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avy metal Pb

검색결과 1,392건 처리시간 0.023초

하수오니의 화학적 조성과 토양중 질소 무기화 (Chemical Compositions of Sewage Sludges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Sewage Sludge Applied Soil)

  • 박미현;이승헌;류순호;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196
    • /
    • 1998
  • 전국에 산재한 56개소의 하수 종말 처리장 중 21개소에서 혐기소화-탈수 오니 케이크를 수집하여 화학적인 성분을 분석, 조사하였고, 성분 분석한 오니 중 용인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채취한 오니를 0, 12.5, 25, 50, $100Mg\;ha^{-1}$ 수준으로 처리한 토양의 질소 무기화율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니의 pH는 6.4~8.3의 범위였으나 82% 가 7.0 이상이었다. 유기탄소 함량은 14.0~30.1% 의 범위였다. 전질소 함량은 2.3~6.0%의 범위였고 이 중에서 암모늄태 질소가 $291{\sim}4,284mg\;kg^{-1}$ 이었고 질산태질소는 $1.4{\sim}58.8mg\;kg^{-1}$ 무기태 질소가 전질소 중 0.9~11.9%를 차지하였다. 총인은 0.9~2.9% P의 범위였으며, 편차가 0.4%로 적었다. K은 $1.0{\sim}4.9g\;kg^{-1}$, Ca은 $1.1{\sim}11.6g\;kg^{-1}$, Mg 은 $2.9{\sim}8.4g\;kg^{-1}$, Na은 $1.1{\sim}6.1g\;kg^{-1}$의 범위였다. 중금속의 총함량은 Cd $2.86{\sim}58.22mg\;kg^{-1}$, Cu $144{\sim}5,417mg\;kg^{-1}$, Cr $ND{\sim}5,784.6mg\;kg^{-1}$, Mn $358.5{\sim}5.466.9mg\;kg^{-1}$, Ni $55.6{\sim}1,315.5mg\;kg^{-1}$, Pb $ND{\sim}943.5mg\;kg^{-1}$, Zn $1,470{\sim}8.083mg\;kg^{-1}$등의 범위였다. 오니 생산 최종 공정에서 혐기 소화과정을 거친 오니를 처리한 토양 배양 실험에서 토양 내 전질소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급격한 감소 경향을 나타냈고 질산태 질소의 함량은 뚜렷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 PDF

Cordycepin 강화 한우고기 생산에 관한 연구 I. 곡립기주 동충하초 균사체의 화학적 성분 및 안전성 조사 (Development of cordycepin fortified meat production in Hanwoo steers I.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afety of Cordyceps militaris from grain or pupae and Paecilomyces tenuipes)

  • 김완영;이성훈;김도형;이장형;노환국;황진호;여준모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35-51
    • /
    • 2009
  • 본 연구는 곡립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의 사료영양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종의 동충하초 즉, 곡립기주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균사체, 번데기(pupae) 기주(곤충)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 및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 균사체를 선정하여 일반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cordycepin 및 중금속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조단백질함량은 곡립 및 곤충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균사체에서 각각 76.16과 75.45%로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의 57.2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에테르추출물함량은 눈꽃동충하초, 곤충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곡립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 졌고(P<0.05), 곡립이 0.96%로 곤충의 9.04%보다 에테르추출물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조섬유함량은 곡립 밀리타리스 및 눈꽃동충하초 균사체가 각각 12.24 및 13.93%로 곤충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균사체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수분, 조회분 및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종류의 동충하초의 아미노산 조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공히 글루탐산(Glu)비율이 가장 높았다. 글리신(Gly)은 곤충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균사체가 곡립 균사체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는 밀리타리스 균사체와는 달리 타이로신(Tyr)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곡립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균사체는 트레오닌(Thr), 세린(Ser), 글루탐산(Glu), 알라닌(Ala), 류신(Leu), 페닐알라닌(Phe) 및 프롤린(Pro)을 곤충 밀리타리스 및 눈꽃동충하초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였다(P<0.05). 곡립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균사체는 리놀레산(C18:2)의 비율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으나(P<0.01), 곤충 밀리타리스 및 눈꽃동충하초 균사체군은 리놀렌산(C18:3)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는 팔미트산(C16:0)과 스테아린산(18:0)의 비율이 다른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곡립 밀리타리스 균사체내 cordycepin 함량은 건물기준 1.64%를 함유하여 곤충 밀리타리스의 0.6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하지만,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는 cordycep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세 종류의 동충하초 내 중금속(Cr, Pb, Cd, Hg)은 농림부 허용수준이하로 안전하였다.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Beauty Shops at kwangju Area

  • Son Bu-Soon;Song Mi-Ra;Yang Won-Ho;Park Jong-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06
    • /
    • 2006
  • The work of hairdressers includes washing, coloring, bleaching, permanent waving, conditioning, and cutting hair. Hairdressers are subjected to a number of physical and toxicological hazards. The toxicological hazards are those resulting from exposure to a wide range of chemicals that are usually classified active processes. In this study, twenty beauty shops were selected to assess the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VOCs and particulate matter $(PM_{10})$ during one month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03. Indoor air quality of beauty shops might be worse by vehicle emissions because the beauty shops were generally located near roadways. Personal exposures to VOCs and $PM_{10}$ were related to indoor concentrations of beauty shop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hairdressers complained of sore throat, eye irritation, and nervousness as physical symptoms.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of respiratory particulates were $30.5ng/m^3$ in indoor, $30.5ng/m^3$ in outdoor and $44.0ng/m^3$ on personal levels. The personal concentration was found higher than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The heavy metals mean concentrations were shown as indoor (Na>Zn>Cr), outdoor (Cr>Zn>Pb), and personal (Na>Cr>Zn) levels. Conclusively, customers as well as workers in the beauty shops might be highly exposed to air pollutants from indoor and outdoor sources. Therefore, proper management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in beauty shops.

미꾸라지의 영양성분에 대한연구 -2. 지역별 미꾸라지의 중금속함량의 계절변화- (Studies on Nutrient Composition of Loach -2. Seasonal Variations in Heavy Metal Contents of Loach in Various area-)

  • 김희숙;이현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2호
    • /
    • pp.167-172
    • /
    • 1985
  • 경남의 주요 미꾸라지산지인 5개지역 ( 밀양, 울산, 기장, 영산, 김해 )의 미꾸라지 여름철시료와 가을철시료의 중금속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카드뮴은 5개지역의 계절별 시료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2) 구리는 여름철시료에서$2.640{\sim}4.973ppm$이, 가을철시료는 $1.722{\sim}2.353ppm$이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시료의 구리함량이 높았다. 3) 크롬은 여름철시료에 $0.324{\sim}0.471ppm$이, 가을철시료에 $0.443{\sim}1.073ppm$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가을철시료에 크롬의 함량이 높았다. 4) 망간은 여름철시료에 $5.607{\sim}8.010ppm$이, 가을철시료에는 $2.563{\sim}14.405$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울산을 제외하고는 가을철시료에 망간의 함량이 높았다. 5) 비소는 5개지역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6) 납은 여름철시료에 $1.720{\sim}2.351ppm$이, 가을철시료에 $0.306{\sim}1.882ppm$으로 5개지역 모두 여름철시료가 높았다. 7) 수은은 여름철시료에 $0.029{\sim}2.351ppm$이, 가을철시료에 $0.039{\sim}0.103ppm$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시료에 차이가 없었다. 우리나라의 식품위생관계법규에는 콩나물의 수은함량에 대한 잠재규정만 있을 뿐 그 외의 자연식품에 대한 중금속 함량은 규제치가 정해져 있지 않다. 위의 실험결과 미꾸라지중 중금속함량은 우리나라 식품일반에 대한 규제치, 미국의 FDA나 Australia의 NHMRC의 규제치등에 비교해 볼 때 안전범위에 있었다.

  • PDF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식물의 생태학적 연구(III) -도로변 식생과 중금속 함량 및 오염에 관한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Plants for Control of Environmental Pollution, III -The Studies on the Content and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and Vegetation of Roadside-)

  • 차종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4호
    • /
    • pp.158-162
    • /
    • 1974
  • Some ecological attributes of perennial plants and Pb contamination were analyzed for study plots near an entrance of Nevade Test Site at Mercury Valley, Nye County, Nevada. The surface of the desert pavement soil was composed of stones (1 to 4cm diameter). The underside of each stone was coated with coarse and fine sand (about 90%). The profiles of soil were constituted with the A-horizon and C-horizon only. The soil pH at the plots ranges from 7.6 to 8.5, C/N was 13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showed 15me/100g. Nine species and 42 number of individuals were found in all plots. Franseria dumosa and Larrea divaricata were dominant species. The discrete clumps of vegetation were consisted of 9 species of common perennials and these were covered about 25% on desert pavement, on the other words, bare area without vegetation was about 75%. The size and spacing of the plants was irregular. Community coefficient as comparison between shrub species in these study area and those in near the low elevation desert indicated a low degree of similarity. Density, cover and productivity in the study plots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nearest study areas in Mercury Valley showed a higher value. The soils in the studied area involved high heavy metal contents in the plant tissue was higher than those of its soil. The leavds of Lycium andersonii tended to accumulate more Zn and Mo than those of the other species. Larrea divaricata leaves accumulated very high leaves of Fe and Ephedra nevadensis were generally high in Mn. Lead contamination was apparent in foliage of desert vegetation collected alongside the roadway, reflecting the variation in traffic volume. Lead contents greater than fifteen-fold of normal (low traffic) were found in plant foliage alongside the heavily traveled roadway. Lead content of old foliage by the heavily traveled roadway was as much as 129 ppm but that of new foliage 17 ppm only.

  • PDF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polis)

  • 이수원;김희재;황보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3-388
    • /
    • 2001
  • 본 연구는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예천과 영월 프로폴리스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화분, 그리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각 3.25와 3.97, 9.82와 7.04, 48.25와 50.7, 3.91과 5.89, 그리고 34.77과 32.4%였다. 미네랄에서 Se은 검출이 되지 않았으며, P, Ca 및 Cu은 영월 프로폴리스가 184.15, 128.32, 1.77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예천산은 1130.6ppm, 그리고 영월산은 1049.1ppm이었다. 지방산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예천 프로폴리스가 47.6 및 70.0mg/100g이었으며, 영월 프로폴리스는 37.3과 47.0mg/100g이었다.

  • PDF

토양오염지표에 의한 천안시 토양환경 평가 (Assessment of the Soil Quality of Chonan City using Soil Pollution Index)

  • 장인성;정창모;임계규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5-192
    • /
    • 1999
  • 천안시의 토양 환경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농경지 3개소, 공단지역 3개소, 도심지 2개소, 하천주변 3개소, 매립지 주변 3개소)로 13개 항목에 관한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 항목마다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못 미치는 오염도를 보였다. 토양의 산성화는 농경지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속도로 주변의 농경지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산성 강하물의 영향으로 의심되는 산성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밭 지역의 산성화가 심화되어서 토양 측정망의 채취지점 추가가 요구되었다. 중금속 6종과 기타 유기득성물질은 모두 토양오염 우려기준에 못 미치는 값을 나타냈다. 유류성분인 BTEX성분 역시 우려기준에 못 미치는 값을 보였으며, TPH는 BTEX보다 광범위한 오염도를 보였다. 오염물질에 의한 토양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토양오염지표(SPI, Soil Pollution Index)를 이용하여 천안시의 토양오염도를 평가하였다. 토양오염점수(SPC, Soil Pollution Score)에 의해 산출된 토양오염 등급은 모두 1 등급으로 판명되어 천안시의 토양은 비교적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능성기가 결합된 자성체를 이용한 토양의 중금속 분석 (Analysis of heavy metals from soils with magnetite immobilized functional groups)

  • Hyungsuk So;Nah, In-Wook;Hwang, Kyung-Yub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56-156
    • /
    • 2003
  • 유럽의 여러나라들의 경우 토양내 중금속의 허용치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고 있으며 1999년에 제정된 독일의 새로운 토양보전법에서도 토양의 사용목적별로 중금속 허용치를 달리 정하고 있다. 여기서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DIN(독일 공업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증류수추출법과 왕수추출법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 2가지 방법들은 토양의 중금속분석에서 가장 큰 factor로 작용하는 것이 pH인데 반하여 pH가 7인 증류수와 pH가 0인 왕수를 사용함으로써 실제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수를 내포하고 있으며 차츰 적당치 못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실질적인 중금속의 유해성 여부는 토양에서의 그 중금속의 용해도와 유동성으로 결정되는데 강한 산성비가 내린다고 가정하였을 때 비의 pH가 약 4 정도이고 이 경우 식물 뿌리 부분의 pH는 5 정도가 되므로 pH를 기준으로 할 때 잠재적으로 유동가능한 중금속을 분석하는 데에는 pH 4.5 에서 EDTA 추출이 가장 적당하고 또한 이를 토대로 토양내 중금속 허용치를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EDTA는 pH 4에서 부분적으로 Proton과 결합되어 Metal Chelate로의 능력을 잃게 되고 또한 식물 뿌리의 중금속 흡착을 Simulation할 수 없어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EDTA는 분해기간이 길고 인체에 해롭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어 점점 사용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함유된 유동가능한 중금속농도분석을 보다 적절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EDTA와 같이 Carboxyl기가 결합된 고분자 자성체를 이용해 토양의 중금속을 분석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분석을 위한 중금속 추출 시 토양시료와 증류수 그리고 고분자 자성체만을 사용하여 근본적으로 토양에서 유동 가능성이 있는 중금속만을 추출하였다. 분석실험은 토양의 Cd2+ 와 Pb2+를 대상으로 행하여졌으며, 여러 토양에서 추출 분석한 결과를 EDTA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중금속은 매우 신속하게 고분자 자성체와 결합하였고, 그 후 자성체를 외부 자장으로 모은 후 산으로 용해시키고, 결합된 중금속은 Graphite furnace AAS로 분석함으로써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실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들을 비교 검토한 결과 토양 분석시 sandy soil에서는 자성체를 이용한 분석이 EDTA에 의한 방법보다 더 높은 추출도를 보인 반면, silt 함량이 많은 토양의 경우에서 EDTA분석에서 더 높은 중금속 추출도를 보였다.

  • PDF

시설재배 참외의 생육과 토양 특성에 미치는 인산석고의 효과 (Effects of Phosphogypsum on the Growth of Oriental Melon and Soil Properties)

  • 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34-339
    • /
    • 2005
  • 인산 제조공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인 인산석고는 시설재배지 토양 pH의 조정과 칼슘을 포함한 여러가지 필수 무기영양원소를 공급하는 면에서 토양 개량제나 양분급원의 일종으로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인산석고를 참외에 시용한 결과, 초기 생육 상황을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고토석회 처리구와 비교하여 우선 가시적으로 매우 현저한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두 차례의 생육 조사 결과에서도 이러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토양 산성화, 염류장해, 유해금속 문제 등 인산석고가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우려한 문제는 참외 재배 하우스 토양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작물생육에 관련된 부작용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현재까지 나타난 참외에 대한 인산석고의 효과는 Ca의 원활한 공급 외 다른 원인은 아직 구명하기 어려우나, 적절한 시용 수준에서의 인산석고의 농업적 재활용은 충분히 부작용 없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Ca 공급 측면과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pH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석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기념물 법수늪의 토양특성 및 관리방안 (Soi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posal of the Monument Beobsoo Marsh, Korea)

  • 김도균;김용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32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propose the management for the Monument Beobsoo Marsh, Korea. The soil properties of O.M, $Ca^{2+}$, $Na^+$ and CEC were higher and the soil properties of pH_{1:5}$ and $P_2O_5$ were lower the studied sites than other marsh sites in Korea. Although the Heavy metals such as Pb, Hg, Cd, Cu, Zn, Cr and As were lower compare to the safety standard of soil pollution in Korea, the overall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sidered just because it varied by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within the studied marsh. The source of water pollution varied due to non-point polluting origins such as sewage inlet, degraded terrain for agriculture, fishing sites, sites of removed water grasses, pesticides, chemical fertilizers, as well as fallen leaves. The creation of an artificial marsh is recommended due to the soil environment of the studied sites may be changed owing to the accumulated contaminants from the sources of both of point or non-point contaminants. The establishment of the zones of core, buffer and transition which is basic management structure of the UNESCO MaB could be applied to manage the studied site. Simultaneously the promotion of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duc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