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decanoic aci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4초

유색미 겨에 함유된 항산화 효과 관련 기능성 성분의 검정 (Screening of Antioxidation-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 강미영;남연주;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33-239
    • /
    • 2005
  • 5품종의 유색미(DZ 78, Elwee, LK1A-2-12-1-1, LK1-3-6-12-1-1, 길림흑미) 겨 70% 에탄올 추출물 및 염화메틸렌 및 에틸아세트로 추출한 지용성 분획들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고 페놀성화합물 및 피틴산, 그리고 불검화물로서 retinol, tocopherol과 stigmasterol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또한 GC-MS를 사용하여 염화메틸렌 및 에틸아세트 분획이 함유한 구성분을 동정하고 상대적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의 발현에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성분들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색미의 항산화성은 일반미보다 약 30%정도 더 높았고,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은 일반미보다 26배까지 더 많았다. 특히 길림흑미는 retinol이나 tocopherol, stigmasterol 같은 불검화물의 함량이 일반미보다 2.3배 이상 더 많았다. 그러나 항산화성과 색도 및 불검화물의 함량과는 전반적인 상관성은 없었다. 항산화성이 강한 길림흑미 및 LK1A-2-12-1-1의 염화메틸렌 분획은 각각 (Z)-9-Hexadecenyl ester-9-octadecanoic acid 및 2-Hydroxyl-1-1(hydroxymethyl)ethyl-9-octadecanoic acid의 상대적 함량이 높았다. 반면, 에틸아세트 분획에서는 1H Indene과 Methyl ester-tetradecanoic acid 및 Methyl ester-hexadecanoic acid가 5품종 유색미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어, 이들 화합물이 항산화성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효모종류를 달리한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 이홍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93-599
    • /
    • 2007
  • GC와 GC-MS를 사용하여 발효 6일차의 탁주 술덧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 14종, 에스테르 13종, 유기산 5종, 알데하이드 3종, 아민 7종, 기타 2종으로 최대 44종이 검출되었다. S. coreanus구에서 44종으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모든 시험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된 성분은 ethan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methyl pentanol, 1,3-butanedi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 ethanol의 알코올 7종과 ethyl lactate, di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의 에스테르 3종, acetic acid, isopentanoic acid, hexanoic acid의 유기산 3종, acetaldehyde의 알데하이드 1종, 1,3-cyclohexane diamine의 아민 1종 등 총 15종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면적비율(peak area%)은 알코올(96.758-99.387%), 에스테르(0.081-0.968%), 유기산(0.040-0.640%), 알데하이드(0.266-0.959%), 아민(0.011-0.047%)으로 나타났다. Methylpentanol, 3-methylthio-1-propanol, benzeneethanol, isoamyl acetate, diethyl succinate, ethyl non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stearate, hexadecanoic acid 성분은 특별히 S. coreanus구에서 타시험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1-propanol, isobutyl alcohol 성분은 S. ellipsoideus구에서 isoamyl alcohol, 1-pentanol, dimethyl ketol 성분은 S. carlsbergensis구에서 1,3-butanediol, diethyl butanoate, phenylethyl formate 성분은 S. rouxii 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외관, 향,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탁주 술덧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S. coreanus구가 맛, 입안에서의 감촉, 뒷맛에서 S. rouxii는 외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국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Auricularia polytricha (Mont.) sacc. Mushroom)

  • 이재곤;도재호;성현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6-548
    • /
    • 1995
  • 건조 털목이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30개의 휘발성 향기성분중 acid 11종류, alcohol 10종류, aldehyde 5종류, ketone 3종류, 기타 1종류였다. 건조된 털목이 버섯의 주요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16.74%), benzeneethanol(7.77%), pentadadecanoic acid(7.59%), dihydro-5-pentyl-2(3H)-furanone(4.28%), tetradecanoic acid(3.37%), pentanoic acid(3.68%), 1-octen-3-ol(1.26%)등이 확인되었다.

  • PDF

GC-MS에 의한 오갈피나무 분류군과 청송 변종의 주요 성분 비교 (Comarison of Major Constituents in Acanthopanax Taxa and Variety Cheongsong in Korea by GC-MS)

  • 조경순;구평태;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9-624
    • /
    • 2007
  • 오갈피나무속 식물종은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다년생 목본류이다. 이 속의 식물 종은 한국에서 약 6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사용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청송변종은 청송에서 100년 이상 재배되고 있는데 그 기원이 불분명하여 주요 생화학적 성분을 GC-MS로 분석하여 다른 종과 비교하였다. 분석한 화학성분 중 19개가 청송변종에 특이하였는데 $\beta$-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그리고 ethyl stearate 등이다. 청송변종은 오갈피나무와 비록 일부 성분에 있어 차이가 나지만 전체적인 분류학적 위상에서 다른 종에 비해 가장 유사하여 오갈피나무에서 분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오갈피나무속 6종에 대한 성분 차이가 GC-MS로 잘 구분되어 화학성분에 의해 종간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전통안동식혜의 유기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raditional Andong Sikhe)

  • 최청;우희섭;안봉전;조영제;김성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7
    • /
    • 1995
  • 전통안동식혜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 물질을 분석, 동정하였고 맛성분의 원인물질인 유기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안동식혜의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camphene, sabinene, 1-(1.5-dimethyl-4-hexyl)-4-methyl-benzene, ${\alpha}-zingibirene$, farnesene, 2.6-b 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 ${\beta}-sesquiphellandrene$, calalene, tetradecanoic acid, hexadecanoic acid 및 9.12-octadecanoic acid 등을 들 수 있었다. 안동식혜의 숙성 및 저장중에 있어서 생성된 향기성분은 2.4-undecadienal, 1H-indole, 2.4-decadienal, isoterpinolene 및 D-nerdiol 5종류이었다. 비휘발성 유기산 함량의 변화를 보면 저장 초기에는 젖산 0.49 mg/100 g이던 것이 19.37 mg/100 g으로 증가하였고 다른 유기산들의 함량 변화는 거의 없었다. 안동식혜의 숙성 및 저장 기간중의 pH의 변화는 차차 감소하였고 산도는 차차 증가하여 저장 6일째 0.41이었다.

  • PDF

배풍등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Solanum lyratum Thunb)

  • 심경희;양한석;이태웅;최재수
    • 생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0-138
    • /
    • 1995
  • Phytochemical study on the aerial parts of Solanum lyratum (Solanaceae)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phyto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s, compound I was identified as mixtures of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2,6,10,15-tetramethyl heptadecane, tricosane, tetracosane, pentacosane, docosanoic acid methyl ester, docosane, tricosanoic acid methyl ester, 8-hexyl pentadecane, tetracosanoic acid methyl ester, pentatriacontane, hexatriacontane, eicosane, hexacosane, hentriacontane and stigmasta-5,23-dien $3-{\beta}-ol$, and compound II, III, IV and V were identified as hexacosanoic acid methyl ester, ${\beta}-sitosterol-{\beta}-{_D}-glucoside$, $3-O-{\alpha}-{_L}-rhamnopyranosyl-(1->2)-{\beta}-{_D}-glucuronopyranosyl$ diosgenin and $3-O-{\alpha}-{_L}-rhamnopyranosyl-(1->6)-{\beta}-{_D}-glucopyranosyl$ quercetin (rutin), respectively. Rutin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active principles having antioxidative effect from S. lyratum.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성분(成分) 연구(硏究)(제31보)(第31報)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Higher Fungi of Korea(XXXI))

  • 이정옥;김성훈;강창율;김성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9-101
    • /
    • 1981
  • Attempts were made to investigate on the fatty acids of Lentinus lepideus Fr. Fats were extracted from its carpophores and saponified with alcoholic potassium hydroxide. Isolated fatty acids were methylated and were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and GLC. Six saturated fatty acids, i.e., dodecanoic, tridecanoic, tetradecanoic, pentadecanoic, hexadecanoic and octadecanoic acids were identified. Especially myristic acid was abundant. Four unsaturated fatty acids, i.e., hexadecadieno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s, were identified. Especially oleic and linoleic acid were abundant.

  • PDF

발효방법 및 대두품종을 달리한 청국장의 향기성분 (Volatile Compounds of Chonggug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Soybean Cultivars)

  • 유선미;김행란;김진숙;장창문;최정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11-115
    • /
    • 1999
  • 발효방법에 따른 청국장의 휘발성 성분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를 접종시킨 시험구(I), 1차 종균으로서 Lactobacilli(ll) 혹은 Aspergillus oryzae(III)를 접종시켜 소정시간 발효후 Bacillus subtilis를 추가 접종시킨 시험구, 그리고 볏짚을 접종원으로 한 시험구(IV)의 청국장제품을 각각 연속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Bacillus subtilis 단용 발효구(I)와 볏짚을 접종원으로 사용한 시험구(IV)에서 각각 35종과 46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고 Lactobacilli처리구(II)에서는 29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시험구(I), (IV)에 비해 향미성분으로 알려진 2,3,5-trimethyl pyrazine, 2,5-dimethyl pyrazine 등의 함량이 각각 2.2배, 1.5배 증가되었다. 또한 Asp. oryzae처리구(III)에서는 총 36종의 휘발성 성분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성분 중에서 hexadecanoic acid, 2-methyl pyrazine성분이 많이 검출된 반면 청국장의 불쾌취로 알려진 butyric vale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대두 품종별로 제조한 청국장의 휘발성 성분을 비교 검토한 결과 신팔달콩을 원료대두로 사용한 시험구의 청국장이 향미성분은 증가한 반면 불쾌취 성분은 감소되었다.

  • PDF

Exogenous Indole Regulates Lipopeptide Biosynthesis in Antarctic Bacillus amyloliquefaciens Pc3

  • Ding, Lianshuai;Zhang, Song;Guo, Wenbin;Chen, Xin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784-795
    • /
    • 2018
  • Bacillus amyloliquefaciens Pc3 was isolated from Antarctic seawater with antifungal activ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tabolic regulation mechanism in the biosynthesis of lipopeptides in B. amyloliquefaciens Pc3, GC/MS-based metabolomics was used when exogenous indole was added. The intracellular metabolite profiles showed decreased asparagine, aspartic acid, glutamine, glutamic acid, threonine, valine, isoleucine, hexadecanoic acid, and octadecanoic acid in the indole-treated groups, which wer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lipopeptides. B. amyloliquefaciens Pc3 exhibited a growth promotion, bacterial total protein increase, and lipopeptide biosynthesis inhibition upon the addition of indole. Besides this, real-time PCR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the transcription of lipopeptide biosynthesis genes ituD, fenA, and srfA-A were downregulated by indole with 22.4-, 21.98-, and 26.0-fold, respectively. It therefore was speculated that as the metabolic flux of most of the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ere transferred to the synthesis of proteins and biomass, lipopeptide biosynthesis was weakened owing to the lack of precursor amino acids and fatty acids.

전자담배 액상 및 기체상 중 유해물질 고찰 (Review on Toxic Substances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lectronic Cigarettes)

  • 신호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3-491
    • /
    • 2013
  • Objectives: Electronic cigarettes are battery powered devices that convert a nicotine-containing liquid into an inhalable vapor. The device aerosolizes nicotine so that it is readily entrain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from where it enters the bloodstream. Information on the safety of E-cigarettes is required. Methods: Seventeen articles on studies analyzing toxic substances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lectronic cigarettes were reviewed. Results: Tobacco-specific nitrosamines, bis(2-ethylhexyl) phthalate,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known to be carcinogenic agents in humans or animals, were detected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In addition, diethyl phthalate, acetone, ethanol, cresol, xylene, propylene, styrene,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pentaethylene glycol cis-3-hexen-1-ol, methyl cinnamate and undecane were identified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cigarettes. Propylene glycol, glycerin, 1-methoxy-2-propanol, 1-hydroxy-2- propanone, acetic acid, 1-menthone, 2,3-butanediol, menthol, carvone, maple lactone, benzyl alcohol, 2-methyl-2-pentanoic acid, ethyl mantel, ethyl cinnamate, myosamine, benzoic acid, 2,3-bipyridine, cotinine, hexadecanoic acid, and 1'1-oxybis-2-propanol were detected in the vapors of E-cigarettes. Conclusion: The hazardous compounds identified in the liquid and gas phases of E-cigarettes should be controlled for the lowest concentrations in the raw materials and production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