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merican Route of the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미국 중산층 여성 일-가정양립 경로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Choi, Seong Eun (Institute for Welfare State Research, Yonsei University) ;
  • Yang, Jae-jin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 최성은 (연세대학교 복지국가연구소, 저발전 복지국가의 현재와 미래 SSK 대형연구단) ;
  • 양재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 Received : 2016.04.28
  • Accepted : 2016.06.1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route in which reconcili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has been operating in the United States whose welfare standards are low, by using analytic narratives,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first step saw an increase in the social advancement of unmarried women due to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occupation of white-collar, as well as the increase of women in the Academy an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second step, the social advancement of married women was increa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New Deal, consumption capitalism, and World War II. In the third step, the sphere of highly-educated women was expanded to a professional one through active measures aimed at gender equality, an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the 1960s took place. The United States' path model was completed in the fourth step. This study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o complete route of the American's Route were individual efforts of women (capacity building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n labor market.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 efforts of women, especially in building capacity through the academic and the powerful women's movement, and the labor market, whose individual employment relationship is well-develope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leting the route of the highly educated middle-class women in America.

'저복지 국가인 미국에서, 여성들의 일-가정양립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 왔을까?' 이 질문에 답을 하고자, 미국 여성 일-가정양립경로의 형성과정에 대한 역사적 인과관계를 4단계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과거 전업주부에 머물렀던 중산층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일-가정 양립모델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기존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여성의 고등교육이 확대되고, 산업변화로 미혼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시작된 시기였다. 제2단계는 중산층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뉴딜, 소비자본주의,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확대된 시기이다. 제3단계는 여성해방운동으로 정부의 적극적 조치에 대한 '적극적' 시행이 요구되어 전문화된 직업영역으로 여성의 일자리가 확대된 시기였다. 제4단계에서는 더 나은 정규직 일자리로 진입하려는 여성 근로자의 공급 측면과, 양질의 근로자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요 부분이 개별고용관계를 통해 노동시장 제도 내에서 맞물렸다. 이로써 맞벌이의 규범화가 이루어졌다. 즉, 저복지국가인 미국에서는 여성의 개별적 노력(학업을 통한 능력향상과 여성운동)과 개별고용관계가 발달된 노동시장 특징으로 인하여, 고학력 중산층 여성의 '고(高)고용-고출산'이 가능하며, 정규직 일자리로의 재복귀가 비교적 용이한 여성 일-가정양립 패턴이 완성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