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Hexon and fiber gene changes in an attenuated fowl adenovirus isolate from Malaysia in embryonated chicken eggs and its infectivity in chickens

  • Sohaimi, Norfitriah M.;Bejo, Mohd H.;Omar, Abdul R.;Ideris, Aini;Isa, Nurulfiza M.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19권6호
    • /
    • pp.759-770
    • /
    • 2018
  • Fowl adenovirus (FAdV) is distributed worldwide and causes economic losses in the poultry indust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hexon and fiber gene changes in an attenuated FAdV isolate from Malaysia in specific pathogen-free chicken embryonated eggs (SPF CEE) and its infectivity in commercial broiler chickens. SPF CEE were inoculated with 0.1 mL FAdV inoculum via the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for 20 consecutive passages. The isolate at passage 20 (E20), with a virus titer of $10^{8.7}TCID_{50}/mL$ ($TCID_{50}$,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was inoculated (0.5 mL) into one-day-old commercial broiler chicks either via oral or intraperitoneal route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100% embryonic mortality was recorded from E2 to E20 with a delayed pattern at E17 onwards. The lesions were confined to the liver and CAM. Substitutions of amino acids in the L1 loop of hexon at positions 49 and 66, and in the knob of fiber at positions 318 and 322 were recorded in the E20 isolate. The isolate belongs to serotype 8b and is non-pathogenic to broiler chickens, but it is able to induce a FAdV antibody titer. It appears that molecular changes in the L1 loop of hexon and the knob of fiber are markers for FAdV infectivity.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laysian fowl adenovirus (FAdV) serotype 8b species E and pathogenicity of the virus in specific-pathogen-free chicken

  • Sabarudin, Nur Syazana;Tan, Sheau Wei;Phang, Yuen Fun;Omar, Abdul Rahma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4호
    • /
    • pp.42.1-42.16
    • /
    • 2021
  • Background: Inclusion body hepatitis (IBH)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viral disease primarily affecting broiler and breeder chickens. All 12 serotypes of fowl adenovirus (FAdV) can cause IBH. Objectives: To characterize FAdV isolate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and to study the pathogenicity of FAdV-8b in specific-pathogen-free (SPF) chickens following virus inoculation via oral and intramuscular (IM) routes. Methods: Suspected organ samples were subjected to virus isola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FAdV detection. Hexon gene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were performed on FAdV-positive samples for serotype identification. One FAdV-8b isolate, UPM/FAdV/420/2017, was selected for fiber gene characterization and pathogenicity study and was inoculated in SPF chickens via oral and IM routes. Results: The hexon gene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all isolates belonged to FAdV-8b. The fiber gene-based phylogenetic analysis of isolate UPM/FAdV/420/2017 supported the grouping of that isolate into FAdV species E. Pathogenicity study revealed that, chickens infected with UPM/FAdV/420/2017 via the IM route had higher clinical score values, higher percent mortality, higher degree of the liver lesions, higher antibody response (p < 0.05), and higher virus shedding amounts (p < 0.05) than those infected via the oral route. The highest virus copy numbers were detected in liver and gizzard. Conclusions: FAdV-8b is the dominant FAdV serotype in Malaysia, and pathogenicity study of the FAdV-8b isolate UPM/FAdV/420/2017 indicated its ability to induce IBH in young SPF chickens when infected via oral or IM routes.

소아장염을 유발하는 한국형 아데노바이러스들의 지놈형별 (Genome Type Analysis of Human Adenoviruses Associated with Pediatric Gastroenteritis in Korea)

  • 김희진;양재명;김경희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0
    • /
    • 1996
  • 대략 36,000 base pairs (bp)의 두 가닥짜리 DNA를 지놈으로 가진 사람 아데노바이러스 (Ad)는 DNA 상동성(相同性) 및 생물학적/생화학적 성격이 특이한 49개의 혈청형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대부분의 Ad가 영유아군 및 면역능이 저하된 성인에서 치사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d의 세포향성(向性)(tropism)은 매우 다양하여 종류에 따라 상기도 감염, 각결막염, 영유아 장염등을 유발하는데 최근 Ad의 다양한 병원성에 대한 원인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규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에 따라 주되게 출현하는 Ad형 규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Ad 동정/확인은 표면을 이루고 있는 group 공통항원인 hexon 단백질을 탐지하는 효소면역 측정법 (EIA)에 의하며, Ad형별은 Ad fiber의 세포독성 중화시험에의 한다. 그러나, 세포독성 중화시험이 엄청난 노동력 및 시간을 요구하면서도 민감도/특이도가 만족스럽지 못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검체 또는 세포배양에서 Ad DNA를 추출하여 제한효소 절단형태를 비교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세포배양에 잘 자라지 않는 바이러스주의 형별뿐만 아니라 지역 분리주들의 지놈 변형주를 관찰하는 분자생물학적/분자역학적 연구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국내에는 Ad와 관련된 소아장염의 빈도가 rotavirus에 의한 것 다음으로 빈번한데도 Ad40/41외에 주되게 출현하는 장내 Ad형들이 전혀 규명된 바 없고, 한국형 Ad들의 지놈형태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세계적으로 Ad형별 조사지역이 늘어감에 따라 유아장염과 연관된 Ad 역시 Ad40, 41이 외의 형들이 Ad40, 41을 능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지역도 있으나 국내에서는 Ad40, 41이외의 형들은 그 역학적 중요도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Ad주들에 특이 중화항체를 이용한 세포독성 중화시험과 Ad DNA 절단법을 적용하여 한국형 장내 Ad주들의 형별을 처음으로 시도함과 동시에 1989-1991사이 출현한 Ad들의 유전적 변형을 관찰하려는 것이었다. 두 방법 모두 사용하였을 때 주되게 출현하는 장내 Ad형들은 Ad4l, Ad2, Ad7, Ad5, 및 Ad40이었다. Ad40/41-양성 검체를 제외한 Ad hexon-EIA양성들의 77.5%를 형별 할 수 있었던 Ad DNA의 제한효소 절단방법은 형들간의 교차중화로 특이성이 낮았던 중화방법 (47.5%)보다 매우 효율적이어서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적응하였을 때는 40주중의 81.5%인 35주를 형별 할 수 있었다. 또한Ad DNA 제한 효소 절단방법은 Ad7 변이주 (Ad7b)도 탐지 할 수 있었다.

  • PDF

경기도내에서 분리한 호흡기아데노바이러스의 혈청형 분포특성 (Serotype Distribution of Human Respiratory Adenovirus Isolated in Gyeonggi Province)

  • 이현경;이명진;문수경;김운호;조한길;윤미혜;이정복;정향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5-179
    • /
    • 2012
  • 아데노바이러스는 다양한 급성호흡기감염증을 유발하며, 대부분 영유아나 어린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경기지역 소아청소년과 및 내과에 내원한 급성호흡기 감염증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호흡기아데노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및 혈청형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1,622명의 급성상기도 감염증이 의심되는 환자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102건(6.3%)에서 아데노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102건의 아데노바이러스 양성 검체에서 세포배양법으로 76주의 아데노바이러스를 분리하였고, 혈청형별 특이유전자인 헥손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혈청형을 확인하였다. 최근 3년간 경기도내에서 아데노바이러스 1형부터 6형까지 6개의 다른 혈청형이 분리되었고, 이 중 3형(n=40, 52.6%)이 가장 주류를 이루었다. 2009년에는 1형과 3형, 2010년에는 3형, 2011년에는 5형이 각각 우점하였다. 1, 2, 4, 5, 6형은 연중 산발적으로 확인되었으나, 3형은 산발적으로 발생하면서 2010년에는 큰 유행을 일으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3년동안 경기도내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outbreak의 주 원인 혈청형은 아데노바이러스 3형임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도 outbreak의 원인이 되는 특정 혈청형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wl adenovirus serotype 4 from chickens with hydropericardium syndrome in Korea

  • Park, Hong-Su;Lim, Il-Soo;Kim, Sang-Kyu;Kim, Toh-Kyung;Yeo, Sang-Geo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9-216
    • /
    • 2011
  • Four strains of fowl adenovirus (FAdV) were isolated from 4 flocks of broiler or layer chickens affected by hydropericardium syndrome in Korea. These FAdVs were classified as serotype 4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atterns of hexon genes and whole genomes. The virus exhibited cytopathic effects consisting of rounding, ballooning and clustering in primary chicken embryo liver cell cultures.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virus particles in hexagonal shape aggregated exclusively in the nuclei of hepatocytes of the chickens as the typical appearances in adenovirus infections. Buoyant density of the virus in cesium chloride (CsCl) was 1.34 g/mL. The virus was stable to chloroform, ether, 50~70% ethanol, acidic condition at pH 3, 0.25% trypsin (1 : 250), heat at $50^{\circ}C$ for 30 min, but labile to 100% ethanol, heat at $52{\sim}60^{\circ}C$ for 30 min, 1 M $MgCl_2$ at $50^{\circ}C$ for 1 h, 1 : 2,000 formalin (37%). All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pertain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denoviruses. Eight viral polypeptides were determined in CsCl-purified virus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서울 지역 장염환아에서 분리되는 아데노바이러스 형별 (Adenovirus types in pediatric gastroenteritis in seoul)

  • 조은경;이규만;정용훈;조양자;김경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권1호
    • /
    • pp.76-85
    • /
    • 1996
  • Adenoviruses(Ad) are considered to be second only to rotaviruses as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gastroenteritis in young children in Korea and thus it is essential to know the full spectrum of Ad serotypes routinely present in stool specimens from symptomatic patients. Sixty-six Ad isolates and three questionable ones collected over a 2-year peiord were typed by standard microneutralization, restriction endonuclease digestion and PCR of viral DNA to be able to evaluate these assays comprehensively for their ability to identify Ad associated with gastroenteritis. A total of sixty-one isolates(88.4%) were typed: the predominant types were Ad type 41(Ad41)(26.2%), Ad2(19.7%), Ad40(14.8%), Ad5(9.8%), and Ad7(9.8%)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lmost 80% of the isolates. The remaining virus isolates were typed as Ad1, 31, 34, 3, 25 and a mixture of 40/41. The incidence of Ad31(4.9%) or Ad3(1.6%)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DNA restriction analysis(77.5%) proved to be better than serum neutralization but not so when compared to a PCR-based assay for identification of the enteric Ad serotypes(90%) in stool specimens. In this work, the PCR-based assay was evaluated as a tool for the rapid, yet highly sensitive identification of adenoviral DNA sequences in fresh clinical stool specimens.

  • PDF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한 유행성 각결막염의 발생 (An Outbreak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by Adenovirus Type 8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박나리미;나지윤;정경은;이진아;김이경;김한석;김성준;송정숙;오향순;이환종;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44-53
    • /
    • 2008
  • 목 적 :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각결막염은 안구 통증, 결막 충혈 및 분비물 증가 등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이 높은 질환으로, 주로 접촉으로 전파되며 4, 8, 19, 37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사회나 안과 병원에서의 유행성 각결막염이 성인에서 다수 보고되었으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유행이 보고된 경우는 드물고, 국내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 각결막염의 유행이 보고된 예가 없었다.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아데노바이러스 8형 유행성 각결막염의 전파 및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PCR 기법이 진단과 감염 방지 대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5년 7월 12일부터 8월 1일까지 20일간,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 12명, 의료진 3명 및 보호자 1명에서 결막 충혈과 분비물 증가 등의 전형적인 결막염 증상이 발생하였다. 각결막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결막 분비물 및 호흡기 검체에서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배양 검사와 PCR 검사를 시행하였고, PCR양성을 보인 검체에 대해서는 hexon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1명의 환아와 1명의 의료진에서 검사가 가능한 검체를 채취하였으며, 12명(100%) 모두에서 PCR 양성을 보였고, 검사 가능한 11명 중 6명(54.5%)에서 아데노바이러스가 배양되었다. 신생아 11명의 검체는 염기서열 분석에서 아데노바이러스 8형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먼저 결막염 증상이 발생한 4명의 환아는 유행 일주일 전 같은 날 미숙아 망막병증에 대한 정기 안과 검진을 받았다. 첫 증례가 발생한 후 10일째까지 10명의 환아와 각각 1명의 상근 의사, 간호사에서 증상이 발생하였고 이후 20일째까지 4명의 환자가 추가로 발생하였다. 감염이 의심되는 환아들은 코호트 격리 및 장갑, 가운을 포함한 접촉 격리를 시행하였고, 감염된 의료진은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1-2주간 병가를 받아 접촉이 차단되었다. 이환된 신생아들의 출생 당시 평균재태주령은 $28^{+5}$주, 평균 출생체중은 1,102 g이었고, 증상이 시작되었을 당시 연령 및 체중은 각각 평균 $35^{+6}$주, 1,745 g이었다. 환아들은 증상이 시작된 지 평균 16.7 (${\pm}$5.1)일이 지난 후에 합병증 없이 호전되었다. 이전의 보고에서 4주-4개월에 이르는 유행이 보고된바 있으나, 본원에서는 발병 3주 이후에는 더 이상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결 론 :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한 각결막염이 있었던 미숙아들의 유행전파 경로와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진단 시 PCR과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 혈청형의 결정법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어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이는 결막염 유행 시 빠른 실험실적 진단 방법으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부산지역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한 아데노바이러스와 보카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분석 (Epidem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denovirus and Human Bocavirus Detected Acute Respiratory Patients in Busan)

  • 황수정;김남호;박동주;구평태;이미옥;진성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5-282
    • /
    • 2017
  • 부산지역 급성호흡기감염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여 아데노바이러스 및 보카바이러스의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유행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230명의 환자에서 총 1,485건(46.0%)의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이 중 아데노바이러스 257건(8.0%), 보카바이러스 68건(2.1%)을 확인하였다. 성별 발생양상은 남자가 여자보다 아데노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감염증에 취약하였으며, 모두 1~5세 연령군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여 영 유아의 주요 감염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임상증상으로 아데노바이러스는 발열, 두통이 보카바이러스는 천명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형분석결과, 아데노바이러스는 1~6, 8형의 혈청형을 확인하였고 기존 분리주와 97%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연도별 유행 혈청형은 2011년 아데노바이러스 1형, 2012년 3형과 4형, 2013년에는 3형이 우점적으로 유행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 3형의 경우, 대유행을 유발하는 아형으로 보인다. 보카바이러스는 모두 1형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