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미국 중산층 여성 일-가정양립 경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The American Route of the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 최성은;양재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3호
    • /
    • pp.79-108
    • /
    • 2016
  • '저복지 국가인 미국에서, 여성들의 일-가정양립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 왔을까?' 이 질문에 답을 하고자, 미국 여성 일-가정양립경로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과관계를 4단계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과거 전업주부에 머물렀던 중산층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일-가정 양립모델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기존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여성의 고등교육이 확대되고, 산업변화로 미혼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시작된 시기였다. 제2단계는 중산층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뉴딜, 소비자본주의,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확대된 시기이다. 제3단계는 여성해방운동으로 정부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적극적' 시행이 요구되어 전문화된 직업영역으로 여성의 일자리가 확대된 시기였다. 제4단계에서는 더 나은 정규직 일자리로 진입하려는 여성 근로자의 공급 측면과, 양질의 근로자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요 부분이 개별고용관계를 통해 노동시장 제도 내에서 맞물렸다. 이로써 맞벌이의 규범화가 이루어졌다. 즉, 저복지국가인 미국에서는 여성의 개별적 노력(학업을 통한 능력향상과 여성운동)과 개별고용관계가 발달된 노동시장 특징으로 인하여, 고학력 중산층 여성의 '고(高)고용-고출산'이 가능하며, 정규직 일자리로의 재복귀가 비교적 용이한 여성 일-가정양립 패턴이 완성될 수 있었다.

기혼여성의 취업이 가구의 소비패턴과 산업별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 and Industrial Labor Demand)

  • 최바울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1호
    • /
    • pp.93-129
    • /
    • 2013
  • 본 논문은 기혼여성의 취업으로 인해 발생된 소비패턴의 변화와 그로 인해 야기되는 산업별 산출액의 변화 및 노동수요 파생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맞벌이가구 증가에 따라 교통비와 교육비, 외식비, 가사서비스 등의 소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소비패턴 변화로 인해 교육 및 보건업, 음식 숙박업 등 시장서비스업의 노동수요 증가가 야기되었다. 특히 고학력 및 중산층 이상의 기혼여성의 취업 시 취업유발효과가 높았으며, 그로 인해 저숙련 업종의 노동수요를 파생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어머니의 성 역할 태도와 자녀 양육 가치관 (Mother's Sex-Role Attitudes and Child Rearing)

  • 하승민
    • 아동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3-84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sex-role attitudes and child-rearing values of independence granting and pressure for achievement, and also to examine variations in mothers' attitudes by sex of chi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0 mothers of preschool girls and boys. They were middle and high SES class and highly educated. The 20 item version of the Feminism Scale (FEM Scale) was used to measure mothers 'attitudes toward women's sex-role ideology. The Korean Sex-Trait Stereotype Measure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sex-perception of masculinity and feminity. The 5-item translated Barnett Independence Grant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independence granting. The 7-item version of the Barnett Pressure for Achievement Scale was used to measure mothers' pressure on their children for achievement. Data analysis consisted of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test. The results were: 1. Mothers' nontraditional sex-role ideolog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mean age of independence granting and to pressure for achievement. 2. Two self-perception scores (self-masculine and self-feminine) were not related to mean age of independence granting but were significant1y related to pressure for achievement. 3. The mean age of independence granting was lower for sons than for daughters. 4. Mothers put more pressure for achievement on sons than on daughters.

  • PDF

공공도서관 고령 이용자에 대한 연구 -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lderly of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박옥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75-396
    • /
    • 2007
  • 연구의 목적은 대전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공공도서관 이용에서의 특성 및 공공도서관에 대한 만족도, 공공도서관 이용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조사 결과, 여성 고령자에 비해 남성 고령자가 공공도서관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고령 이용자들의 특성은 60대의 건강하며, 학력이 높고, 생활수준이 중 이상인 것이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을 자주, 고정적으로 이용하며, 장시간 머무는 것으로, 도서관직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고령 이용자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공공도서관 이용률이 적은 잠재적 이용자, 즉 70대 이상으로서 건강이 좋지 않고 학력과 생활수준이 낮은 고령자, 그리고 여성 고령자가 공공도서관을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과제로 밝혀졌다.

  • PDF

자기기록식 3일간의 24시간 회상법의 신뢰도 연구 -서울지역 중년 자원자를 대상으로- (Reproducibility of Nutrient Intake Estimated by Three-Day 24-Hour Dietary Recall of Middle-Aged Subjects for 6 Month Intervals)

  • 이미숙;우미경;김성애;오세인;곽충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03-609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reproducibility of nutrient intakes estimate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nd health monitoring of Korean elderly) of middle-aged volunteer subjects (42 males and 49 females) in the Seoul area. The three-day 24-hour recall was administered twice at an interval of approximately 6 months. The first data were collected and a corrective procedure was performed by interviewing of the subjects and a trained dietitian. The second data were collected by mail from the subjects without the performance of any corrective procedure.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3.5 $\pm$ 9.6 for the males and 52.2 $\pm$ 8.9 for the females. The subjects who had above college education were 95% in the case of the males and 60% in the case of the fema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l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at they were highly educated and held professional jobs and were from the middle or upper class.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24-hour recall data, the second data showed relatively lower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vitamin A, vitamin Bi and cholestero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trient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data with respect to vitamin A, vitamin B$_1$ and cholesterol in the males and calcium, iron, sodium,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and cholesterol in the females. This data may indicate that the 24 hour retail method without a dietitian's help may result in lower reporting of the subject's intakes. The men had a tendency to remember less than the wome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unadjusted nutrient intakes values were ranged from 0.24 to 0.66. When energy intake was adjusted, there was a slight increase (from 0.26 to 0.71).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nutrient-unadjusted values ranged from 0.22 to 0.66, and the energy-adjusted values were ranged from 0.23 to 0.69. The weighted Kappa statistical values ranged from 0.10 to 0.40. On the average,46.3% of the subjects who were found in the lowest quartile of the nutrient intake levels based on the first 24-hour recall, were in the lowest quartile based on the second 24-hour recall. Therefore, there was a low reproducibility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24-hour recall. We should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low reproducibility. Also,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maximize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with regard to portion-size training and telephone valida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4) : 603∼609,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