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Tg

검색결과 898건 처리시간 0.028초

표면조도에 따른 원자로급 흑연(IG110)의 산화거동 (Oxidation Behavior of Nuclear Graphite(IG110) with Surface Roughness)

  • 조광연;김경자;임연수;지세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613-618
    • /
    • 2006
  • Graphite is suitable materials as a moderator, reflector, and supporter of a nuclear reactor because of high toleranc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neutron irradiations. Because graphite is so weak to the oxidation, its oxidation study is essentially demanded for the operation and design of the nuclear reactor. This work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surface oxidation of graphite according to the surface treatment. With thermogravimeter (TG),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sotropic graphite are measured at the three temperature areas, and oxidation ratio and amounts are estimated as changing the surface roughness. Furthermore, the polished graphite surface produced fom the surface treatment is investigated with the Raman spectroscopic study. Oxidation behaviors of the surface are also evaluated as elimination the polished layer by washing with strong sonication.

Cross Linked Polyethylene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ross Linked Polyethylene)

  • 김한주;김규식;박종은;박수길;임기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6-519
    • /
    • 1999
  • XLPE (Cross-Linked Polyethylene) which has good electric and physical characteristic is ideal material for Insulating material with force high volumetric resistance arid high dielectric constant. We study abort electric characteristics of XLPE by DCP and TMPTA content ration. DCP (Dicumylperoxide), which was used cross-linked agent contest, was changed from 1.0 to 0.5phr. TMPTA (Trimethyl-olpropane), which was used co cross-linked agent content, was changed from 0.5 to 1.5phr. Thermal analysis by DSC in order to observe tendency of Tg according to DCP and TMPTA content. Specimen 3 that content DCP 2.0phr and TMPTA 0.5phr has the highest value Breakdown strength cf specimen 3 (DCP 2.Ophr, TMPTA 1.0phr) is the highest, value and it increased in specific inductive capacity. This due to difference from cross-linked state by DCP and TMPTA content ratio.

  • PDF

염색이 용이한 메타 아라미드 편성물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Dyeing Properties of Easily Dyeable m-Aramid Knit Fabric)

  • 이범훈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8-134
    • /
    • 2020
  • Heat and flame protecting cloth is usually made of meta aramid fiber because of its own properties. But the high inter molecular hydrogen bonding and high Tg is the reason of the difficulty to dye meta aramid fiber. Recently, it was commercialized that the easily dyeable meta aramid fiber(AMD) for improving dyeability. In this study, the dyeing properties of AMD dyed with cationic dyes were investigated. The K/S values of AMD were 5~10% higher than these of general meta aramid fiber(AM) in the case of 1%owf caused by the lower crystallinity of AMD. The difference between K/S values of AMD and AM was increased as increasing dyeing concentration. The washing and rubbing fastness grade of AM and AMD were similar and good to very good.

EMNC_60과 EMNC_65에 대한 열적, 기계적, 전기적 특성 연구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for EMNC_60 and EMNC_65)

  • 박재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895-901
    • /
    • 2012
  • In order to application for high voltage heavy electric equipments, epoxy/microsilica 60 wt%/nano layered silicate composites (EMNC_60) and epoxy/microsilica 65 wt%/nano layered silicate composites (EMNC_65) respectively was synthesized by our electric field dispersion method and the result was obtained completely dispersion state. Thermal properties such a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DMA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and flexural tests were performed. AC electrical insulation strength was also tested. The study on thermal property, EMNC_65 was better than EMNC_60 and mechanical, electrical properties much improved EMNC_60 compared with EMNC_65.

복분자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ubus coreanum Miquel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pid Metabolism)

  • 김인덕;강금석;권륜희;양정옥;이중숙;하배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3-217
    • /
    • 2007
  • 복분자 (Rubus coreamum Miquel)는 우리나라 남부에서 야생하는 과실 생약으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맹안, 태생, 지사, 음위, 강장, 그리고 양모 등에 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한방에서 신장기능, 불임증, 음위증, 유정몽설, 강장제로 쓰였으며 혈액과 눈을 밝게 해주며 간을 보호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LPS는 그람양성균의 세포벽을 만드는 물질의 일종으로 NO를 생성시키고 $Ca^{2+}$를 증가시키며 free radicals를 형성하여 간 조직의 막을 파괴하고 간의 지방을 축적시키고 노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복분자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지질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정상군, 대조군, 시료군 (RCM)군으로 분류하여 20일간 매일 같은 시간 내에 선 투여하고 21일째 되는 날 LPS를 4시간 전에 투여하여 그 독성이 가장 강할 때 해부를 하여서 활성도를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효소 활성의 변동을 평가하였다. 중성지방 (TG)의 에너지의 저장 형태로 존재하는 지방이다. 이는 안정한 물질로 몸에 축적된다. 하지만 과도할 경우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을 한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의 경우 3.9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몸에 지질이 쌓이게 되어 성인병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된다. 그에 비해 RCM을 투여한 군의 경우 56.4%로의 지질함량을 억제효과를 알 수 있었다. 총 지질 (Total lipid)는 혈청안에 있는 지질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함량이 높을 수록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으로 이어지며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67배로 증가를 하였지만 RCM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59.2%로 지질 함량을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은 인체의 여러 조직에서 만들어지나 주로 간에서 생성된다. 혈중 cholestrol의 증가는 비만, 동맥경화, 고혈압 등의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지방 대사 장해 등을 일으킨다. 함량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74배 증가하였다. 그에 비해 RCM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57.4%의 예방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HDL-콜레스테롤은 항 동맥경화의 지표로서 콜레스테롤을 말초혈관에서 간으로 수송하여 동맥경화를 진행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여 지질대사 장해에 대한 방어 작용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2.62배 감소하였다. 그에 비해 RCM 투여군은 대조군보다 81.6% 증대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과산화 지질 (Malondialdehyde)의 경우 지질조직의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효소로 인정되고 있으며, 조직의 손상, 발암, 염증, 성인병 및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유해 작용을 일으킨다.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1.74배 수치가 증가되었으며, RCM투여군의 대조군과 비교 시 57.4% 감소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LPS로부터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복분자의 선투여 후 예방효과를 알아보았다. 생약재의 일종인 복분자의 경우 LPS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및 지질대사로부터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질과산화에 대해서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복분자는 생활 습관병의 예방과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지질대사와 과산화지표의 검증을 통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운동훈련과 마늘가루 섭취에 의한 흰쥐의 혈중 지질 및 MDA, SOD 활성 차이 (Differences of Garlic Powde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in Rats)

  • 전병덕;김진하;류승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37-1345
    • /
    • 2009
  • 본 연구는 운동훈련과 마늘가루 섭취가 혈중지질과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서 28마리의 SD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고지방식이와 함께 마늘분(500 mg/kg)을 사료에 혼합시켜 섭취시켰다. 집단은 대조군(CON), 운동군(EXE), 마늘군(GAR), 그리고 마늘분과 운동훈련 병행군(GAREXE)로 각각 구분하였다. EXE와 GAREXE는 트레드밀 달리기를 4주동안 실시하였다. 지방량(장간막, 신주위, 부고환주위)의 정량과 혈중 글루코스, 중성지방(Triglyceride: TG),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등을 분석하였다. 간조직의 MDA (Malondialdehyde)와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을 분석하였다. GAREXE의 체중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GAR과 GAREXE이 경우에 지방량 역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중 글루코스는 CON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5), TG는 GAR과 GAREXE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C는 GAREXE가 CON 및 GAR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HDL-C는 CON에 비하여 EXE와 GAR에서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GAREXE는 EXE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5). MDA 함량은 GAREXE가 EXE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SOD 활성은 CON에 비하여 다른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GAREXE의 경우에 EXE와 GAR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동과 병행할 경우의 유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운동훈련을 실시하는 경우에 마늘분 섭취는 혈중 글루코스를 낮추고, 혈중지질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효과 역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추후 마늘의 추출법, 제조공정, 섭취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적 접근을 통해서 마늘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 대한 최대 표준섭취계수와 갑상선 자가 항체의 임상적 상관관계: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 중심으로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the Autoimmune Thyroid Disease for the Thyroid Autoimmune Antibodies and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Base on the Hashimoto's Thyroiditis and the Graves' Disease)

  • 우민선;백철인;유주은;송종우;임인철;손주철;조수동;이재승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41-248
    • /
    • 2014
  • 본 연구는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를 보이는 PET/CT 영상에서 최대 표준섭취계수($SUV_{max}$)와 갑상선 자가 항체(anti-TPO Ab, anti-TG Ab, TSH)들 사이의 임상적 상관관계를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건강검진에서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1,097명을 대상으로 미만성 FDG 갑상선 섭취 여부를 분석하여 갑상선 기능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를 보이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 환자는 39명(3.6%)이 발견되었으며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43.6%, 그레이브스병은 23.1% 이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anti-TPO Ab와 anti-TG 수준이 높은 역가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UV_{max}$와 anti-TPO Ab간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4, p<0.05). 또한 그레이브스병은 대부분의 갑상선 자가 항체의 수준이 높은 역가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UV_{max}$와 TSH간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5, p<0.01). 따라서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 증가에 따른 $SUV_{max}$ 수준이 높을수록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anti-TPO Ab 수준이, 그레이브스병은 TSH 수준이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상관관계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 대한 부대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척도로서 임상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에 대한 야채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Vegetable Formula on Obese Mice in High Fat Diet)

  • 이재혁;신태용;박정숙
    • 생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6-52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G) lowering and anti-obesit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vegetable formula (onion 25%, carrot 20%, Cabbage 20%, Sweet Pumpkins 20%, Chinese plum 5%, turmeric 5%, morus leaves 5%, SLS) in mice fed high fat-diet. ICR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a normal diet group (ND), a high-fat diet group (HFD), a high-fat diet and SLS with 300 mg/kg treated group (HFD+SLS). Body fat gain was increased by high-fat diet and HFD+SLS group showed a definite weight loss.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e HFD+SLS group was 328.4 mg/dl which was 27.4% lower than that in the HFD group and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SLS was confirmed. The HFD + SLS group showed 118.1 mg/dl and the triglyceride level in the serum was decreased by 88.7% compared to the HFD group and SLS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triglyceride levels. RT-PCR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the target gene SCD-1 was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SLS-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LS water extract may have 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lowering effect and inhibit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SCD-1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고콜레스테롤식에서 홍화박과 들깨박이 난소절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and Perilla Seed Powders on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조성희;최상원;최영선;이원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118
    • /
    • 2001
  • To study effect of non-fat components present in plant seeds on lipid metabolism, defatted safflower and perilla seed powders were used in high cholesterol diets for ovariectomized (ovx) fe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27$\pm$15g. Experimental groups were six as follows; normal group without ovariectomy and cholesterol-free diet, sham and ovx-control groups with high cholesterol and cellulose for dietary fiber, ovx-est group with the same diet as ovx-control but with eight subcutaneous injections of 50$\mu\textrm{g}$ 17$\beta$-estradiol. ovx-safflower and ovx-perilla with 29% and 16% (w/w) of each defatted powder in high cholesterol diets at the expense of cellulose. Weight gains were lower in normal and sham groups and food efficiencies were lower in normal,ovx-est and ovx-safflower groups compared with ovx-control. Uterus weights were dramatically reduced by ovariectomy but restored completely by 17$\beta$-estradiol and partially (~5%) by defatted safflower.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were not different among ovx-control, sham, vx-est and ovx-safflower groups (90.8~95.1 mg/dL) but that was lower in ovx-perilla (80.4$\pm$6.2 mg/dL). Plasma triglyceride (TG) levels were lower in sham (76.6$\pm$7.0 mg/dL) and ovx-perilla (79.2$\pm$5.8 mg/dL) groups. Liver 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sham, ovx-est, ovx-safflower and ovx-perilla groups (26.6~29.8 mg/g) than ovx-control (36.5$\pm$3.2 mg/g). But liver TG levels were reduced only sham and ovx-est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Fecal excretions of bile acid and cholesterol were highest in ovx-safflower group (30.8$\pm$5. and 32.1$\pm$5.7 mg/g) compared with other ovx groups (20.8~23.1 and 12.1~19.5 mg/g).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perilla and safflower seeds contain groups (20.8~23.1 and 12.1~19.5mg/g).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perilla and safflower seeds contain non-fat and non-fiber components having lipid lowering effects.

  • PDF

서울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지방산 섭취 패턴과 혈청 지질 및 혈청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atty Acid Intake Patterns, Serum Lipids and Serum Fatty Acid Compos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정은정;안홍석;엄영숙;이양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3-27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individual fatty acid intake and to compare serum lipid levels and total serum fatty acid com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tal : 234 ; male : 91 ; female : 143) In serum lipid levels, total cholesterol (Chol.), HDL-Chol. and LDL-Chol. levels of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Fish & Low Meat intake (HFLM) and Low Fish & High Meat intake (LFHM) groups. The average fat intake was 22-25 energy % of total subjects and especially, that of LFHM group was 29%, which were over the recommendation level. Although the average P/M/S ratio of dietary fat was 1.1/1.2/1.0, the average range of $\omega6/\omega3$ fatty acid ratio of dietary fat was found to be 17.9-20.7, which was far beyond the suggested range, 4-10. The average intake of cholesterol of total subjects was 360mg. LFHM group had more meats and beverages such as carbonated drinks and tended to have less beans, vegetables and mushrooms. In addition, LFHM group had more energy and fat intake than those of HFLM group, the P/S ratio of dietary fat (0.73) was lower than the recommended ratio. Serum C16 : 0 composition of LFH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FLM group, and EPA and DHA composition of HFL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FHM. Therefore, in HFLM group, the P/S ratio of serum fatty acid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omega6/\omega3$ ratio was lower. Dietary C18 : 0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EPA and DHA composition. Individual PUFA intak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16 : 0 and sum of SFA,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C18 : $2\omega6(LA)\;,\;sum\;o;\omega6$ and sum of PUFA. Serum C18 : 1, C18 : $3\omega3\; and\; C20\;:\;4\omega6$ (AA) compositions were not correlated with dietary fatty acid. Only serum triglyceride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rum fatty acid compositions. Sum of SFA, C14 : 0, C16 : 0, sum of MUFA and C18 : 1 composi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TG levels, but LA, AA, sum of PUFA and P/S ratio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