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care facility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초

건강·복지시설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문헌연구: 노인과 아동청소년 시설 비교 (A Literature Review of Biophilic Design Applied to Healthcare and Welfare Facilities: Comparison of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Children/Adolescents)

  • 김순웅;조선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67-74
    • /
    • 2023
  • 본 연구는 노인과 아동청소년을 위한 건강 및 복지시설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된 문 헌연구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데이터베이스에서 노인과 어린이, 청소년 건강 및 복지시설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관련 문헌을 선정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별 빈도를 분석한 후 비교하였다. 노인시설 관련 문헌 네 개와 어린이 및 청소년 시설 관련 문헌 네 개를 분석한 결과, 노인시설의 '자연의 직접 체험'에 해당하는 바이오필릭 패턴이 아동청소년 시설보다 더 많았고, '공간과 장소 체험' 패턴은 아동청소년 시설이 더 많았다. '자연의 간접체험' 패턴은 노인시설과 아동청소년 시설이 유사하였다. 건강 및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취약아동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자연의 직접체험' 패턴을 더 많이 활용할 것과 노인의 스트레스 감소 및 인지강화를 위하여 '공간과 장소 체험' 패턴을 더 많이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외래 급성 비부비동염 환자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ptions of Antibiotics in Patients with Acute Rhinosinusitis in Ambulatory Settings in South Korea)

  • 정다이;제남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1-269
    • /
    • 2023
  • Background: Acute rhinosinusitis (ARS) is a common condition encountered in ambulatory practice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reasons for antibiotic prescripti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bing for ARS in South Korea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Methods: We analyzed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 Samples data. We selected outpatients aged 20 to 64 with ARS, prescribed antibiotics between February and November 2020. Potentially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bing was categorized as: 1) inappropriate antibiotic selection and 2) inappropriate antibiotic dosage or durat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various factors on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bing. Results: Of 1,210 patients, 80.83% received potentially inappropriate ARS antibiotic prescriptions. Inappropriate antibiotic selection accounted for 43.55%, and inappropriate antibiotic dosage and duration contributed to 37.28%. Otolaryngologists had higher odds ratio (OR)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bing compared to internal medicine practitioners, while dentists had lower OR. Patients aged 20 to 29 years had a higher OR than other age groups, and those who visited primary care clinics had a higher OR than those who visited hospitals. Conclusion: Potentially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bing for ARS is prevalent in South Korea. This study identified physician specialty, patient age group, and the level of healthcare facility as factors influencing potentially inappropriate antibiotic prescriptions. Addressing this issue through targeted interventions, such as improved guidelines adherence and patient education, is imperative to mitigate the risks associated with antibiotic misuse and antibiotic resistance.

요양병원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 현황과 관련 요인: 2009년 건강보험 환자표본 자료 이용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 the use of 2009 National Patient Sample)

  • 문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90-3399
    • /
    • 2013
  • 본 연구는 2009년 한 해 동안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급여 전체 청구자료를 통계적으로 표본 추출 한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의료기관 종류 별 욕창 발생현황과 이중 요양병원 환자의 욕창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전체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3.2%(n=25,339)에서 욕창이 발생하였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8.2%(n=11,895)에서 욕창이 발생하여 종합병원(2.7%, n=8,052), 일반병원(1.7%, n=5,059)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요양병원 입원환자(n=144,523)의 욕창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학적 진단 중 요실금을 가진 환자 군이 가지지 않은 군에 비해 욕창 발생이 2.46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Odds ratio(OR)=2.462, 95% confidence interval(CI)=2.038-2.974). 더하여, 고혈압질환(OR=1.456, CI=1.400-1.515), 말초혈관 질환(OR=1.357, CI=1.200-1.534)군 순으로 욕창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진단 수(OR=1.193, CI=1.187-1.199)와 나이(OR=1.011, CI=1.009-1.012) 및 100침상 당 의사 수(OR=1.063, CI=1.035-1.091)가 증가할수록, 의료기관의 전체 침상수(OR=.889, CI =.869-.909)가 적을수록 욕창발생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 측정 기능의 스마트 의류를 위한 기초 디자인 연구 (A Study of the Basic Design for Smart Clothing based on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 조하경;민세동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15-424
    • /
    • 2012
  • 1990년대 이후 웰빙 라이프스타일의 도입 및 인구 고령화 사회의 진입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지속적으로 측정가능한 생체 신호 센싱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지속적으로 호흡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비자 수요에 기반한 스마트 의류적용을 위한 호흡 측정 시스템의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호흡시 인체의 체표면이 변화하면서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호흡을 측정하는, 전도성 섬유기반의 전기용량성 섬유 압력 센서(Texti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TCPS)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센서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Nasal로부터 측정된 호흡율과 TCPS를 통해 측정된 호흡율간의 상관계수는 r=0.9553 (p< 0.0001)로 TCPS의 신호 측정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사용성 및 착용성 평가의 결과 인지적 변화, 착용성, 운동성, 관리의 용이성 및 유용성에서 모두 만족한다 정도의 평가 결과를 가져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TCPS의 착용성 및 의류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TCPS의 의류 적합 위치 평가 결과는 복부 부위에서 신호의 안정감을 갖으며, 착용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호흡 측정 기능의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 PDF

건강검진 수검자의 의료기관내 검진센터 선택요인과 만족도 (Determin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Health Screening Center by Health Examination at Hospital)

  • 임복희;최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57-467
    • /
    • 2014
  • 본 연구는 의료기관 내 검진센터의 선택요인, 만족도, 재이용의사를 파악하여 이용자의 선호도를 이해하고 검진센터 이용자의 지속적인 검진센터 유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013년 2월 22일부터 2013년 4월 5일 까지 부산시 의료기관 내 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10개소를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검진센터를 방문한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892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 비율, 평균의 차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성, 50대 연령, 대졸 이상의 학력, 사무 전문직, 월평균 소득 200만원 미만, 직장인 일반 신검자, 신검센터의 방문이 처음이 아닌 사람, 질병이 없고,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검진센터 선택요인은 접근성, 직장과의 제휴, 주변권유 순의 결과를 보였다. 검진센터에 대한 만족도는 접근성(3.59), 검진내용(3.59), 브랜드인지도(3.58)시설 환경(3.50), 비용경제성(3.40) 순의 결과를 보였다. 질병이 없는 40~50대 연령층에서 검진센터를 재방문 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들 집단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센터의 검진 종류 및 검진 항목을 다양화하여 이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건강 검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근거중심 재활 공간 디자인을 위한 공간 환경 만족도 연구 -환자 중심 재활의료서비스를 위한 융복합적 접근 (A Study on the Spacial Environment Satisfaction for Evidence Based Design of Rehabilitative Health-Care Facilities -convergent approach for patient-centered rehabilitative healthcare service)

  • 이나경;서다솜;송경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27-337
    • /
    • 2017
  • 본 연구는 재활의료 기관의 공간 환경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환자들의 만족도가 미흡한 영역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자 중심의 재활의료 공간 환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대전지역 6개 종합병원 및 전문재활기관의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를 받는 30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공간 환경 만족도를 7개 구성 부문요소로 분류하였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기 위해 t-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층간 이동성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입원환자에게 있어서 특히 그러했다. 치료실이 위치한 층은 두 번째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쾌적성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구성 부문요소이긴 했으나, 신경계환자의 경우 근골격계 환자보다 덜 만족하였다. 20대 환자가 60대에 비해 길 찾기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실내디자인에 있어서는 50대가 70대에 비해 상대적 만족도가 떨어졌다. 이러한 조사결과와 분석은 향후에 환자들이 더 만족할 수 있도록 재활기관의 공간 환경디자인을 개선해가는 데에 있어서 근거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between 2 Time Periods of 1989 and 2010 at Gangwon Province in Korea

  • Park, Min;Park, Soon Deok;Kim, Sa-Hyun;Lee, Gyusang;Woo, Hyun Jun;Kim, Hyun Woo;An, Byungrak;Jang, In Ho;Uh, Young;Kim, Jong-B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5-279
    • /
    • 2013
  • Etiological agents of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 (ESBL) producing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UPEC) have become a major problem in urinary tract inf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ESBL producing UPEC strains isolated from 1989 and 2010. A total of 301 strains of UPEC clinical isolates was collected from Korean healthcare facility in 1989 (126 strains) and in 2010 (175 strains). UPEC clinical isolates were analyzed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ESBL related bla genes and phylogenetic groups)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mong 301 isolates, ESBL producing UPEC were 8 strains (6.3%) in 1989 isolates and 35 strains (20%) in 2010 isolates. The rate of bla genes in ESBL producing UPEC from 1989 isolates and 2010 isolates were $bla_{TEM}$ (75% and 85.7%), $bla_{CTX-M}$ (0% and 91.4%), $bla_{OXA}$ (25% and 20%), $bla_{PER}$ (0% and 2.9%). The distribution of phylogenetic groups in 1989 isolates and 2010 isolates were A (37.5% and 11.4%), B2 (12.5% and 51.4%), and D (50% and 37.1%). The most prevalent ESBL related bla gene and phylogenetic group were $bla_{CTX-M}$ (91.4%) and B2 (51.4%) in 2010 isolates, while $bla_{CTX-M}$ was not detected in 1989 isolates. Among 43 ESBL producing UPEC were grouped into 12 clusters up to 76% of genetic similarities by AFLP analysis. During past twenty one years, the rate of the ESBL producing UPEC strains in 2010 isolates was increased than that of in 1989 isolates. Also, the most prevalent ESBL related bla gene has been changed from $bla_{TEM}$ to $bla_{CTX-M}$.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SCCmec Types and Virulence Factor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linical Isolates in Korea

  • Lim, Kwan-Hun;Lee, Gyu-Sang;Park, Min;Lee, Jin-Hee;Suh, In-Bum;Ryu, Sook-Won;Eom, Yong-Bin;Kim, Jong-B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2
    • /
    • 2010
  • The molecular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olates have demonstrated their genetic diversity and evolution. A total of 137 strains of MRSA clinical isolates was collected from Korean healthcare facility in 2007. The MRSA clinical isolates were analyzed by molecular typings (SCCmec element and agr locus typing), virule nce factor gene detections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enterotoxin, exfoliative toxin and toxic shock syndrome toxin-1),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The MRSA clinical isolates were classified as SCCmec type II-agr type 1 (2 strains), type II-agr type 2 (79 strains), type III-agr type 1 (24 strains), type III-agr type 2 (2 strains), type IV-agr type 1 (27 strains), type IV-agr type 2 (2 strains), and non-typable (1 strain, agr type 3). Based on SCCmec types, SCCmec type II (95.1%) and III (88.5%) indicated higher multidrug resistance rate than SCCmec type IV (10.3%) (P<0.001). The most common enterotoxin genes were seg (83.8%), sei (83.1%), and sec (80.2%). The tst gene was present in 86 out of 137 (62.8%) MRSA isolates. All MRSA isolates were negative for PVL and exfoliative toxin genes. The combinations of toxin genes were observed in particular SCCmec types; 97.6% of SCCmec type II strains carried sec, seg, sei and tst genes, 73.0% of SCCmec type III strains carried sea gene, and 89.7% of SCCmec type IV strains carried sec, seg and sei genes. Each of the SCCmec types of MRSA isolates had distinct AFLP profile. In conclusion, SCCmec type II, agr type 1 and 2 have demonstrated to be the most common types in Korea,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irulence factor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molecular types (SCCmec and agr types).

Hinokitiol에 의해 유도된 Autophagy 및 Apoptosis에 의한 대체 항암요법 연구 (Can Hinokitiol Kill Cancer Cells? Alternative Therapeutic Anticancer Agent via Autophagy and Apoptosis)

  • 이태복;전진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21-234
    • /
    • 2019
  • 암은 유전적, 대사질환적 그리고 감염성 질환 등에 의해 유발되는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으로서, 세포의 성장이 정상적으로 통제되지 않으며, 공격적인 형태로 주변의 조직이나 장기로 침범하는 경향을 보이는 생명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질병이다. 지난 수십 년 간,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암을 정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고, 암 신생 기전 및 항암제 연구가 항암제 내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양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Hinokitiol (${\beta}$-thujaplicin)은 측백나무과 편백속에 속하는 나무에서 분비되는 terpenoid 물질로서, 항염증작용, 항균작용 및 몇몇 암세포 주에서 autophagy를 통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inokitiol이 세포 영양상태의 변화유무에 관계없이, transcription factor EB (TFEB)의 핵으로의 이동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FEB의 핵으로의 이동은 autophagy 및 lysosome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고, 세포질 내에 증가된 autosome과 lysosomal puncta의 관찰을 가능하게 하였다. Hinokitiol를 HCC827세포에 처리한 경우에서, 세포 내 autophagy의 증가와 더불어, mitochondria의 hyper-fragmentation과 mitochondria의 authophagic degradation (mitophagy)가 함께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Hinokitiol은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세포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HCC827에서 암세포 특이 독성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TFEB 과발현을 통해 autophagy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킨 HeLa 세포에서 hinokitiol에 대한 세포독성은 더욱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hinokitiol은 TFEB의 핵으로의 이동을 촉발시키는 강력한 autophagy inducer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hinokitiol에 의한 TFEB의 활성화 및 비소세포성 암세포에서 항암효과의 상승작용은 다양한 항암제 저항성 세포들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및 대체요법 개발과 관련된 의미 있는 결과로 향후, 분자수준의 작용기작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에 따른 치과 의료 관리 가이드라인 (Guidelines for dental clinic infection prevention during COVID-19 pandemic)

  • 김진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20
  • Dental setting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warrant specific infection control considerations, including (1) prioritizing the most critical dental services and provide care in a way that minimizes harm to patients due to delayed care, or harm to personnel from potential exposure to persons infected with the COVID-19 disease, and (2) proactively communicate to both personnel and patients the need for them to stay at home if sick. For health care, an interim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recommendation (COVID-19) is recommended for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coronavirus or those whose status has been confirmed. SARS-CoV-2, which is the virus that causes COVID-19, is thought to be spread primarily between people who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another (within 6 feet) through respiratory droplets that are produced when an infected person coughs, sneezes, or talks. Airborne transmission from person-to-person over long distances is unlikely. However, COVID-19 is a new disease, and there remain uncertainties about its mode of spreads and the severity of illness it causes. The virus has been shown to persist in aerosols for several hours, and on some surfaces for day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OVID-19 may also be spread by people who are asymptomatic. The practice of dentistry involves the use of rotary dental and surgical instruments, such as handpieces or ultrasonic scalers, and air-water syringes. These instruments create a visible spray that can contain particle droplets of water, saliva, blood, microorganisms, and other debris. While KF 94 masks protect the mucous membranes of the mouth and nose from droplet spatter, they do not provide complete protection against the inhalation of airborne infectious agents. If the patient is afebrile (temperature <100.4°F)* and otherwise without symptoms consistent with COVID-19, then dental care may be provided using appropriate engineering and administrative controls, work practices, and infection control considera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lies for respiratory hygiene and cough etiquette, including alcohol-based hand rub (ABHR) with 60%~95% alcohol, tissues, and no-touch receptacles for disposal, at healthcare facility entrances, waiting rooms, and patient check-ins. There is also the need to install physical barriers (e.g., glass or plastic windows) in reception areas to limit close contact between triage personnel and potentially infectious patients. Ideally, dental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in individual rooms whenever possible, with a spacing of at least 6 feet between the patient chairs. Further, the use of easy-to-clean floor-to-ceiling barriers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rtable HEPA air filtration systems. Before and after all patient contact, contact with potentially infectious material, and before putting on and after remov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cluding gloves, hand hygiene after removal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remove any pathogens that may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bare hands during the removal process. ABHR with 60~95% alcohol is to be used, or hands should be washed with soap and water for at least 20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