박관규;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94-1004
    • /
    • 2005
  • Dihydrofolate reductase (dhfr) promoter에는 전사 인자 Spl과 E2F가 결합하는 cis-acting 배열을 가지고 있다. dhfr 유전자의 전사는 세포 주기 Gl/S기 동안 최대의 발현을 나타낸다. 또한 Spl 전사 인자는 dhfr 유전자 발현의 활성화 및 불활성화를 조절하는 다양한 역할에 대한 연구가보고 되고 있으며, 최근 Spl-Rb과 E2F4-pl30 복합체가 CHOC400 세포에서 dhfr 유전자 발현에 안정한 형태를 형성하여 dhfr 발현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Rb-양성 골육종 세포인 U2OS 및 Rb음성인 자궁경부암 C33A 세포에서 histon deacetylase (HDAC)에 대한 특이적인 저해제인 trichostatn A (TSA)를 처리한 후 세포주기 조절에 중심적 인자들인 dhfr cyclin E 및 cyclin A의 전사활성에 대한 HDACl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U2OS 및 C33A 세포에서 TSA를 처리한 후, dhfr, cyclin E, cyclin A에 대한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U2OS 세포 특이적으로 dhfr cyclin E의 mRNA 발현과 단백질 발현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cyclin A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U2OS 세포에서 dhfr promoter construct에 대한 전사활성을 검사한 결과, TSA 처리는 dhfr promoter 영역으로부터 E2F 결합부위를 제거시킨 DHFR-Spl-luc를 통하여 dhfr promoter활성이 약 14배 증가되었다, 그러나 dhfr promoter 영역으로부터 Spl 결합부위를 제거시킨 DHFR-E2F-luc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promoter 활성은 TSA 처리에 의해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HDACI이 Spl을 통하여 dhfr promoter활성을 제어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한편 TSA는 U2OS 세포에서 HDAC의 활성을 통해서 세포주기 관련 인자들 가운데서 Gl 후기부터 활성화되는 대표적인 인자들인 dhfr과 cyclin E의 발현을 증가시키지만 G2 기에서 활성화되는 대표적인 인자인 cyclin A의 발현을 억제하는 상반된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