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 treated food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8초

당근과 시금치 저장에 있어서 자몽종자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Preservation for Carrot and Spinach)

  • 김미경;박미숙;최선욱;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6-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제 CFSE를 이용하여 적절한 온도 하에서 당근과 시금치의 저장성 향상에 대한 효과를 보았다. 먼저, $70^{\circ}C$$90^{\circ}C$에서의 당근과 시금치의 열처리에 대한 영향과 아울러 GFSE 첨가시의 효과에 대한 예비 실험을 실시한 결과, 당근과 시금치의 경우 CFSE첨가에 관계없이 $70^{\circ}C$에서 2 분간 열처리하였을 때 비교적 정상적인 색상과 texture유지 및 미생물의 생육억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예비실험으로부터 이후 열처리는 $70^{\circ}C$에서 고정하고 GFSE의 농도별 영향을 실시한 결과, GFSE를 10 ppm 이상 첨가한 경우 당근이나 시금치 모두 $4^{\circ}C$에서 저장 17일까지 호기성세균 및 yeast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50 ppm 이상에서는 뚜렷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당근과 시금치의 다양한 농도의 GFSE 첨가와 아울러 $70^{\circ}C$ 2 분간 처리는 이미 1차 실험에서와 같이 색상 및 조직의 연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그러므로 잔류독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화학 항균제가 아닌 천연 항균제 GFSE를 활용한 과일과 채소류의 저장성을 높인 상품을 개발함으로서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는 식품으로써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열처리 및 유기산처리가 신선편이 연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ld Heat and Organic Aci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Fresh-Cut Lotus Roots)

  • 박주현;홍석인;정문철;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29
    • /
    • 2013
  • 박피 연근절편의 선도연장을 위한 연구로 연근절편을 $50^{\circ}C$ 물에 열수 처리하였고, 아울러 시너지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열처리와 ascorbic acid 1%와 citric acid 1%를 각각 병행 처리한 후 $5^{\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수, 색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열수 및 citric acid 병행 처리구의 경우 저장 9일후 그 값이 가장 낮았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들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곰팡이 수의 경우 대조구가 6.81 log CFU/g을 나타낸 반면, 열수 처리구는 12일 후 3.89 log CFU/g으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연근절편 색도의 L값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Delta}E$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구가 급격히 색 변화가 일어나는데 비해 열수 처리구는 완만한 변화를 보였고 열처리 후 각각 ascorbic acid와 citric acid를 병행한 처리구는 색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상품성은 대조구가 3일간 유지되었던 반면 열수 처리 구는 9일간, 열수 및 유기산 병행 처리구는 12일간 상품성이 유지되었다. 전반적인 품질, 색, 조직감 등은 열처리를 한 처리구들이 열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그 중 열수 및 유기산 병행 처리구가 관능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해, 연근 절편의 열처리는 미생물과 갈변을 억제시킴으로써 연근의 관능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었고, 특히 citric acid 1%를 열처리와 함께 병행하는 것이 연근의 품질유지와 갈변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ed Garlic (Allium sativum)

  • Woo, Koan-Sik;Yoon, Hyang-Sik;Lee, Youn-Ri;Lee, Jun-Soo;Kim, Dae-Joong;Hong, Jin-Tae;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22-827
    • /
    • 2007
  • The aroma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treated garlic (Allium sativum L.) were evaluated. The garlic was heated to various temperatures (100, 110, 120, and $130^{\circ}C$) for different lengths of time (1, 2, and 3 hr). The volatile compounds of heated garlic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roma compound profi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by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The major aroma compounds were sulfur compounds such as dimethyl disulfide, 2-propen-1-ol, methyl-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and di-2-propenyl trisulfid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DA, %) and the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activity (AEAC)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ed garlic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and time (p<0.001). The EDA (%) and AEAC of raw garlic were 26.8%/10 mg garlic and 39.05 mg ascorbic acid equivalent per g sample. After heat treatment, the highest values were 40.50%/10 mg garlic for EDA (%) and 46.43 mg ascorbic acid equivalent per g sample for ABTS.

Establishing Quantitative Standards for Residual Alkaline Phosphatase in Pasteurized Milk

  • Kim, Dong-Hyeon;Chon, Jung-Whan;Lim, Jong-Soo;Kim, Hong-Seok;Kang, Il-Byeong;Jeong, Dana;Song, Kwang-Young;Kim, Hyunsook;Kim, Kwang-Yup;Seo, Ku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4-197
    • /
    • 2016
  •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ssay is a rapid and convenient method for verifying milk pasteurization. Since colorimetric ALP assays rely on subjective visual assessments, their results are especially unreliable near the detection limit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stablish quantitative criteria for residual ALP in milk by using a more objective method based on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 Raw milk was heat-treated for 0, 10, 20, 30, and 40 min and then subjected to ALP assays. The quantitative criteria for residual ALP in the milk was determined as 2 μg phenol/mL of milk, which is just above the ALP value of milk samples heat-treated for 30 min. These newly proposed methodology and criteria could facilit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of milk.

옴가열이 전분의 열적 특성과 흡수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hmic Heating on Thermal and Water Holding Property of Starches)

  • 차윤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19
    • /
    • 2014
  • Ohmic heating uses electric resistance heat which occurs equally and rapidly inside food when the electrical current is transmitted into. Prior to the study, we have researched the potato starch's thermal property changes during ohmic heating. Comparing with conventional heating,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the range of potato starch treated by ohmic heating are increased and narrowed respectively. Herein, we have studied thermal property changes of wheat, corn, potato and sweet potato starch by ohmic heating as well as conventional heating. And then we measur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starches. Annealing of starch is a heat treatment method heated at 3~4% below the gelatinization point. This treatment changes the starch's thermal property. In the DSC analysis of this study, the $T_o$, $T_p$, $T_c$ of all starch levels have increased, and the $T_c$-$T_o$ narrowed. In the ohmic heating, the treatment sample is extensively changed but not with the conventional heating. From the ohmic treatment, increases from gelatinization temperature are potato ($8.3^{\circ}C$) > wheat ($5.3^{\circ}C$) > corn ($4.9^{\circ}C$) > sweet potato ($4.5^{\circ}C$), and gelatinization ranges are potato ($7.9^{\circ}C$), wheat ($7.5^{\circ}C$), corn ($6.1^{\circ}C$) and sweet potato ($6.8^{\circ}C$).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reatment, water holding capacity is not chang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ut the ohmic heating is increased. Water holding capacity is related to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for starch. This result show that when treated with below gelatinization temperature, the starches are partly gelatined by ohmic treatment. When viewing the results of the above, ohmic treatment is enhanced by heating and generating electric currents to the starch structure.

다진 마늘의 첨가 형태에 따른 쿠키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Forms of Shredded Garlics)

  • 최덕주;신정혜;이수정;이현지;권오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2-288
    • /
    • 2007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between fresh shredded garlic(FSG) and heat-treated($150^{\circ}C$, 5 min) shredded garlic (HT-SG)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different content additions. The levels investigated were 0, 0.5, 1, 2, 4 and 6% for both shredded garlics. Dough pH was lower in the FSG-added cookies than in the HT-SG-added cookies. The spread factor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shredded garlic compared to the control($10.63{\pm}0.57$), but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within each group. Cookies hardness was highest at 2% garlic content, and it was higher for HT-SG than FSG. Compared to the measured L-value of the control, the L-values of the test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garlic contents. With increasing garlic contents, the a-value increased, but the b-value remained mostly unchanged, with les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lor of the HT-SG group tended to be brown as the garlic content increased. The degree of browning was more pronounced for HT-SG than FSG. Surface cracking of the cookies tended to be higher in the FSG samples than in HT-SG. Compared to the control, garlic taste and flavor increased remarkably with increasing garlic content, and they were stronger for the FSG cookie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HT-SG was relatively high, and it was highest for the HT-SG cookies with a 0.5~2% garlic contents than for the control cookies.

Annealing 처리가 가교결합 옥수수전분의 저항전분 수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nealing on Resistant Starch Contents of Cross-linked Maize Starches)

  • 문세훈;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1-436
    • /
    • 2002
  • 보통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여 저항전분을 제조할 때 저항 전분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교결합 전분을 제조하고 annealing처리를 병행하였다. Annealing은 $40{\sim}60^{\circ}C$ 범위에서 실시하였고,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70^{\circ}C$$100^{\circ}C$에서 열처리한 후 가교결합 전분을 제조하였다. RS 분석방법으로는 pancreain-gravimetric법(P/G법)을 사용하였다. 보통 옥수수전분과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으로 annealing하지 않고 가교결합 전분을 제조했을 때의 RS수율은 각각 14.7, 45.3%였고, annealing 한 후 가교결합 전분을 제조했을 때 28.0, 63.4%까지 증가하였다. 가교결합 전분의 팽윤력은 annealing 처리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으나, 보통 옥수수전분으로 제조한 시료의 경우는 호화온도이상에서 열처리했을 때 팽윤력이 2배이상 증가하였다. 두가지 전분으로부터 제조된 가교결합 전분의 X-선 회절도와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특성 역시 annealing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Textur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Tofu Manufactu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flour Fortified with Food Ingredients

  • Shim, Jae-Jin;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78-283
    • /
    • 2003
  • Textural properties of tofu manufactu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flour (MFS) were enhanced by the addition of soy protein isolate, whey protein concentrate,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mushroom powder. The MFS solution (14.2% solid content) was converted to semi-solid tofu by a two-stage heat treatment with the addition of 4% coagulant mix. The MFS tofu was evaluated by a compression test as well as sensory evaluation. To produce the semi-solid gel (MFS tofu) with reasonably high strength and toughness, the MFS solution with 14.2% solid content and 7.0% protein had to be heat treated at 121$^{\circ}C$ for 3min. The relative toughness of MFS tofu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SPI, showing a 144% increase. The toughness of MFS tofu prepared with the MFS/SPI mixture was great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WPC at the level of 0.7% and the water separation from MFS tofu was greatly reduced. Furthermore, the toughness and strength of MFS/SPI tofu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0.1%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0.2% mushroom powder.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tofu fortified with SPI, chitosan oligosaccharide and mushroom powder was superior to that of MFS tofu, with a higher score for overall preference.

초고압과 열처리를 통한 단무지의 저장성 향상 (Improvement in Storage Stability of Danmooji (Salted Radish)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Heat Treatment)

  • 김병기;홍관표;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138
    • /
    • 1998
  • 초고압$(300{\sim}686\;MPa)$ 및 열$(55^{\circ}C)$ 처리 한 단무지의 저장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존균수, 효소활성, 조직감의 저장중 변화를 측정하였다. 총균수에서는 500 MPa 압력에서 5분간 처리한 시료와 686 MPa 압력에서 5분간 처리한 시료가 $4{\sim}6\;log\;cycle$ 감소를 보였으며, $55^{\circ}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한 시료는 $3{\sim}5\;log\;cycle$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300 MPa 압력에서 5분간 처리한 시료는 2 log cycle 이하의 감소를 보여 살균 조건으로는 불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초고압 및 열처리한 단무지의 pectinesterase (PE) polygalacturonase (PG)의 처리직후 활성은 무처리군(control)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E 활성은 초고압처리에 의해 더 증가한 반면 PG는 열처리에 의해 더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PE, PG 활성을 유지 하다가 20일째에는 실활하였으나 초고압처리구는 저장 8일째 까지 무처리군의 초기 PE 활성 이상을 유지하는 바람직한 현상을 보였다. 효소활성과 관련된 puncture force 측정에 의한 시료의 경도는 초고압과 열처리후 모두 증가했으며, 저장기간 동안 control에 비해 높은 경도를 유지하였다.

  • PDF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한 처리 난백 중 ovomucoid의 알레르기성 조사 (The Allergenicity of Ovomucoid in Treated Egg Whites to Human IgE Antibody from Egg-Allergic Patients)

  • 류주현;김현정;안강모;이상일;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43-348
    • /
    • 2008
  • 여러가지 방법으로 난백을 처리하고 난백 중 주요한 알레르겐인 OM의 알레르기성 변화를 계란 알레르기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한 간접경합 ELISA로 조사하였다. 12종의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 방사선조사, succinic anhydride 처리는 OM의 알레르기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 못 하였다. OM의 당쇄를 제거하는 TFMS의 처리는 OM의 알레르기성을 1/20 정도로 감소시켰다. $100^{\circ}C$에서 10분간의 열처리는 알레르기성을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121^{\circ}C$(10분)의 처리는 난백 중 OM의 알레르기성을 1/100정도로 감소시켰다. NaOH 단독 처리는 3%(w/v) 이상에서 알레르기성이 대부분 사라졌고, NaOH(0.3%(w/v) 이상)와 열($70^{\circ}C$,15 min)의 복합처리는 알레르기성을 1/10,000 이하로 낮춤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환자의 IgE 항체를 이용한 ELISA 분석결과와 동일 시료에 대한 토끼 IgG 항체의 ELISA 결과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TFMS 처리물에 대한 반응성은 후자에서 훨씬 많이 감소되어(1/10,000) 대조적이었다. 이는 식품의 항원성과 알레르기성 간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