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1,625건 처리시간 0.032초

요실금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The Influence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Urinary Incontinent Elderly Women)

  • 이진숙;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85-2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자료를 이용하여 활동 제한, 우울 증상 경험, 주관적 건강 인식이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요실금 여성 노인은 요실금이 이환되지 않은 여성 노인에 비해 활동 제한, 우울 경험, 주관적 건강 인식,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이나 교육은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활동제한, 우울경험은 요실금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주관적 건강 인식만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노화의 한 과정으로 생각해 진료나 치료를 꺼려왔던 요실금 여성 노인 대상자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나 적극적인 치료 홍보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울산 지역 자동차 하청업체 제조업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s: Focusing on Sub-contractual Workers of Ulsan's Vehicle Industry)

  • 김지원;김연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4-10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variable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s. Methods: We used data from 200 survey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a vehicle manufacture factory located in Ulsan metropolitan area. The participants were manufacturing work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acute{e}}^{\prime}s$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occupational stress and quality of slee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physical component scor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2.2%.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and relig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mental component scor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3.3%. Conclusion: Continuous monitoring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occupational stress,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are needed to improve manufacturing work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국내 노인들의 신체적 활동 유형별 참여와 건강 관련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among Types of the Korean Seniors'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Health)

  • 장기연;이은진;강미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7-61
    • /
    • 2020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활동을 일 관련 신체활동, 운동 및 여가 신체활동, 이동 관련 신체활동, 앉아서 하는 활동으로 나누어 신체적 활동 유형 별 참여 여부가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6년에 수행된 제7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에서 건강 설문조사에 응한 65세 이상 97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신체활동유형, 건강관련 삶의 질(EQ-5D), 우울지수(PHQ-9), 스트레스 인지수준, 수면시간 등의 관계성을 복합표본설계선형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 신체활동은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있어, 강도 높은 일이나 가사활동에 참여할 경우는 부정적인, 중강도 이상의 여가에 참여하는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앉아서 하는 활동의 시간이 많을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다른 연구 결과와는 다르게 노인들의 앉아서 하는 활동은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연구 결과, 우리나라 노인은 여가 관련 신체활동과 앉아서 하는 활동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긍정적이며, 일과 관련된 신체활동은 삶의 질을 낮추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국내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의 수준과 건강 관련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대상의 의미·목적있는 작업중심 활동 프로그램을 수립할 때 참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부 농촌지역 성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 한미아;류소연;박종;강명근;박종구;김기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3호
    • /
    • pp.173-180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to identify its related factors for a group of rural adul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1,901 adults who were aged 40-70 years and who were living in Naju City, Jeollanamd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 health status and global self-rated health were col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the Euroqol EQ-5D instrument. The differences on the EQ-5D index between the groups were assessed with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verall, the mean value of the EQ-5D index was $0.884{\pm}0.140$ and this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health-related behavior, the health status and the global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RQoL was significantly reduced for females, older subjects, and other subjects with no spouse and the subjects with osteoporosis, obesity, mental distress or poorer global self-rated health. Conclusions : The HRQoL for rural adults was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health status and the global self-rated heal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HRQoL would help to improve the rural adults' quality of life.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Stroke Survivors)

  • 양정빈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39-1261
    • /
    • 2010
  • 본 연구는 장기간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함으로써 대상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방안들을 제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지역 및 D 광역시 소재 노인(전문)병원 18곳과 요양시설 13곳에서 장기 입원(입소)하고 있는 55세 이상의 뇌졸중 생존 노인들이며 서베이 방법을 사용하여 직접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8년 12월 16일부터 2009년 1월 17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328부의 설문지가 통계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특히 건강관련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영역 중 사회적 관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투입된 독립변수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우울', '향후 경제적 부담감', '일상생활수행능력', '장애수용', '중복질환', '경제적 주부양자가 배우자인 경우'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재활 및 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질병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이 제일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뇌졸중 생존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을 고취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노인들의 보건행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Health Behavior)

  • 이동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5-10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보건행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2차년도(2017년) 원 자료 중 한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6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맞추어 SPSS/PC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신건강이고 다음이 신체활동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의료기관이나 보건소가 연계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및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보건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노인들의 정신건강과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구강건강증진과 구강질환치료가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EQ-5D와 HINT-8에 미치는 영향 :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Effect of oral health promotion and oral disease treatmen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s EQ-5D and HINT-8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유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1-62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s that promote oral health and those that treat oral diseases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 A total of 3,338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before applying oral health promotion (OHP; 1,132 persons) and oral disease treatment (ODT; 2,206 persons).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HP and OD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OHP and ODT on the quality of life, which are indicators of the quality of life, HINT-8 had a significant effect even in Model 2, adjusted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persons who promote or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NT-8, a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for Koreans. Therefore, continuous oral care is requir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말초동맥질환자의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 환자역할행위 이행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Sick Role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 이혜주;김윤경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3호
    • /
    • pp.314-32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sick role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67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Measurement tools wer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Sick role behavior measurement tools and SF-36 Version 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24.0. Results: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physic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age (β=-.19, p=.010), monthly income (β=.17, p=.027), uncertainty (β=-.29, p<.001), and exercise and rest (β=.28, p<.001) that all together accounted for 32.6% of the varianc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monthly income (β=.20, p=.015), drinking (β=.17, p=.040), uncertainty (β=-.24, p=.001), and exercise and rest in sick role behavior (β=.26, p=.003) that all together accounted for 18.2% of the variance. Social support was an insignificant factor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a strong support system, education, strategies for alcohol abstinence, and exercise and rest therapy.

청소년의 스트레스ㆍ어머니-자녀 의사소통과 삶의 질간의 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Adolescents)

  • 송미령;안혜영;김은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41-15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adolescent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71 adolescents who were going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data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stress,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stress of adolescent was 2.48(maximum score: 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at is sex, grade, father's being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that is health status, frequently ill, illness severity and illness of family. 2. The mean score for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was 3.27(maximum score : 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at is father's and mother's be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ny health related variables. 3. The mean score for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 was 3.97(maximum score : 7)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4.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There was a no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the implication for nursing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relief strategy of stress for the female adolescents.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moting program of quality of life for the adolescents considering the stress and the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 PDF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구지역 조사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 전은숙;안서영;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7
    • /
    • 2011
  • 이 연구는 일부 대도시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구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검사와 개별면접조사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건강상태, OHIP-14를 측정하였다. 최종 수합된 189명의 자료로 t-검정 및 분산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우식치아는 2.23개, 상실치아는 1.48개, 처치치아 5.58로 필리핀에서 온 여성이 기타 다른 나라에서 온 여성보다 상실치아수가 많았으며, 중국에서 온 여성이 충전영구치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가 많을수록 낮았다.3. 상실치아의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신적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영역에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우식경험영구치가 많을수록, 월 가구 수입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와, 월수입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다.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 및 우식치아가 많을수록 낮아 다문화가족 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