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osomatic index (HSI)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2초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의 생식소 발달과 혈중 성 스테로이드호르몬 농도 변화 (Gonadal Development and Sex Steroid Hormone Levels of the Yellowfin Goby Acahthogobius flavimanus)

  • 박명희;황인준;김대중;이영돈;김형배;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09-315
    • /
    • 2005
  • Changes of sex steroid hormones in the plasma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gonadosomatic index (GSI), the hepatosomatic index (HSI) and gonadal development. The GSI in females rose rapidly in November and remained high from December to May $(7.26\pm0.89­6.62\pm0.02)$. The Male's GSI also increased gradually from November and was highest in May $(0.16\pm0.08)$. The HSI in both sexes was in reverse correlation with the GSI, and the HSI was low during the spawning season (February-May). In females, the $estradiol-17{\beta}\;(E_2)$ level increased during vitellogenesis (November and December) and reached its maximum $(8.13\pm2.87 ng/mL)$ at the maturing period, in January.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17{\alpha}20{\beta}OHP)$ gradually increased from October $(0.063{\pm}0.02ng/mL)$ to March $(0.16{\pm}0.02ng/mL)$ and increased rapidly in May. The level of testosterone (T) showed a similar tendency of $E_2$. In males, T increased gradually during spermatogenesis from September to December $(0.14{\pm}0.06­0.26{\pm}0.10ng/mL)$ and peaked in January $(0.36{\pm}0.29 ng/mL)$ when the spermatozoa filled the testis. 11-KT also rose markedly in January and then decreased. On the other hand, $17{\alpha}29{\beta}OHP$ in males did not show any clear tendencies.

자성(雌性)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난소(卵巢) 발달단계(發達段階)에 따른 간세포(肝細布)의 활성변화(活性變化) 및 간조직(肝組織)의 단백질(蛋白質), 핵산함량(核酸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nges of the Activity of the Hepatic cells, and Variations of Protein and Nucleic Acid Contents of the Liver Tissue with the Ovarian Development Phase of Female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

  • 정의영;이근광;오영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7
    • /
    • 1991
  • 1988년(年) 4월(月)부터 10월(月)까지 전라남도(全羅南道) 영암군(靈岩郡) 삼호면(三湖面) 조간대(潮間帶)에서 월별(月別)로 채집(採集)된 자성(雌性)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를 대상(對象)으로 간세포(肝細胞)의 활성변화(活性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고, GSI와 HSI의 월별변화(月別變化)와 난소발달단계(卵巢發達段階)에 따른 간조직(肝組織)의 단백질(蛋白質) 및 핵산함양(核酸含量)(총(總) RNA, DNA)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GSI는 성장기(成長期)인 5월(月)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성숙기(成熟期)인 6월말(月末)에 연중(年中)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산란기(産卵期)인 7월말(月末)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퇴화기(退化期)인 9월말(月末)에 최저(最低)값을 나타내었다. HSI의 월별변화는 GSI와 역상관(逆相關) 관계(關係)를 갖는다. 난소(卵巢)가 성숙(成熟)하는 하계(夏季)에는 HSI값이 떨어지고 난소(卵巢)가 퇴화(退化)되는 10월(月) 중순(中旬)에는 HSI값이 최대(最大)에 이른다. 성숙기(成熟期)인 6월(月)에 암컷의 간조직(肝組織)의 간세포(肝細胞)들은 증대(增大)되고 핵(核)들은 비대(肥大)되었으며, 간세포내(肝細胞內)에는 글리코겐 입자(粒子)들과 지방적(脂肪滴)들이 정차로 감소되는 반면, 수많은 조면소포체(粗面小胞體)들은 증가(增加)되었다. 그리고 리보소옴이 부착된 잘 발달한 조면소포체(粗面小胞體)들은 세포질내(細胞質內)에서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및 vitellogenin 축적(蓄積)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란기(産卵期)인 7월(月)에 글리코겐 입자(粒子)들과 지방적(脂肪滴)들은 점차로 증가되었으며, 이들 물질(物質)은 퇴화기(退化期)인 8월말에도 다량(多量)이 그대로 관찰되었다. 난소(卵巢)의 발달시기(發達時期)에 따른 암컷 간조직(肝組織) 1gr 당(當) 단백질함양(蛋白質含量)은 성숙기(成熟期)인 6월에 최고값($4.720{\pm}0.103mg/g$)을 보였으며, 그후 점차 줄어들어 산란기(産卵期)인 7월에는 최저값($3.640{\pm}0.130mg/g$)을 나타낸 후, 퇴화기(退化期)인 8월에 다시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간조직내(肝組織內)의 핵산(核酸), 즉 RNA함량(含量)은 6월에 최고값($0.523{\pm}0.040mg/g$)을 나타내었으며, 그후 점차 감소하여 7월에는 최저값($0.158{\pm}0.006mg/g$)을 나타내었고, 다시 8월에는 약간 상승하였다. 이 결과로 볼 때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과 RNA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는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나타내었다. 간조직(肝組織) 중량(重量)(g) 당(當) 총(總) DNA 함량(含量)은 시기별(時期別)로 약간의 수치상(數値上) 차이(差異)는 있지만 거의 비슷하였다. 총(總) RNA/DNA의 비율(比率)은 6월(月)에 0.745, 7월(月) 0.262, 8월(月) 0.341이었다.

  • PDF

한국 순천만 갯벌지역 큰볏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magnuspinnatus)의 생식 (Reproduction of the Goby Fish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in Mud Flat of Suncheon Bay, Korea)

  • 김재원;윤양호;신현출;;김지형;박세창;박찬일;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9-293
    • /
    • 2008
  • Reproduction of the goby fish Periophthalmus magnuspinnatus was examined using 298 specimens collected from April to October 2005 in a mud flat of Suncheon Bay, Korea. Specimens ranged in body length(BL) from 1.3 to 9.1 cm. The gonadosomatic index(GSI) of females was highest in June and decreased until August. The hepatosomatic index(HSI) and fatness index of females were high in April and then decreased to nadirs in July. Spawning season lated from April to August and the ratio of females to ma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x^2$-test, p>0.05). The first spawning length was 4.5 cm BL, and the size of 50% maturity was estimated at 4.98 cm BL. Fecundity(F) ranged from 1,316 to 4,768 eg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 and BL was estimated as $F=0.1562BL^{1.4068}(R^2=0.59)$.

한국 순천만 갯벌지역 말뚝망둥어 (Periophthelm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Shuttles Hoppfish Periophthalmus modestus in the Mud Flat of Suncheon Bay, Korea)

  • 김재원;윤양호;신현출;임경훈;;박세창;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9-83
    • /
    • 2007
  •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Shuttles hoppfish Periophthalmus modestus were studied from April to October, 2005 in the mud flat of Suncheon Bay, Korea. The specimens ranged in body length (BL) from 1.5 to 8.4 cm.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was highest in May and decreased until September. The hepatosomatic index (HSI) and fatness index of females were high in April and then decreased to a nadir in July. The data indicate that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April to Septemb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females to males $(X^2-test,\;p>0.01)$. Over 50% of the females over 5 cm in BL were sexually mature. Fecundity ranged from 1,664 to 13,428.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 (F) and body length (BL) of the fish was expressed as $F=0.026BL^{2.8638}\;(R^2=0.79)$. The first spawning length was 4.5 cm BL.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의 성장과 삼투압 조절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Osmoregulation of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 전민지;강경호;장영진;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35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osmoregulation of the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he fish (post-larva, juvenile, adult) reared in seawater were directly transferred into the experimental rearing water of the different salinities (post-larva : $0\textperthousand$, $5\textperthousand$, $10\textperthousand$, $15\textperthousand$, $20\textperthousand$, $30\textperthousand$. juvenile : $0\textperthousand$, $\10textperthousand$, $20\textperthousand$, $30\textperthousand$. adult : $0\textperthousand$, $15\textperthousand$, $35\textperthousand$, respectively). Fish samples were taken in time courses after transfer for blood and body fluid collection. The changes of sodium, potassium concentration and osmolality of the body fluid and plasma, muscle water content, gonadosomatic index (GSI) and hepatosomatic index (HSI) in the experimental fish were observed in time courses. Growth rate of the post-larva in $\5~25\textperthousand$ were faster than in $0\textperthousand$ (P<0.05). Survival rate was very low in $0\textperthousand$ (P<0.05). No fish survived more than 50 days after transferred into $0\textperthousand$. The concentration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in body fluid of the juvenile sweetfish were slightly decreased at 0.25 day after the beginning of the maintainable level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were $36.4\pm6.2 mM/\ell, 47.5\pm0.7 mM/\ell, 366.3\pm19.1 mOsm/kg, respectively. Except potassium concetration, fish in $0\textperthousand$ and $10\textperthousand$ displayed the pattern of hypoosmotic regulation. Growth rate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s of $30\textperthousand$ are significantly low than other groups (P<0.05). The concentration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in plasma of adult sweetfish were slightly decreased at 1 day after the beginning of the maintainable level of sodium, potassium and osmolality were $159.0\pm2.5 mM/\ell, 5.8\pm0.9 mM/\ell, 338.1$\pm13.3 mOsm/k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se values, fish in $0\textperthousand$ and $15\textperthousand$ displayed hypoosmotic regul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adult in $35\textperthousand$ are significantly low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GSI was the highest in $15\textperthousand$ after 60 days. HSI was the lowest in $35\textperthousand$. With decreased salinities, oxygen consumption was found to be decreased i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more than $30\textperthousand$.

  • PDF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 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23-435
    • /
    • 1984
  • 1982년 9월부터 1983년 8월까지 일본국 정강현 빈명군 빈명호입구 연안에서 채집된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를 대상으로 생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간 생식소숙도지수(GSI)와 간숙도지수(HSI)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이들 생식소발달과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는 일장이 길어지며 수온이 상승하는 3월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6월에서 8월까지 년중 최대값을 나타내고, 9월부터 하강하여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변화없이 연중 최저값을 나타냈다. GSI의 연간변화는 수컷의 경우 뚜렷하지 못하고 암컷의 경우는 GSI와 역상관 관계를 가지고 변하고 있다. 즉 생식소가 발달하는 하계에는 HSI값이 떨어지고, 생식소가 퇴화되는 동계에는 HSI값이 최대로 높아진다. 난소는 많은 난소소낭으로 구성된 1쌍의 낭상형 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들 난소소낭 상피에서 난원세포가 분열증식되고 있다. 초기 난모세포는 세포질이 호염기성이고 핵막을 따라 여러 개의 분산인을 가진다. 완숙 난모세포는 $300{mu}$ 내외로 핵이 동물극으로 이동되면서 핵막이 소실되고, 원형질구성이 극히 한정되며, 대부분의 세포질은 난황과 유구에 의해 충만된다. 배란후 난소소낭에 잔존하는 여포성장중인 난모세포들은 퇴화흡수되나, 아직 여포가 형성되지 못한 초기 주변인기 난모세포들은 퇴화되지 않고 이듬해 난소활성과 함께 성장되어 간다. 난모세포가 성숙되고 난황 축적이 활발해지면서 mitochondria와 과립성소포체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들은 난모세포의 성숙과 난황 축적에 기능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 같다. 성숙난모세포의 미세융모의 홈에 뻗은 여포돌기 선단에 난황전구물질로 생각되는 $5{\sim}6$ 층의 원반상고전자밀도 구조물이 나타나고 있다. 정소는 좌우 1 쌍의 엽상구조를 가지며 후방에서 합일되어 저정낭을 이룬다. 정소의 피질층은 정자형성이 일어나는 정소소낭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질층은 이들 소낭과 연결된 여러 갈래의 수정관이 분포한다. 성장중인 정소의 간질에는 소관상 cristae가 발달된 대형 mitochondria와 다수의 소포체를 가진 steroid 계 hormone 생성분필세포가 존재한다. 정자의 두부는 핵중앙에 깊이 함입된 중심강이 있어 U 자형을 이루고 첨체는 극히 빈약하다. 중편의 mitochondria는 커다란 구형의 부핵을 형성하고 있으며, 미부의 axoneme을 이루는 미세소관은 9+9+2형을 나타낸다. 생식연주기는 3월부터 7월에 걸친 성장기 5월부터 9월까지의 성숙기, 5월중순부터 10월 초순까지의 산란기, 그리고 10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의 휴식기 등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란성기는 6월부터 8월까지였다.

  • PDF

오징어내장 첨가사료가 메기 (Para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육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Supplemented with Squid Intestine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Catfish (Parasilurus asotus))

  • 이경선;김양배;박기영;유병진;전중균;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36
    • /
    • 1998
  • 지질함량이 약 $20\%$에 달하는 훌륭한 지질원이면서도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오징어 내장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메기 (Parasilurus asotus) 60미를 1개군으로 하여 4개군에 대해서 시판중인 뱀장어용 사료 (Diet I :지질함량 $4.3\%$)를 대조군으로 하고 오징어 내장을 첨가하여 지질함량을 증가시킨 사료 (Diet II; 지질함량 $10.6\%$, Diet III; 지질함량 $14.4\%$, Diet IV: 지질함량 $22.4\%$)를 급여하여 112일간 사육하였다. 사료내 오징어 내장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성장이 빨랐으나, hepatosomatic index 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육 종료시 체성분에 있어서 근육 및 표피의 수분, 조단백질, 조회분의 함량은 실험구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조지방의 함량은 실험개시시보다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오징어 내장 첨가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근육 및 표피의 지방산조성은 사료의 지방산 조성에 직접 영향을 받아 사료의 n-3 지방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근육 및 표피의 EPA 및 DHA 등의 n-3 지방산함량은 증가하였으며, n-6 지방산 함량은 근육 및 표피 모두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 PDF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에 따른 간세포 활성과 간 및 근육의 단백질$\cdot$총 RNA 함량변화 (Activities of Hepatocytes and Changes of Protein and Total RNA Contents in Liver and Muscle of Sebastes schlegeli with the Gonadal Maturation)

  • 정의영;장영진;이근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8-346
    • /
    • 1995
  • 난태생 어류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성숙과 안정적인 출산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간중량지수의 월별 변화와 간세포의 활성이 생식소의 발달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조사하고, 아울러 생식소 발달에 따른 간 및 근육조직내의 단백질과 총 RNA 함량변화도 조사하였다. 암컷의 HSI는 9월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2월에 최대 값(2.58)에 달한 뒤, 3월(성숙기) 부터 5월(출산기) 사이에는 낮아졌다 수컷에서는 10월(성숙기)부터 높아지기 시작하여 4월(회복기)에 최대 값(3.20)에 달했다. 암컷의 난황형성기에 간세포내 글리코겐과 지방적의 양이 점차 감소되나, 총 RN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컷에서는 다량의 지방적들이 소모되지 않고 성숙기에도 세포질내에 잔존하고 있었다. 생식소의 발달과 함께 간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가 증가하였는데, 이 들은 단백질 합성과 난황 전구물질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암컷의 간과 근육조직의 단백질 및 총 RNA 함량은 1월(성장기)부터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여 4월 초순(성숙기)에 최대 값을 나타낸 다음, 4월 하순(임신기)에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컷에서는 초기 성숙기인 10월부터 점차 증가하여 성숙 및 교미기인 12월에 최대 값을 보인 다음, 퇴화기인 1월에 다시 감소하였다.

  • PDF

Polymorphysims of CYP17-I Gene in the Exons Were Associated with the Reproductive Endocrine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Ma, R.Q.;He, F.;Wen, H.S.;Li, J.F.;Mu, W.J.;Liu, M.;Zhang, Y.Q.;Hu, J.;Qun,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794-799
    • /
    • 2012
  • The cytochrome P450c17-I (CYP17-I) is one of the enzymes critical to gonadal development and the synthesis of androgens. Two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detected within the coding region of the CYP17-I gene in a population of 75 ma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y were SNP1 (c.C445T) located in exon2 and SNP2 (c.T980C (p.Phe307Leu)) located in exon5. Four physiological indices, which were serum testosterone (T), serum $17{\beta}$-estradiol ($E_2$), Hepatosomatic index (HSI), and Gonadosomatic index (GSI), were studi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wo SNPs on the reproductive endocrines of Japanese flounder. Multiple comparisons revealed that CT genotype of SNP1 had a much lower T level than CC genotype (p<0.05) and the GSI of individuals with CC genotype of SNP2 was higher than those with TT genotype (p<0.05). Four diplotyp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two SNPs and the diplotype D3 had a significantly lower T level and GSI. In conclusion, the two SNP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traits of Japanese flounder.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표수 및 방류수의 급·만성 생태독성평가 (Acute and Chronic Ecotoxicity Assessment of Ambient and Effluent Water Discharged to the Lake Shihwa)

  • 지경희;장신혜;김영숙;김은주;김지영;서은정;박윤석;박수정;최경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4-154
    • /
    • 2007
  •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ambient and effluent water discharged to Lake Shihwa were investigated by using Vibrio fischeri, Daphnia magna and Oryzias latipe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nine heavy metals in a total of 15 water samples were evaluated and were satisfied with relevant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KWQS) except for Hg in one sample. Acute toxicity was observed in five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sampling locations. When impacts on reproduction and growth after chronic exposure were evaluated with D. magna, all the samples showed significant chronic effects. Reproduction appeared relatively more sensitive endpoint. In 21 days chronic tests on O. latipes, survival, mean egg number per female per day, hatching success rate and time to hatch were affected by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The organ-level changes such as gonadosomatic index (GSI), and hepatosomatic index (HSI), and molecular biomarker of vitellogenin (Vtg) induction that evaluated with O. latipes increased as exposure concentrations increased. It is noteworthy that the samples that did not exceed the KWQS resulted in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numeric criteria based on physicochemical parameters may not be protective of aquatic ecosystem. Acute and chronic toxicity tests with organisms representing different trophic groups should be supplemented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level of environmental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