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olysis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24초

한우(韓牛)의 선천성용혈감수성검사(先天性溶血感受性檢査)에 대한 methylene blue 청색소실시험법(靑色消失試驗法)의 적용(適用) (Application of methylene blue color test for the detection of inherited susceptibility to hemolysis of Korean native cattle)

  • 조종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27-329
    • /
    • 1988
  •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Korean native cattle and dairy cattle of Holstein species in the slaughter house and methylene blue color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detection of the inherited susceptibitity to hemolysis.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ies expressed as the optical density obtained by methylene blue color test were the highest as 0.54 in male Korean cattle, 0.62 in female Korean cattle and 0.72 in dairy cattle of Holstein species. Percent hemolysis, packed cell volume and plasma protein contents were measured and compaired with relation to the results of methylene blue color test and no correlation were observed in each.

  • PDF

잔여 심실중격결손과 우심실 유출로 협착으로 유발된 용혈성 빈혈의 외과적 치험 (Surgical Treatment of Hemolytic Anemia Induced by Residual VSD and PS)

  • 홍민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1호
    • /
    • pp.1250-1253
    • /
    • 1992
  • A patient with intravascular hemolysis due to residual shunt and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k obstruction after total correction of TOF was presented. The patient was 29 years old female. She underwented VSD closure with dacron patch, infundibulectomy, pulmonic valvotomy and direct closure of PFO. 8 months after the operation, severe intravascular hemolysis and hemolytic anemia appeared. Conservative therapies were not effective, her general condition and laboratory finding got worse gradually. She underwent reoperation, the shunt was closed and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was corrected by pulmonary valvotomy, infudibulectomy and transannular patch. After operation, hemolysis disappeared dramatically. Severe hemolysis may induce renal failure and necessitate transfusion frequently. If hemolytic anemia is not corrected by conservative treatment, early reoperation is required.

  • PDF

Effects of α-tocopherol on hemolysis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on red blood cells in β-thalassemia major

  • Sovira, Nora;Lubis, Munar;Wahidiyat, Pustika Amalia;Suyatna, Franciscus D.;Gatot, Djajadiman;Bardosono, Saptawati;Sadikin, Mohammad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8호
    • /
    • pp.314-320
    • /
    • 2020
  • Background: The accumulation of unpaired α-globin chains in patients with β-thalassemia major may clinically create ineffective erythropoiesis, hemolysis, and chronic anemia. Multiple blood transfusions and iron overload cause cellular oxidative damage. However, α-tocopherol, an antioxidant, is a potent scavenger of lipid radicals in the membranes of red blood cells (RBCs) of patients with β-thalassemia major.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α-tocopherol on hemolysis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on the RBC membranes of patients with β-thalassemia major. Methods: Forty subjects included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ere allocated to the placebo and α-tocopherol groups. Doses of α-tocopherol were based on Institute of Medicine recommendations: 4-8 years old, 200 mg/day; 9-13 years old, 400 mg/day; 14-18 years old, 600 mg/day. Hemolysi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variabl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4-week α-tocopherol or placebo treatment, performed before blood transfusions. Results: Significant enhancements in plasma haptoglobin were noted in the α-tocopherol group (3.01 mg/dL; range, 0.60-42.42 mg/dL; P=0.02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osmotic fragility test results; hemopexin, malondialdehyde, reduced glutathione (GSH), or oxidized glutathione (GSSG) levels; or GSH/GSSG ratio. Conclusion: Use of α-tocopherol could indirectly improve hemolysis and haptoglobin levels. However, it played no significant role in oxidative stress or as an endogen antioxidant marker in β-thalassemia major.

적혈구를 이용한 Daunorubicin의 배송시스템 (Delivery System of Daunorubicin by Red Blood Cells)

  • 함성호;송경;고건일;김재백;손동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4권3호
    • /
    • pp.131-137
    • /
    • 1994
  • Drug delivery system by the use of red blood cells was established to sustain the release of drugs in the circulatory system by the intravenous injection. The entrapment method by the preswelling technique was re-examined and evaluated for searching the new entrapping conditions without hemolysis. The addition of 4 volume of $0.6{\time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HBSS) into 1 volume of 50% red blood cells suspension did not induce the hemolysis and change the hematocrit level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within 15 min). Most of daunorubicin could be entrapped into red blood cells within 15 min. While the intracellular adenosine triphosphate (ATP) level followed by the entrapment was reduced to 86% of normal ATP level, the membrane fluidity and the shape factor of red blood cells were not altered. The release rate of daunorubicin from red blood cells was affected by the hemolysis under this condition. To maintain the intracellular ATP in red blood cells, the new reaction buffer was made With the addition of ATP and sodium pyruvate during the entrapment procedure because the hemolysis during the release test would reflect the loss of intracellular ATP that might result in the decrease of the viability in vivo. The addition of ATP raised the intracellular ATP level, which protect the hemolysis during the release test.

  • PDF

심장내 이식형 축류 혈액펌프 용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molysis Characteristics of Intra-Cardiac Axial Flow Blood Pump)

  • 김동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3-362
    • /
    • 2000
  • 축류형 혈액펌프에서 발생하는 용혈이 이 펌프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이다. 지금까지는 용혈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in-vitro 적인 실험에 의하여 용혈량을 추정하였으나, 수치유체해석에 의한 용혈량의 추정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임펠러에 대하여, 난류모델은 k-$\varepsilon$모델을 사용하여 3차원 수치유체역학 해석을 시도하였다. 수치유체해석에 있어서는 펌프 유입측에 입자를 흘려 넣어 이 입자가 매일 10ms마다 받는 난류에너지를 구하여 전단응력으로 환산하였다. 해석결과 전단응력은 주로 임펠러의 후방에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치유체해석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펠러의 in-vitro 실험에 의한 용혈시험 결과를 비교하였으나, 양자 사이에 상관도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바와 같이 유체 해석에 의한 용혈 예측은 물론 용혈이 발생하는 주요 부위의 예측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어, 축류형 혈액펌프 개발시 용혈 특성 개선을 위한 설계도구로써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용혈이 Vitamin $B_{12}$ / Folic acid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 vitro Hemolysis on Vitamin $B_{12}$ / Folic Acid Results)

  • 김미숙;조윤교;임도화;서소연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62-65
    • /
    • 2008
  • 배경: Vitamin $B_{12}$ 및 Folic acid는 모두 수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생체 내에서 보조 효소로서의 작용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세포핵의 DNA 합성에 관여하고 있다. 주로 거대 적아구성 빈혈의 감별 진단과 임신 중 엽산의 저장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한다. 용혈 혈청은 혈구 중의 엽산과 비타민 $B_{12}$가 용출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수탁 검사기관인 본원의 특성상 이 내용을 충실히 따르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용혈의 정도가 검사 결과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검사를 시행해 보았다. 방법: 용혈되지 않은 검체를 대조군으로 하고 기계적으로 용혈을 일으켜 용혈 정도에 따라 A, B, C그룹으로 분리하여 용혈 검체를 그룹별 각각 10개씩 준비한다. 경쟁반응 원리인 M사의 Vitamin $B_{12}$ [$^{57}Co$]/Folate [$^{125}I$] 시약으로 검사를 실시한다. 결과: Vitamin $B_{12}$는 검체의 용혈이 결과 값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Folic acid의 경우에는 용혈의 정도에 따라 값이 증가 하였으며, 심하게 용혈 된 경우 모두 표준곡선의 최고치의 값(20 ng/ml 이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찰: 수탁기관인 본원에서는 Vitamin $B_{12}$ 및 Folic acid 검사 의뢰 병원에 검체의 용혈이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검체의 용혈을 막기 위해 채혈 시 주의할 점들을 홍보하고, 분리, 보관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위의 결과에서 보았듯이 용혈된 검체로 Folic acid검사를 해서는 안 되며 Vitamin $B_{12}$ 또한 결과 값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용혈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PDF

혈관 내 신형 폐보조장치의 기체전달 및 용혈 특성 (Gas Transfer and Hemolysis Characteristics of a New Type Intravenous Lung Assist Device)

  • 김기범;권대규;정경락;이삼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26
    • /
    • 2003
  • 본 연구는 진동형 장치의 활용을 통해 혈관 내 폐 보조장치의 기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하였으며, 진동에 따른 혈액의 용혈 문제에 있어서 한계 용혈이 발생하는 영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가진 주파수가 0 Hz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중공사 수의 변화에 따라 산소전달속도를 측정하였다. 최대의 산소전달속도를 나타내는 중공사 모듈에서 가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산소전달속도를 측정하고 혈액의 용혈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액체 유속의 변화에 따라 최대 산소전달속도를 나타내는 중공사 모듈은 type 6으로 이때의 중공사 개수는 675개이다. 또한, 중공사를 가진하지 않았을 때 최대의 산소전달속도를 보여주는 모듈은 type 6이었다. 모듈 type 6의 가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산소전달속도는 7 Hz에서 최대산소전달속도를 나타내었으며 최대산소전달속도를 나타내는 7 Hz의 가진 주파수에서의 혈액 용혈도를 측정한 결과 혈액의 용혈도는 낮았다. 그러므로 최대 흔들림이 일어나는 7 Hz를 한계 용혈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었다.

과망간산칼륨, 안정화이산화염소, 포르말린, 황산동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적혈구에 미치는 시험관내 용혈작용 및 메트헤모글로빈 생성 효과 (In Vitro Hemolysis and Methemoglobin Formatio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rythrocytes Induced by Potassium Permanganate, Stabilized Chlorine Dioxide, Formalin and Copper Sulphate)

  • 정승희;김진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5
    • /
    • 2005
  • 과망간산칼륨 ($KMnO_4$), 안정화이산화염소 ($S-ClO_2$, 3% 수용액), 포르말린 (37% formaldehyde), 황산동 ($CuSO_4$)을 이용하여 넙치 적혈구의 cell damage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in vitro 용혈작용과 methemoglobin (MetHb) 생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의 농도는 과망간산칼륨 2-250 ppm, 안정화이산화염소 3.13-400 ppm, 포르말린 31.3-2,000 ppm, 황산동 0.04-5 ppm 이었다. 과망간산칼륨은 31.3-250 ppm, 황산동은 0.63 -5 ppm에서 현저한 용혈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이와는 반대로 MetHb 생성은 전혀 없었다. 따라서 과망간산칼륨과 황산동은 넙치 적혈구에 대한 cell damage system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안정화이산화염소의 경우, 용혈작용은 25 ppm 이상의 농도에서 그리고 MetHb 생성은 6.25 ppm 이상의 농도에서 높게 증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유일하게 용혈작용과 MetHb 생성을 양쪽 다 현저하게 나타내었다. 포르말린은 2,000 ppm의 고농도에서도 용혈작용은 없었으며, MetHb 생성은 250-2,000 ppm에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안정화이산화염소와 포르말린은 넙치 적혈구에 대하여 과망간산칼륨 및 황산동과는 또 다른 cell damage system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FD해석을 이용한 축류형 혈액펌프의 용혈평가 및 형상개량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Shape Optimization and Hemolysis Evaluation of Axial Flow Blood Pump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 김동욱;임상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7-64
    • /
    • 2004
  • 최근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자 수는 놀랄 만큼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인공심장은 혈액의 흐름에 따라 크게 박동류형과 무박동류형으로 나뉘며, 무박동류형 펌프는 비용적형으로 박동류형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박동류형 혈액펌프는 다시 구동방식에 따라 축류형과 원심형으로 구분되어지며, 그중 축류형 혈액펌프는 같은 무박동류형인 원심형 혈액펌프와 비교하였을 때 훨씬 간단한 구동장치와 제어장치를 가진다. 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구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용혈이라 하며 혈액이 응고하여 혈관을 막게되는 혈전현상은 이러한 용혈이 주된 원인이다. 따라서 혈액펌프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용혈의 수치를 낮추는 것은 혈액펌프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조건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용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 in-vitro실험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체외실험을 하기 위해선 상당한 비용과 장기간의 연구기간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in-vitro실험의 단 전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어진 CFD해석법은, 엔지니어로 하여금 in-vitro실험을 실시하지 않고 용혈이 발생하는 지역과 용혈발생예측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n-vitro실험의 결과데이터와 CFD해석의 예측결과데이터의 여러 가지 비교를 통해 CFD해석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또한 이러한 정확성이 검증된 CFD해석법을 현재 개발되어지고 있는 축류형 혈액펌프의 개발단계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The Effect of the Aging of Red Blood Cells on Rheological Properties and Hemolysis

  • Tomioka, Jun;Motokubo, Kazuhiro;Watanabe, Hisayoshi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371-372
    • /
    • 2002
  • It is well known that red blood cells (RBCs) are suffered from chronic stresses in systemic circ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aging of RBCs on rheological properties and hemolysis. Initially, RBCs age fractionation was performed by using a high-speed centrifugation (15[min] at 1500[G]), then young and aged RBCs were suspended in plasma to adjust the hematocrit level of 40[%]. After this pretreatment,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using a capillary type and a cone-plate type viscometers, respectively, and the hemolysis test was carried out by a seesaw type shaker. Results from thes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viscosity of the aged RBCs measured by the capillary viscometer was increased by 10[%]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young RBCs. Under the condition of all shear zones, the viscosity of the aged RBCs was increased in case of using the cone-plate type viscometer. And the hemolytic level was increased twice as the aging.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bility of aggregation of RBCs was increased and the deformability of RBCs membrane got lower with the aging. Furthermore, it was exhibited that the fragility of RBCs ’ membrane was increased with the ag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