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oma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5초

산화적 상해로 인한 상피세포암 세포(KB) 억제에 미치는 천연약용식물 추출물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Natural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rowth Inhibition of Carcinoma (KB)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 김정희;주은미;김진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183-19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약용작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하에서 상피세포암 세포 생장억제의 상승효과를 검색하였다. 한국인 호발암인 간암, 위암 및 대장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총 51 종의 천연 약용작물을 선정하여 메탄올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고 ,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하에서 이 추출물의 암세포생장억제상승효과를 검색하였다. 사용된 51종의 시료 중 27 시료가 다양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이 나타난 27 시료 중 고련피, 곽향, 노나무, 도인, 방기, 백두웅, 백화사설초, 전호, 오미자, 조각자, 천궁의 11시료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부가시 $IC_{50}$ 값이 50% 이상 감소되었으며, 다른 16 시료엣 50-25%의 $IC_{50}$ 값의 감소가 나타났다.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 11 시료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용량 의존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가장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노나무(Catalpa ovata)로서 과산화수소수 75 및 100 uM을 가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부가하였을 때 각각 61 및 28%의 $IC_{50}$ 값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그 외 고련피, 곽향, 도인, 백두옹, 오미자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a New 5'-Noncoding Exon Region and Promoter Activity in Human N-Acetylglucosaminyltransferase III Gene

  • Kang, Bong-Seok;Kim, Yeon-Jeong;Shim, Jae-Kyoung;Song, Eun-Young;Park, Young-Guk;Lee, Young-Choon;Nam, Kyung-Soo;Kim, June-Ki;Lee, Tae-Kyun;Chung, Tae-Wha;Kim, Cheorl-Ho
    • BMB Reports
    • /
    • 제31권6호
    • /
    • pp.578-584
    • /
    • 1998
  • In a previous paper (Kim et al., 1996a), the immediate 5' -flanking region and coding region of the human UDP-N -acetylglucosamine:-D-mannoside-1,4-Nacetylglucosaminyltransferase III (N-acetylglucosaminyitransferase- III; GnT-III) gene was reported, isolated and analyzed. Herein, we report on amplification of a new 5' -noncoding region of the GnT-III mRNA by single-strand ligation to single-stranded cDNA-PCR (5' -RACE PCR) using poly(A)+ RNA isolated from human fetal liver cells. A cDNA clone was obtained with 5' sequences (96 bp) that diverged seven nucleotides upstream from the ATG (+1) start codon. A concensus splice junction sequence, TCTCCCGCAG, was found immediately 5' to the position where the sequences of the cDNA diverged. The result suggested the presence of an intron in the 5' -noncoding region and that the cDNA was an incompletely reversetranscribed cDNA product derived from an mRNA containing a new noncoding exon. When mRNA expression of GnT-III in various human tissues and cancer cell lines was examined, Northern blot analysis indicated high expression levels of GnT-III in human fetal kidney and brain tissues, as well as for a number of leukemia and lymphoma cancer cell lines. Promoter activities of the 5' -flanking regions of exon 1 and the new noncoding region were measured in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by luciferase assays. The 5'-flanking region of exon 1 was the most active, whilst that of exon 2 was inactive.

  • PDF

CA 19-9 방사면역측정법의 기본적 검토 및 악성종양환자에서의 혈청 CA 19-9치의 임상적 의의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A 19-9 Radioimmunoassa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A 19-9 Assay in Patients with Malignancy)

  • 김상은;송영기;조보연;김노경;고창순;이문호;홍성운;홍기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9-126
    • /
    • 1985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A 19-9 radioimmunoassay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A 19-9 assay in patients with malignancy, serum CA 19-9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using monoclonal antibody in 135 normal controls, 81 patients with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9 patients of postoperative colon cancer without recurrence and 20 patients with benign gastrointestinal disease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84 to March, 198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 19-9 radioimmunoassay was simple to perform and can be completed in one work day. And the between-assay reproducibility and the assay recovery were both excellent. 2) The mean serum CA 19-9 level in 135 normal controls was $8.4{\pm}4.2U/mL$. Normal upper limit of serum CA 19-9 was defined as 21.0 U/mL. 4 out of 135(3.0%) normal controls showed elevated CA 19-9 levels above the normal upper limit. 3) One out of 20(5.0%) patients with benign gastrointestinal diseases showed elevated serum CA 19-9 level above the normal upper limit. 4) In 81 patients with various' untreated malignancy, 41 patients(50.6%) showed elevated serum CA 19-9 levels. 66.7% of 18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100% of 2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100% of 3 patients with common bile duct cancer, 47.1% of 17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28.6% of 28 patients with hepatoma and 60.0% of 5 other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s showed elevated serum CA 19-9 levels. 5) The sensitivities of serum CA 19-9 related to resectability in colorectal and stomach cancer were 33.3% in resectable colorectal cancer, 83.3% in unresectable colorectal cancer, 41.7% in resectable stomach cancer, 60.0% in unresectable stomach cancer respectively. 6) The sensitivity of serum CA 19-9 in 9 patients of postoperative colorectal cancer without recurrence were 33.3% an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untreated colorectal cancer, 66.7% (p<0.05). 7)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erum CA 19-9 and serum CEA levels increased sensitivities. From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serum CA 19-9 radioimmunoassay is simple to perform and reproducible, and is a useful indicator reflecting tumor extent and responses to the treatment in patients with malignancy.

  • PDF

Significance of $p27^{kip1}$ as potential biomarker for intracellular oxidative status

  • Quintos, Lesley;Lee, In-Ae;Kim, Hyo-Jung;Lim, Ji-Sun;Park, Ji-A;Sung, Mi-Kyung;Seo, Young-Rok;Kim, Jong-S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351-355
    • /
    • 2010
  • Our previous proteomic study demonstrated that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lphinidin regulated the cellular level of $p27^{kip1}$ (referred to as p27) as well as some heat shock proteins in human colon cancer HT 29 cells.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and confirm the regulation of these proteins using both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The level of p27 was decreased by hydrogen peroxid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uman colon carcinoma HCT 116 (p53-positive) cells while it was increased upon exposure to hydrogen peroxide in HT 29 (p53-negative) cells.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100 ${\mu}M)$ downregulated p27 in both cell lines, but delphindin, one of antioxidative anthocyanins, enhanced the level of p27 suppressed by 100 ${\mu}M$ hydrogen peroxide. ICR mice were injec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delphinidin and both. Western blot analysis for the mouse large intestinal tissue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p27 was upregulated by 25 mg/kg BW hydrogen peroxid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27 regulation with hypoxia-inducible factor 1-beta (HIF-$1{\beta}$), the level of p27 was analyzed in wild-type mouse hepatoma hepa1c1c7 and Aryl Hydrocarbon Nuclear Translocator (arnt, HIF-$1{\beta}$)-defective mutant BPRc1 cells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and delphinidin. While the level of p27 was responsive to hydrogen peroxide and delphinidin, it remained unchanged in BPRc1, suggesting that the regulation of p27 requires functional HIF-$1{\beta}$. We also found that hydrogen peroxide and delphinidin affected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which is one of upstream regulators of HIFs. In conclusion, hydrogen peroxide and antioxidant delphinidin seem to regulate intracellular level of p27 through regulating HIF-1 level which is, in turn, governed by its upstream regulators comprising of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The results should also encourage further study for the potential of p27 as a biomarker for intracellular oxidative or antioxidant status.

솔잎 수액 증류액의 암세포주에 대한 in vitro 세포독성 (Cytotoxic Effect of the Distilled Pine-Needle Extract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정영진;배명원;정명일;이지선;정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91-695
    • /
    • 2002
  • 한국산 솔잎을 가압.압착하여 얻은 수액을 증류한 솔잎 수액 증류액의 각종 암세포주에 대한 in uitro 세포독성을 시료액 대비 10배, 20배, 40배 희석군과 대조군에 대해 XTT법으로 실험한 결과, 쥐 백혈병 세포주인 L1210에 대해서는 76~89%, 쥐 육종암세포인 sarcoma 180에 대해서는 61~90%의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체의 monocyte-like cancer cell인 U937에 대해서는 56~81%, 인체 유방암 세포주인 T47D와 MDA-MB-231에서는 각기 12%, 또 다른 유방암 세포주인 MH7A에서는 64%, 인체 간암 세포주인 SNU-354에 대해서는 72%의 높은 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연구 시료인 솔잎 수액 증류액은 쥐 백혈병 세포주인 L1210, 쥐 육종암세포인 sarcoma 180, 인체 monocyte-like cancer cell인 U937, 인체 유방암 세포주인 MH7A, 인체 간암 세포주인 SNU-354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솔잎 수액 증류액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효과는 솔잎의 처리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솔잎 수액증류액의 농도에서도 암세포주 종류에 따라 세포독성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최적 투여 농도와 적용 암세포주를 찾을 경우 새로운 항암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감초에서 분리된 데하드로글라이아스페린 C에 의한 마우스 모델계에서 quinone reductase 활성의 조절 (Regula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Mice by Dehydroglyasperin C Isolated from Licorice)

  • 한정화;김정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51-55
    • /
    • 2013
  • 예로부터 다양한 방면에서 약용식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감초에서 분리한 dehydroglyasperin C (DGC)는 이전의 연구에서 세포 모델계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능력과 2상 해독효소계 활성을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동물 모델계에서 DGC의 항산화능과 2상 해독효소계를 평가하였을 때, 유의적 결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DGC 처리시간에 따라 마우스의 장기 및 혈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0, 2, 4, 6, 8, 12, 24 시간 동안 DGC를 처리한 후, 장기별 QR 유도활성과 간과 신장에서의 단백질 발현 패턴, 혈장의 항산화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GC 처리에 의한 QR 유도활성은 위, 대장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고, 간, 신장, 소장, 폐에서는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상 해독효소의 단백질 발현 패턴은 간에서는 역시 큰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위에서는 QR 유도활성과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혈장의 DGC 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활성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값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DGC는 처리 시간에 따라 각 장기 및 혈장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DGC의 효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세포성 질환에서의 간 및 간외 $^{99m}Tc-Tin$ Colloid 섭취의 정량분석 (Quantitation of Hepatic and Extrahepatic $^{99m}Tc-Tin$ Colloid Uptake in the Hepatocellular Diseases)

  • 박영하;김춘열;김성훈;박석희;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6
    • /
    • 1987
  • It is well-known that hepatic scintigraphv have been found to be less sensitive and specific in the detection of the diffuse hepatocellular diseases than that of the space-occupying lesions. To obtain the higher diagnostic specificity and sensitivity, we, using the computer quantitation, have attempted to analyze hepatic and extrahepatic $^{99m}Tc-tin$ colloid uptake patterns in various diffuse hepatocellular diseases retrospectively. The studied groups consisted of 116 cases of normal, 67 cases of acute hepatitis, 112 cases of chronic hepatitis, 61 cases of liver cirrhosis, 47 cases of fatty liver, 12 cases of hepatoma and 9 cases of metastasis, making total 424 cases. Scintigraphic imagings were obtained in the anterior, right lateral and posterior projections using high-resolution collimation, and simultaneously these gamma data were acquisited into the computer system. Both large region of interest (ROI) using light pen and ROI computer program were placed over right lobe, left lobe of liver, spleen and cardiac blood pool. Total counts in ROI were divided by the number of pixels in the ROI, and mean count rate per pixels calculated. Mean right-lobe counts were divded by mean-left lobe counts to determine right-to-left hepatic lobe ratio and mean spleen counts were divided by mean liver counts to determine spleen to liver rati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424 cases, 292 were male and 132 were female. The majority of age distribution was in $30\sim49$ (54.5%). 2) Inter-observer between two independant operators and inter-method between drawing by light-pen and ROI computer program variations were not significant. 3) The uptake count values (per pixel) determined at each area in normal group were $106.53{\pm}18.35$ in right lobe, $79.00{\pm}13.82$ in left lobe, $17.52{\pm}8.31$ in spleen and $8.09{\pm}3.43$ in cardiac blood pool. 4) In liver cirrhosis, right lobe uptake was decreased but spleen and cardiac blood pool uptakes were increased (p<0.01). 5) Right-to-left hepatic lobe uptake ratio was $1.37{\pm}0.24$ in normal group and significantly low in chronic hepatitis, liver cirrhosis and fatty liver, and more or less low in acute hepatitis. 6) Spleen-to-right hepatic lobe uptake ratio was $0.17{\pm}0.09$ in normal group and high in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7) The computer-quantitation of hepatic and extrahepatic uptake patterns thought to be sensitive and useful method in the interpretation of liver scintigram.

  • PDF

생쥐의 간과 HepG2 세포에 있어서 내인성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의 단백질 수준에 미치는 cholic acid/CDCA 및 FGF-19의 효과 (Effects of Cholic Acid/CDCA and FGF-19 on the Protein Levels of the Endogenous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 in the Mouse Liver and HepG2 Cells)

  • 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31-1736
    • /
    • 2009
  • 최근의 연구에서 생쥐에 장기간 서구식 사료를 급여했을 때 내인성 SHP 단백질의 수준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또한 HepG2 세포배양을 통한 실험에서, CDCA 처리가 내인성 SHP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외인성으로 발현된 flag-SHP의 분해율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HepG2 세포를 ad-flag-SHP로 유전자 형질전환 시켰을 때, 담즙산에 의해 유도되어진 소장 FGF-19이 외인성으로 발현된 flag-SHP 단백질의 반감기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cholic acid와 FGF-19에 의한 내인성 SHP 단백질의 발현수준과 분해율은 생쥐 또는 배양된 간암세포주에서 아직 명확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이 연구는 cholic acid의 처리가 생쥐에서 내인성 SHP 단백질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FGF-19이 HepG2 세포주에서 내인성 SHP 단백질의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적인 사료를 급여한 대조군 생쥐에서의 내인성 SHP 단백질 수준과 비교하여, 0.5%의 cholic acid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생쥐에서는 12시간과 24시간의 처리기간 동안에 내인성 SHP 단백질의 수준이 증가하였다. 배양된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G2에서 CDCA의 처리는 CDC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주와 비교하여 내인성 SHP 단백질의 분해율을 유의성 있게 변화시키지 않았다. 한편 외인성 ad-flag-SHP 단백질에 대한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게, HepG2 세포에 cyclohexamide를 처리하였을 때 FGF-19는 내인성 SHP 단백질의 분해율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담즙산과 FGF-19 모두 생쥐의 간과 HepG2 세포주에서 내인성 SHP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킴을 제시한다.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PMA에 의한 thrombospondin-1 발현 억제 (Suppression of Thrombospondin-1 Expression by PMA in the Porcine Aortic Endothelial Cells)

  • Chang, Seo-Yoon;Kang, Jung-Hoon;Hong, Kyong-Ja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4-162
    • /
    • 2004
  • 암의 성장과 신생혈관 억제인자로 알려진 thrombospondin-1의 생합성은 다양한 외부자극에 대해 전사단계에서 세포 특이적으로 조절된다. 이전의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은 PMA가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PAE)에서는 TSP-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반면 사람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는 증가시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PMA 처치에 따른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의 TSP-1의 발현 감소현상은 tsp-1 유전자 조절부위의 염기서열 -767과 -723사이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이 억제 부위임을 밝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767에서 -723 염기서열을 서로 부분 중복되도록 세 종류의 올리고 탐식자 (올리고 탐식자 a-1, -767∼-738; 올리고 탐식자 a-2, -759∼-730; 올리고 탐식자 a-3, -752∼723)를 제작하여 -767과 -723 부위의 특정 염기서열과 이에 결합하는 인자를 EMSA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PMA 처치에 따른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의 TSP-1 감소는 -752에서 -730 사이의 염기서열이 저해 조절인자와 결합함과 더불어 -767에서 -760과 -752에서 -730 사이의 염기서열들에 촉진 조절인자들이 결합하지 못함으로서 기인된다는 실험적 사실을 관찰하였고. 특히, PMA 처치는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저해 조절인자의 -752에서 -730 부위에 대한 친화력을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친화력은 c-Jun 항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댑싸리하고초(夏枯草) 약침액(藥鍼液)의 암예방 활성 (Chemopreventive activity of Prunella Herba Vulgaris L. Aqua-acupuncture Solution)

  • 박신화;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11-20
    • /
    • 2001
  • 댑싸리하고초 약침액을 이용하여 phase II detoxification 효소인 quinone reductase (QR 및 GST) 유도, GSH 생성량, phase I 효소 cytochrome P4501A1 활성억제, 발암물질 B[a]P-DNA adduct 형성의 저해효과 등을 측정하였다. QR 생성 유도를 Hepa1c1c7로 실험한 결과, 댑싸리하고초 약침액및 열수추출액 모두에서 유도 되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GSH와 GST의 유도율도 약침액에서 나타났다. 댑싸리하고초 약침액 $5{\times}$에서 45.2%의 cytochrome P4501A1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B[a]P-DNA binding 저해효과를 실험한 결과, 약침액 $3{\times}$ 농도에서 45.0%의 저해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댑싸리하고초 약침액은 암억제 물질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