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idine decarboxylas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Glycyrrhetinic acid on Histamine Synthesis and Release

  • Lee, Young-Mi;Kim, Youn-Chul;Kim, Hyung-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36-40
    • /
    • 1996
  • The effect of glycyrrhetinic acid(18.betha.-glycyrrhetinic acid, GA) on histamine synthesis and release was investigated in cocultured mast cells with Swiss 3T3 fibroblasts. GA has strong dose dependent inhibitory activity for histamine synthesis and release in cocultured mast cells. GA(50 .mu.M) inhibited about 85% of histidine decarboxylase (HDC) activity. The appearance of cells staining positively with berberine sulface was also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GA. It indicates that transdifferentiation of cultured mas cells (CMCs) was also inhibited.

  • PDF

열처리에 의한 Morganella morganii와 Photobacterium phosphoreum 유래 Histidine Decarboxylase의 불활성화 (Effects of Thermal Treatments on Inactivation of Histidine Decarboxylase from Morganella morganii and Photobacterium phosphoreum)

  • 박원민;김꽃봉우리;김민지;박지혜;배난영;박선희;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96-401
    • /
    • 2016
  • Histamine을 생성하는 Morganella morganii와 Photobacterium phosphoreum으로부터 crude histidine decarboxylase(HDC)를 추출하여 $65{\sim}121^{\circ}C$로 열처리한 다음 균의 생육 및 효소 활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M. morganii와 P. phosphoreum은 모든 열처리 조건에서 비 가열 처리구와 비교 시 균의 생육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M. morganii와 P. phosphoreum 유래 HDC의 효소 활성은 $65^{\circ}C$에서 90% 이상의 효소 활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DS-PAGE 결과에서는 $65{\sim}100^{\circ}C$ 범위에서 비가열 처리구와 비교 시 조효소액의 단백질 패턴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121^{\circ}C$에서 단백질 band의 강도가 크게 약해졌다. Native-PAGE에서는 $65^{\circ}C$ 처리 조건에서부터 단백질 패턴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열처리($65{\sim}121^{\circ}C$)는 histamine 생성균인 M. morganii와 P. phosphoreum의 생육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HDC의 효소 활성도가 저해됨을 확인하여, 식품산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열처리 조건에서 histamine 생성 억제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histidine decarboxylase 발현에 미치는 석곡(Dendrobium monilifrme)의 효과 (Inhibitory Effect of Dendrobium moniliforme on Degranulation and Histidine Decarboxylase Expression in RBL-2H3 Cells)

  • 이영지;마디 이스칸데르;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6-182
    • /
    • 2023
  • 석곡의 줄기는 전통 동양의학에서 위를 보하고, 진액을 보충하며, 열을 내리는 것에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BL-2H3 세포에서 비만세포 탈과립과 TNF-α, IL-4, histidine decarboxylase (HDC) 발현에 미치는 석곡 열수추출물(DM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DME는 PMA와 Calcium ionophore 병행처리(PMACI)에 의해 유도되는 β-hexosaminidase 분비와 TNF-α, IL-4, HDC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또한 PMACI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AP-1 활성과 p38 kinas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과 c-Jun N-terminal kinase (JNK)의 인산화가 DME 전처리에 의해 저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DME가 비만세포 탈과립을 억제하고, MAPKs/NF-κB/AP-1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TNF-α, IL-4, HDC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들로 보아 DME는 과민반응과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로 개발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침향(沈香)의 항알레르기 효과(效果)에 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iallergic Effect of Aquillariae Lignum)

  • 김영학;이언정;송봉근;김형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86
    • /
    • 1997
  • The inhibitory activity of Aquillariae Lignum (Thymelaeaceae) on type Ⅰ immediate hypersensitivity of the anaphylactic type in the wistar rat model of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an IgE-mediated, mast cell-dependent reaction. Administered orally at 250, 500 mg/kg body weight 1 h before the challenge, Aquillariae Lignum potently inhibited PCA in rats which disodium cromoglycate showed poor inhibitory activity. Aquillariae Lignum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anaphylaxis 100% with a dose of 0.5 g/kg body weight at 1 h before or 5 and 10 min after injection of compound 48/80. Aquillariae Lignum (0.05-1.6 mg/ml) also exhibited the dose-related inhibitory effect on compound 48/80-induced histamine release from rat_peritoneal mast cells. Moreover, it was clearly demonstrated that Aquillariae Lignum and disodium cromoglycate disodium cromoglycate potently inhibited such type Ⅰ allergic reactions as anaphylactic shocks, suggesting that these drugs, at least in part, share the same mechanism of action It is suggested that Aquillariae Lignum may exert a stronger inhibition on the mast cell degranulation process. Since Aquillariae Lignum (1.0 mg/ml) inhibited about 90% of histidine decarboxylase activity, the inhibitory activity of Aquillariae Lignum for histamine release was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the inhibition of histidine decarboxylase activity. It results from increased expression of the mRNA coding for histidine decarboxylase, as assessed by Northern blot analysis after a 12 h incubation to P-815 cells with dexamethasone plus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he addition of Aquillariae Lignum to P-815 cells with dexamethasone plus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istidine decarboxylase gene expressi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was not constitutively expressed in P-815 cells. Substance P selectively activates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gene expression in P-815 cells. Aquillariae Lignurm inhibited substance P-induc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gene expression. Furthennore, The effect of Aquillariae Lignum on the mRNA expression of novel protein kinase C ${\delta}$ a major isoform of mast cells, was examined by Northern blot analysis. The expression of novel protein kinase C ${\delta}$ mRNA in the presence of Aquillariae Lignu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absence of Aquillariae Lignum.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inhibition of allergic reaction by Aquillanae Lignum should be regulated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novel protein kinase C ${\delta}$.

  • PDF

고초균 아종 spizizenii의 α-acetolactate decarboxylase 결정 구조 (Crystal structure of α-acetolactate decarboxylase from Bacillus subtilis subspecies spizizenii)

  • 엄지영;오한별;윤성일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16
    • /
    • 2019
  • 다양한 미생물은 세포와 주변의 과산화를 방지하고 여분의 에너지를 보관하기 위해 ${\alpha}$-acetolactate decarboxylase(ALDC)를 이용해 아세토인을 생성한다. 아세토인은 안전한 식품 향미 개선제이기 때문에 ALDC를 이용한 아세토인 생합성에 많은 산업체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 ALDC는 ${\alpha}$-acetolactate의 탈카르복실화 반응을 통해 아세토인을 생산하는 금속 의존 효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초균 아종 spizizenii의 ALDC(bssALDC) 결정구조를 $1.7{\AA}$ 해상도에서 보고한다. bssALDC는 두 개의 ${\beta}$-sheet가 중앙부를 형성하는 ${\alpha}/{\beta}$ 구조를 가진다. bssALDC는 중앙부의 소수성 상호작용과 주변부의 친수성 상호작용을 통해 이합체를 형성한다. bssALDC는 세 개의 histidine 잔기와 세 개의 물 분자를 이용해 아연 이온에 배위결합한다. 구조와 서열의 비교 분석에 기초하여 아연 이온과 이 주변부 bssALDC 잔기들이 bssALDC의 효소 활성부위임을 제안한다.

Inhibitory Effects of Brown Algae Extracts on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Muscle via Inhibition of Growth and Histidine Decarboxylase Activity of Morganella morganii

  • Kim, Dong Hyun;Kim, Koth Bong Woo Ri;Cho, Ji Young;Ahn, Dong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4호
    • /
    • pp.465-474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brown algae extracts on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muscle. First,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rown algae extracts against Morganella morganii were investigated using a disk diffusion method. An ethanol extract of Ecklonia cava (ECEE)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ECEE was 2 mg/ml. Furthermore, the brown algae extracts were examin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crude histidine decarboxylase (HDC) of M. morganii. The ethanol extract of Eisenia bicyclis (EBEE) and ECEE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ies (19.82% and 33.79%,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o obtain the phlorotannin dieckol, ECEE and EBEE were subjected to liquid-liquid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Dieckol exhibited substantial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0.61 mg/ml, and exhibited competitive inhibition. These extracts were also tested on mackerel muscle. The viable cell counts and histamine production in mackerel muscle inoculated with M. morganii treated with ${\geq}2.5 $ MIC of ECEE (weight basis) were highly inhibited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ample. Furthermore, treatment of crude HD-Cinoculated mackerel muscle with 0.5% ECEE and 0.5% EBEE (weight basis), which exhibited excell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crude HDC, reduced the overall histamine production by 46.29% and 56.89%,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ample. Thus, these inhibitory effects of ECEE and EBEE should be helpful in enhancing the safety of mackerel by suppressing histamine production in this fish species.

Lactobacillus plantarum 유래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의 고정화를 이용한 γ-aminobutyr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Using Immobilized Glutamate Decarboxylase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 이상재;이한승;이동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0-305
    • /
    • 2015
  • 효율적인 γ-aminobutyric acid (GABA)의 생산을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WCFS1로부터 글루탐산 탈탄산효소(glutamate decarboxylase, GAD)를 대장균에 발현, 정제 후 silica beads에 covalent coupling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화하였다. 고정화된 효소의 특성을 고정화하지 않은 효소와 비교한 결과, 모든 pH의 범위(pH 3.5–6.0)에서 8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H 안정성과 열 안정성 모두 증대되었다. 이 고정화 효소를 packed-bed reactor에 충진하여 GABA의 생산성을 확인한 결과 1리터당 1시간에 최대 41.7 g의 GABA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 발효 청국장으로부터 biogenic amine 저생성 미생물의 선발 (Selection of Biogenic Amine-reducing Microorganisms from a Traditional Korean-style Fermented Food, $Cheonggukjang$)

  • 최재영;홍성욱;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6-20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및 볏짚에서 분리한 미생물중 decarboxylase 배지에서 탈탄산효소 활성이 낮은 균주로 $B.$ $subtilis$ HH12, $B.$ $subtilis$ HR254, $P.$ $barcinonensis$ KR97을 선발하였다. 이들 선발 미생물들의 histidine decarboxylase($hdc$) gene 과 tyrosine decarboxylase($tdc$) gene을 조사한 결과, $hdc$ gene은 HH12, HR254, KR97 균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tdc$ gene은 HH12, HR254, KR110 균주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HPLC를 통해 선발 균주들의 배양상등액 중 amines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HH12, HR254, KR110 균주는 histamine이 검출되지 않았고 tyramine은 HH12, HR254, KR110 균주는 각각 6.09, 3.68, 6.30 mg/L로 검출되었다. 선발한 biogenic amines 저감화 균주들의 BAs 생성량을 decarboxylase 고생산 미생물로 사료되는 $B.$ $subtilis$ MC138 균주와 비교해보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Biogenic Amine Degradation by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and Detection of Decarboxylase-Related Genes

  • Eom, Jeong Seon;Seo, Bo Young;Choi, Hye 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519-1527
    • /
    • 2015
  • Biogenic amines in some food products present considerable toxicological risks as potential human carcinogens when consumed in excess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gradation of the biogenic amines histamine and tyramine and the presence of genes encoding histidine and tyrosine decarboxylases and amine oxidase in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food. No expression of histidine and tyrosine decarboxylase genes (hdc and tydc) were detected in the Bacillus species isolated (B. subtilis HJ0-6, B. subtilis D'J53-4, and B. idriensis RD13-10), although substantial levels of amine oxidase gene (yobN) expression were observed. We also found that the three selected strains, as non-biogenic amineproducing bacteria, were significantly able to degrade the biogenic amines histamine and tyrami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ected Bacillus species could be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the control of biogenic amine accumulation and degradation in food. Our study findings also provided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these biogenic amines for use in the food preservation and food safety sectors.

고등어의 가공 및 저장중의 히스타민 생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1) 식염, 산미료 및 감미료의 영향 (Effect of Food Additives on the Histamine Formation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of Mackerel (1) Effect of Salt, Acidulants ana Sweetenings)

  • 강진훈;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83-390
    • /
    • 1984
  • 적색육어류의 가공 및 저장중의 히스타민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고등어를 시료로 하여 식염,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D-sorbitol을 첨가하여 저장하였을 때, 이들 첨가물의 농도별, 저장온도별로 저장기간에 따른 히스타민함량과 히스티딘 탈탄산효소활성의 변화를 조사 검토하였다. 1. 염장처리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히스타민생성은 억제되었는데, $5^{\circ}C$ 저장의 경우는 염장농도에 관계없이 큰 변화가 없었고 히스티딘탈탄산효소의 활성은 저장 $2{\sim}3$일 만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는데 비하여 $25^{\circ}C$ 저장의 경우는 염장농도에 따라 히스타민생성 억제효과에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염장농도가 높을수록 히스타민함량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활성은 낮았다. 2.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를 첨가하였을 경우 히스타민생성 및 히스터딘탈탄산효소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citric acid 및 malic acid를 $10\%$ 첨가한 것은 $25^{\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여도 히스타민중독한계농도인 100 mg/100g에 달하지 않았다. 3. D-sorbitol을 첨가한 것은 히스타민함량 및 히스티딘탈탄산효소의 활성이 $10\%$ 첨가한 것에서는 다소 억제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 첨가한 것에서는 큰 영향을 볼 수가 없었다. 4. 전반적으로 보아 히스타민함량은 히스터딘탈탄산효소의 활성이 커지는데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양자는 반드시 정비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첨가한 제품이 지방의 산패억제효과가 가장 좋았다. 그리고 저장중 제품의 경도는 약간 증가하나 탄성, 응집력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생균수는 저장 100일동안 모두 음성이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시판튀김어묵과 비교하였을때 맛도 양호하고 100일동안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folding test AA였다. (5) 연제품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40.1\%$, 단백질 $20.8\%$, 지방 $17.4\%$, 탄수화물 $16.2\%$ 및 회분$5.5\%$였다.또 외해쪽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남쪽보다는 북쪽에서 출현이 우세했던 점을 볼 때 주산란시기는 $5{\sim}6$월이고 주 산란장은 수온 약 $15^{\circ}C$, 염분도 약 $32\%0$의 정점 4부근으로 사료된다. 6. 이외에도 2월에는 줄공치, 농어, 장갱이, 쥐노래미, 꼼치류, 볼낙류, 3월에는 넙치, 4월에는 둑중개류, 각시가자미류, 은어, 뱀장어, 5월에는 실고기 6월에는 전어, 붕장어, 쏨뱅이, 개볼낙, 볼낙양태, $7{\sim}8$월에는 준치 꼬치고기, 동갈돔류, 보리멸류, 고등어, 쉬쉬망둑, 눈볼대, 미역치류, 참서대류의 치어들이 최초로 출현했다.EX>$2{\sim}3$배 증가되고 있어 이차적인 환역오염이 우려 된다. 7. 대장균군 최확수의 분포범위는 $7.3{\sim}460,000/100ml$였으며, 금곡에서 을숙도 구간인 중부수역에서의 기하평균치는 $3,476{\sim}34,700/100ml$으로 극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이 수질의 여파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