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ne extract

검색결과 1,103건 처리시간 0.022초

용매에 따른 Rooibos Tea(Aspalathus linea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Rooibos Tea(Aspalathus linearis) Extracts)

  • 이초롱;이정희;박상현;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82-586
    • /
    • 2008
  • 남아프리카의 고산지대에서 자란 루이보스를 발효하여 가공한 루이보스 차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 폴리페놀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루이보스 차 추출물 내의 폴리페놀성 물질의 존재여부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진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의 동정 및 정량, 그리고 자유라디칼 소거능력을 통한 항산화 실험과 어유를 이용한 유도기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루이보스 차 250 g을 세 가지 용매(hexane, ethyl acetate, ethanol)로 분획, 농축하여 각각 hexane 추출물 1.14 g/250 g tea, ethyl acetate 추출물 0.95 g/250 g tea, 그리고 ethanol 추출물 3.79 g/250 g tea의 수율로 분획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각 분획 용매별 추출물 100 g 안에 들어있는 총 페놀의 함량은 hexane 추출물이 가장 적은 양을 보였고 ethanol 추출물은 13458.8 mg/100 g extract, 그리고 ethyl acetate 추출물은 18604.4 mg/100 g extract 으로 많은 양을 보였다. 이 중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ethyl acetate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폴리페놀성 물질 중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는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를 RP-HPLC를 이용하여 동정한 후, 정량하였다. 그 결과, 각 추출물 100 g 내의 항산화물질의 총 양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 3156.1 mg/100 g extract, ethanol 추출물에 3452.6 mg/100 g extract 가 존재하여 ethanol 추출물에서 좀 더 많은 양을 보였다. 루이보스 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Hexane, ethyl acetate, ethanol 세 추출물의 RSC(%)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0.5와 1 mg/mL 일 때 각각 9.5, 66.1, 60.4% 그리고 18.3, 78.9, 82.2%를 보여 ethyl acetate와 ethanol추출물이 hexane 추출물에 비해 높은 자유 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루이보스 차의 총 페놀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vani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4-coumaric acid, ferulic acid도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력도 증가되어 루이보스 차의 폴리페놀성 물질은 항산화 효과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유에 대한 각 분획 추출물의 유도기간 지연정도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ethanol 추출물이 control에 비해 증가된 1.19 hr의 유도기간을 보여 산화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희렴(Siegesbeckia pubescens) 추출물의 어병세균 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Effect of Siegesbeckia pubescens Extract against Fish Pathogenic Streptococcus iniae)

  • 최보라;조은지;이명진;이승현;김채은;오세영;김경훈;정창화;임은서;김태훈;이은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78-682
    • /
    • 2016
  • Antibacterial activity of 80% methanol extract from 13 commercial herb medicines was measured against fish pathogens Streptococcus iniae, causing several diseases in various kind of fish. Siegesbeckia pubescens showe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iniae. Methanol extract of S. pubescens was further extracted using several organic solvents having different polarity. Extract from n-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trong activit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 pubescens extract was measured and resulted showing 8 μg/mL with n-hexane fraction and 32 μg/mL with ethyl acetate fraction against S. iniae. The growth of S. iniae was fully inhibited by adding 50 μg/mL (final concentration) of n-hexane or ethyl acetate fraction in the liquid media. It is needed that, from these results, purification and isolation of responsible active compound(s) of these activities and further study on the synergy effect using combination with commercial antibiotic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홍만병초 분획물에 의한 HT-29대장암 세포의 Wnt/β-catenin 신호전달 조절 (Regulation of Wnt/β-catenin Signal Transduct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by a Rhododendron brachycarpum Fraction)

  • 심보람;남영선;이자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71-87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Rhododendron brachycarpum (RB, 홍만병초)의 80%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RB n-hexane 분획물은 HT-29 세포에서 가장 높은 활성 저해를 보였다($IC_{50}=20.2{\pm}1.2{\mu}g/ml$). 더욱이, 콜로니와 구형 형성은 수와 크기는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RB의 n-hexane 분획물에서($0.22{\pm}0.02$ fold change) TOP / FOP 플래시 리포터 억제 활성은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 보다 낮게 나타났다. n-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세포 내 ${\beta}-catenin$의 발현을 조절하였다. 2 차 대사 산물이 ${\beta}-catenin$ 분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한 결과 n-hexane 분획물에서 $p-GSK3{\beta}$를 조절하였으며, 세포내 ${\beta}-catenin$은 핵에서 정량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RB의 n-hexane 분획물로부터 천연 항암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산벚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활성과 Nitric Oxide 생성억제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Prunus sargentii)

  • 양선아;표병식;김선민;이경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08-31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75%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Prunus sargentii.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by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in 5 mg/disc. Howev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in 1 mg/disc. On the other hand,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 In the cell viability of Raw 264.7 by MTT assay, the extract and all fractions were exhibited normal viabilities as nontoxic result. Consequently, the extract from the leaves of P. sargentii and its ethyl acetate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materials for antibacterial activity related fields. Moreover,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 could be applicable to candidate materials as anti-inflammatory agent.

더덕 분획별 抽出液이 멜라닌 生成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 of Various Partition Extracts of Radix Codonopsis Lanceolatae on the Melanogenesis)

  • 오한철;홍철희;이수형;황충연;김남권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9-71
    • /
    • 2004
  • Melanin pigmentation has an essential role in protecting human skin against the damaging effects of ultra violet radiation, infection, environmental factor, etc. However abnormal melanin pigmentation can directly cause a number of congenital and acquired pigmentary skin disease. This study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partition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melanogenesis in the B 16 melanoma cells. The cells were treated for 3 days with various partition extracts of Codonopsis lanceolata. While treatment with the BuOH partition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the n-Hexane or ethyl acetate partition extract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m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ut ethyl acetate part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The H2O partiton extract at various concentrations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change on the melan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 with the n-Hexane partition extract inhibits th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and raise the possibility that this extract may be effective in the abnormal melanin pigmentation as well as the whitening agent for the skin.

  • PDF

당귀속 2종 식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in 2 Angelica Species Extracts)

  • 윤경원;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8-282
    • /
    • 2004
  • 한방에서 당귀로 쓰여지고 있는 참당귀(Angelica gigas)와 일당귀 (A. acutiloba)의 추출물로 3종의 그람양성균, 2종의 그람음성균과 1종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당귀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액의 항균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만 나타났는데 지상부 추출액에서는 그람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강했고, 지하부 추출물에서는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강했다. 일당귀 추출액의 항균활성은 지상부 추출액은 n-hexane 분획물에서 지하부 추출액 은 water분획물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액의 ether분획물에서 가장 강했다. 효모 S. cerevisiae에 대해서는 항균환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추출 용매에 따른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Effect of Solvents of Extrac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Phyllostachys Nigra Munro)

  • 김연순;조기안;최두복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6-10
    • /
    • 2010
  • 오죽(Phyllostachys nigra Munro)을 이용하여 추출용매에 따른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아질산 소거능, tyrosinase활성 저해능,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저해활성을 in vitro에서 검토 했다. Ethyl acetate와 hexane을 추출용매로 이용할 때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각각 $44.1{\pm}2.3mg/kg$$47.3{\pm}2.4mg/kg$였다. 항산화 효과는 추출용매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고 hexane > ethyl acetate > n-butanol > methanol > water순이었다. 그러나 SOD 활성은 물 > methanol > n-butan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 순이었다. 아질산 소거능은 pH 1.2에서 추출용매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54~69.2% 범위였다. 그러나 pH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용매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하였다. 특히 pH가 1.2에서 6.0으로 증가 할 경우 ethyl acetate 추출물의 아질산 소가능은 $69.2{\pm}3.1%$에서 $7.8{\pm}2.4%$로 감소하였다. 오죽 추출물의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추출용매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15.2~21.3% 범위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water > methanol > n-butanol > hexane > ethyl acetate 추출 순이었다.

[Retracted] Optimization of Jirisan Mountain Cudrania tricuspidata leaf substance extraction across solvents and temperatures

  • Kim, Yong Ju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8-60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the extraction of beneficial substance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grown at Jirisan Mountain in South Korea by three different solvents depending on extraction time and at different temperature. Method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determined by the method reported by $S{\acute{a}}nchez$-Moreno et al.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analyzed by Slinkard and Singlet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reported by Blois Results: The extraction yield for each solvent is 9.05-14.1%, 2.17-5.67%, and 2.3-3.9% for D.W., ethanol, and hexane,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were maximized for the extract obtained with D.W. for 5 min at $100^{\circ}C$. The average phenol contents were 77.11, 45.64, and 0.343 mg/g at $100^{\circ}C$ in water, $78^{\circ}C$ in ethanol, and $68^{\circ}C$ in hexane, respectively. The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materials extracted with D.W., an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extraction solvents, whether water (green), polar organic ethanol, or nonpolar organic hexane. In the ethanol extract, the flavonoid contents are increased gradually from 5.66 mg/g to 7.73 mg/g.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the water extracts, ranging from 4.14 mg/g to 48.89 mg/g.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water-extracted compounds are gener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rom 42.5% to 85.5%. Those of the hexane extracts are increased slowly from 3.79% to 8.8%, while those of ethanol extracts are increased from 29.8% to 47.4%. Conclusion: The extraction yields were dependent upon solvents for extraction as well as extraction time and the temperature. The optimal extraction time was 5 min and the extraction yield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excepted hexane. Of the three tested extraction solvents, the greenest solvent of water shows excellent results, suggesting that water is among the most effective solvents for natural sample extractions for general medicinal, pharmaceutical, and food applications.

말불버섯 추출물의 Topoisomerase 저해 효과 (Inhibition of Topoisomerase-mediated DNA Cleavage by Lycoperdon perlatum)

  • 박미정;조강진;김정봉;김동헌;김양섭;석순자;김선여;황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57-1062
    • /
    • 1997
  • 26속 32종의 버섯의 topoisomerase II 작용 억제여부를 검색한 결과 말불버섯이 topoisomerase II 작용을 억제하며 그 유효 성분이 핵산분획물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말불버섯의 핵산분획물은 linear DNA와 open circular DNA를 생성시켰으며 농도와 반응시간에 의존적인 반응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말불버섯의 핵산분획물은 topoisomerase I의 작용도 억제하였다. 그러나 배양한 말불버섯의 균사체는 topoisomerase 작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한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의 페놀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효능 연구 (Studies on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Efficacy of Rubus idaeus (Raspberry) Cultivar 'Willamette' Fruit Extract Using n-Hexane and Ethyl Acetate)

  • 박규근;윤여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9-337
    • /
    • 2020
  • 본 연구는 willamette 품종의 동결건조라즈베리분말,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라즈베리 추출물(Rubus idaeus (Raspberry) fruit extract, RIFE)을 제조한 다음 페놀 화합물 함량, 철 이온 환원능력, 그리고 라디칼 소거 능력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은 10%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당 농도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375.3 ppm,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3.46 ppm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고,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reagent를 이용한 철 이온 환원능력은 FeSO4 0.532 mM에 해당하는 환원능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산화 소재의 대표적 원료인 L-ascorbic acid와 비교하는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94.5 ± 0.7%를 나타냈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9.4 ± 2.82%를 나타냈으며, nitric oxide (NO) 라디칼소거능은 88.5 ± 0.4%를 나타냈다. 표준인 L-ascorbic acid 용액과 비교할 때 25 - 50 ppm 사이의 효능을 지닌 DPPH 라디칼 소거능 / 100 ppm에 근접한 효능을 지닌 ABTS 라디칼 소거능 / 1,000 ppm 이상의 효능을 지닌 NO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