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blain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초

하이플로 시멘트를 이용한 24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240MPa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Properties Using High Flow Cement)

  • 김강민;유승엽;송용순;구자술;강석화;전현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365-36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극히 낮은 물-결합재비를 갖는 24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고자 분말도가 높아 반응속도가 빠르며, 조기강도가 우수하나 극히 낮은 물-시멘트비에서 더욱 우수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강도용 '하이플로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고, 기타 초고강도용 혼합재로 실리카흄, 슬래그 미분말 및 특수 혼합재 등을 사용한 다성분계 시멘트 결합재의 최적조합을 도출하였으며, 시멘트 결합재의 분산성과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효율 초고속전단 옴니믹서를 사용하여 프리믹스 타입의 시멘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고속믹싱방법을 통해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확보하였으며, 초고강도용 특수골재를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수중양생을 실시한 경우 180MPa이상의 강도를 확보하였으며, 증기양생을 실시한 경우 200MPa이상의 강도를 얻을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특화된 양생방법을 통해 240MPa이상의 안정된 초고강도 콘크리트 품질을 확보하였다.

  • PDF

건설용 재료로써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활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aste concrete powder as a material for construction)

  • 김용직;최연왕;김상철;김영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88-94
    • /
    • 2012
  • 본 연구는 고품질의 재생골재 제조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며, 분말도는 928 및 $1,360cm^2/g$인 두 종류의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주요 특징은 시멘트와 유사한 각진 입형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입자 표면에 수화생성물들이 부착되어 있었다. 또한 시멘트와 비교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입자 크기는 크게 나타났으며, 화학성분은 $SiO_2$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혼합한 페이스트의 점도는 시멘트만을 사용한 페이스와 비교하여 최대 62% 감소하였고, 종결시간은 2시간 지연되었다. 모르타르는 시멘트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플로우 값이 최대 30% 감소하였고, 흡수계수는 70% 증가 하였다.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최대 73% 감소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폐콘크리트 미분말은 시멘트와 적절히 혼합(15% 이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ometer법을 이용한 밀도 측정값과 시험 성적서간 상관분석을 통한 플라이애시의 품질특성 분석 (Quality Analysis of Fly Ash Through Correlation between Density by Hydrometer and Test Report)

  • 송흥호;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5-312
    • /
    • 2017
  • 레미콘 공장에 납품되는 플라이애시의 품질의 신뢰성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스실린더와 액체비중계를 이용하여 FA 성적서에 나타난 품질특성과 혼탁액 밀도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서에 나타나는 데이터의 적정성 분석으로는 분말도와 L.O.I를 제외한 모든 품질특성이 유효숫자 자릿수 또는 실험유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FA의 밀도, 분말도와 L.O.I의 경우는 비중계법 밀도값과 상관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특히 분말도의 상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와의 비교고찰을 실시한 결과, 본 실험에 사용된 FA는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분과 유사한 데이터로 나타났는데, 이는 분말도 측정 방법인 Blaine 공기투과장치 간의 편차 문제 또는 양호하게 정제를 하지 않음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현행 FA의 규격에도 KS L 5405 2종의 경우 분말도의 범위를 $3,000{\sim}4,500cm^2/g$에서 $3,500{\sim}4,500cm^2/g$으로 개정 한다면 레미콘 공장에 납품되는 FA 분말도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흙도로포장용 재료로서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활용성 연구 (Utilizability of Waste Concrete Powder as a Material for Soil Pavement)

  • 김용직;최연왕;김영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77-282
    • /
    • 2015
  • 본 연구는 고품질의 재생골재 제조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며, 분말도는 $928cm^2/g$인 폐콘크리트 미분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폐콘크리트 분말의 주요 특징은 시멘트와 유사한 각진 입형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입자 표면에 수화생성물들이 부착되어 있었다. 또한 시멘트와 비교하여 폐콘크리트 분말의 입자 크기는 크게 나타났으며, 화학성분은 $SiO_2$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도로포장은 대부분이 표층에 불투수층인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를 사용한 포장으로 노상과 표층이 차단됨에 따라 노상의 흙은 점진적으로 산성화가 진행되어 영양물질이 부족하여 미생물이 서식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토양의 건조화가 진행되어 여러 가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연구 결과 개발된 Road Compound 및 New Road Compound로써 표층흙을 고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압축강도를 5MPa에서 최대 29MPa정도까지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흙포장 도로의 사용목적에 따라 즉 압축강도가 12~15MPa 범위에서는 보도 및 자전거도로용, 15~18MPa 범위에서는 경교통로 및 주차장용, 18~25MPa 범위에서는 일반도로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Road Compound 및 New Road Compound의 혼합률을 조정하면 지반개량공사에 있어 연약지반 개량 및 안정처리용 등으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쇄된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 Blast Furnace Slag - Fly Ash Blends Containing Ground Fly Ash)

  • 박효상;유동우;변승호;송종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8-68
    • /
    • 2009
  • In this study, rheological properties of ternary system cement containing ground fly ash(F3, Blaine specific surface area $8,100\;cm^2/g$) were investigated using mini slump, coaxial cylinder viscometer and conduction calorimeter. In the results, the segregation resistance was observed at high W/B and PC area while the replacement ratio of F3 was increasing. The 2:5:3 system was shown in higher fluidity and lower hydration heat than 3:4:3 system. The segregation range of cement pastes occurred over 175 mm in average diameter by mini slump and below $10\;dynesec/cm^2$ of the plastic viscosity or below 50 cP of the yield stress by coaxial cylinder viscometer. It was observed that even if BFS and FA blended together admixture properties would remaine as they were separately. The properties of admixture would not be changed. On the above results, the decreased replacement ratio of OPC and increased replacement ratio of admixtures would be possible.

Optimization of Curing Regimes for Precast Prestressed Members with Early-Strength Concrete

  • Lee, Songhee;Nguyen, Ngocchien;Le, Thi Suong;Lee, Chad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0권3호
    • /
    • pp.257-269
    • /
    • 2016
  • Early-strength-concrete (ESC) made of Type I cement with a high Blaine value of $500m^2/kg$ reaches approximately 60 % of its compressive strength in 1 day at ambient temperature. Based on the 210 compressive test results, a generalized rateconstant material model was presented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s of ESC at different equivalent ages (9, 12, 18, 24, 36, 100 and 168 h) and maximum temperatures (20, 30, 40, 50 and $60^{\circ}C$) for design compressive strengths of 30, 40 and 50 MPa. The developed material model was used to find optimum curing regimes for precast prestressed members with ESC.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pending on design compressive strength, conservatively 25-40 % savings could be realized for a total curing duration of 18 h with the maximum temperature of $60^{\circ}C$, compared with those observed in a typical curing regime for concrete with Type I cement.

플라이애시 입도가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ineness of Fly Ash on the Compressive Strength)

  • 조영근;김호규;김영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313-319
    • /
    • 2017
  • 일반적으로 플라이애시의 입도, 화학성분, 비정질양, 비정질 Si, Al 양등 매우 다양한 요인이 시멘트와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의 입자 특성이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표준사를 플라이애시와 유사한 입도로 분쇄하여 플라이애시와 동일하게 시멘트와 배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압축강도 결과 값을 사용하여 시멘트 수화반응에 의한 강도와 입자 충진 효과에 의한 강도 증진을 확인하였다. 표준사 분말을 치환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결과를 활용하여 플라이애시의 포졸란 반응에 의한 강도 증가분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결과 값과 플라이애시의 입자 특성을 비교한 결과, 분말도는 압축강도와 약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PI(Pozzolanic Index)는 10% 통과직경(D10)과 50% 통과직경(D50)과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향후 PI와 D10과의 상관성은 플라이애시의 화학적 특성과 함께 플라이애시 특성을 파악하는 좋은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퍼레이터 백필터 집진 미립자시멘트 (SBFC : Separator Bag Filter Cement)의 활용성 검토 (Investigation for Utilization of Separator Bag Filter Cement)

  • 김경민;박상준;유재강;이의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78-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BFC의 기본 성능을 분석하고, 페이스트 및 모르터에서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향후 경제적인 조강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SBFC의 우수한 조기강도 발현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유동성을 고려했을 때 OPC와 SBFC와의 적정 혼입율을 도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슬래그부산물을 자극제로 활용한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 (Properties of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Based on High-activated Blast Furnace Slag using the Slag by-product as an Activator)

  • 이보경;김규용;구경모;신경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4
    • /
    • 2014
  • 건설산업에서는 탄산가스 저감을 위해 산업부산물을 다량 활용하는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부산물 중 특히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잠재수경성에 기인하여 장기강도는 우수하나 초기강도가 낮기 때문에 많은 양을 대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강공정 중 용선예비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부산물을 활용하여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시험 제조후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모르타르 압축강도 강도발현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 단독으로도 경화가 가능한 특징을 고려해서 2차 콘크리트 제품용 결합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배합조건에 따른 콘크리트 제조 및 압축강도 발현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변수로써 슬래그부산물의 분말도, 치환율, 양생조건 및 W/B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슬래그부산물을 자극제로 활용한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단독으로도 경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양생 및 배합조건을 고려하면 고활성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콘크리트 2차 제품용 결합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환경에서 고분말도 시멘트의 수화반응 및 강도발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ation and Strength Development of High Blain Cement at Low Temperature)

  • 문영범;김형철;최현국;김재영;이한승;김목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7-3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저온환경에 고분말도 시멘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기초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시멘트에서 입도 분급된 고분말도 시멘트는 초기 수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10{\mu}m$이하의 입자가 다수 분포하였으며 분말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급된 미세한 시멘트 입자는 초기 수화반응이 매우 빠르고 이것은 시멘트의 수화 반응을 상승시킨다. 또한 고분말도 시멘트는 응결시간이 단축되고 모든 재령에서 압축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저온환경에서는 초기 3일 압축강도 발현속도가 OPC 보다 2배 이상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소수화열 분석을 통해 수화반응 속도가 빠르고 수화열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열온도 상승 실험을 통해 초기 수화발열 상승온도 및 최고 상승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범위 내에서 저온환경 콘크리트에 우수한 시멘트 원료는 고분말시멘트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