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functional foods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34초

Physiochemical Analysis, Antioxidant Effec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Quark Cheese Supplemented with Ginseng Extract

  • Kim, Kee-Tae;Hwang, Ji Eun;Eum, Su Jin;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24-331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the texture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upplemented quark cheese as a new cheese product intended to improve public health. After addition of less than 1.0% ginseng extract, the moisture content of quark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fat and protein levels increased, although microbial counts and lactose and ash contents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p<0.05). In terms of color, $L^*$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ginseng extract, while $a^*$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he results of texture profiling showed that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unaffected, wherea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he cheese fortified with 0%, 0.5%, or 1.0% of the ginseng extract were $4.22%{\pm}0.12%$, $20.14%{\pm}1.34%$, and $56.32%{\pm}1.5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ensory analysis indicated that bitterness, ginseng odor, and aftertast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ginseng extrac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quality attributes of quark cheese between the no-supplement control and samples with less than 0.5% of the ginseng extract (p>0.05), suggesting that these products could help to promote public health as functional foods.

몽골과 미얀마 식물 14종의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nd HepG2 Cells)

  • 김숙진;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0-142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tive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3T3-L1 and HepG2 cells.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PC and TFC) of 14 plant extracts were measured,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DPPH, ABTS, FRAP, and ORAC. After measuring the pancreatic lipase levels and performing the thiobarbituric acid assay, the degree of lipid accumulation was determined by lipid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ssay in 3T3-L1 and HepG2 cells. M. paniculate (259.43 mgGAE/g) and C. benghalensis (130.78 mgNAE/g) had the highest TPC and TFC, respectively, among the 14 plants. R. acicularis Lindl.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The ABTS, FRAP, and ORAC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 of C. angustifolium Scop. was reduced to 23.65% at 0.1 mg/mL, and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of C. abrorescens Lam. was 0.63 nmol/mg. Five selected plants inhibited the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content, respectively, in 3T3-L1 and HepG2 cells. These result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using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which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accumulation reduction effects.

전분 유래 저열량 식품소재의 개발과 산업적 이용 (Development and industrial application of low-calorie food ingredients derived from starches)

  • 정현정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4호
    • /
    • pp.358-374
    • /
    • 2019
  • 소비자들은 건강에 관한 관심이 계속 증가할 것이며 이에 저열량 식품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열량 식품소재의 개발에 있어 열량을 낮춘 소재의 기능성과 최종제품의 품질을 잘 유지할 수 있는 관능성이 중요하다. 이에 난소화성 전분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재이며 일반 식이섬유보다 다양한 제품에 품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난소화성 전분은 입자가 작고 색이 하얗고 특별한 냄새와 맛이 없기에 제빵, 파스타, 시리얼, 스낵 제품 등에 식이섬유 함량을 높이거나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저열량 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식후혈당 상승억제, 혈중 중성지방 개선, 배변 활동 원활하게 하는 기능성 원료이기에 음료, 건강보조식품, 일반 식품에서 저열량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저열량 식품에 소재로 활용될 것이다.

전신과민성 식품 알레르기 마우스 모델에서의 도두(刀豆) 추출물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anavaliae Semen(Canavalia gladiate) Extracts in a Systemic Anaphylaxis Food Allergy Mouse Model)

  • 양원경;박양춘;김한영;김근회;노성수;김승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19
  • Objective : An allergy to peanuts is a major cause of fatal food-induced anaphylaxis, with food allergie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health research issue. Food allergy as clinical entity has been recongnized for many years, although there is yet no general concord as to the incidence of this symptom.1) Method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erify the effect of seeds of Canavalia gladiata (Jacq.) DC. extract (CGE) on the inhibition of allergic reactions using a cholera toxin and peanut extract-immunized food allergy mouse model. We determine whether the changes in rectal temperature were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owing to heat production in the body. Mast cell distribution and degranulation in the dermis and epidermis were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Subsequently, Ara h1 levels in serum and interleukin (IL)-4, IL-10, and $IFN-{\gamma}$ levels in cultured supernatants of splenocytes were measured. Results : CGE treatment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secretion of the Ara h1 antibody in serum and splenocytes. Ara h 1 was undetected in the cholera toxin and peanut extract-immunized food allergy mouse model. Improvement in ear tissue inflammation symptoms was the CG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ntrol group and peanut extract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mast cells was higher, whereas that in the CG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nclusion : CGE causes suppression in a food allergy mouse model via the inhibition of Ara h1 secretion, and might be useful for developing functional health foods.

LPS로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에서 MAPK 조절에 의한 백미 물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ynanchi Atrati Radix Et Rhizoma Water Extracts via Regulation of MAPK in LPS-induced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 이상호;유지현;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9-28
    • /
    • 2022
  • Objectives : To develop natural ingredients that help prevent or treat anti-inflammatory-related diseases and use themas basic data,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ynanchi Atrati Radix Et Rhizoma water extracts(CWE) in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Methods : The cell viabilities were evaluated with RAW 264.7 cell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2(PGE2),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tumor necrotic factor(TNF)-α and interleukin(IL)-6 were assessed in LPS-induced RAW 264.7 cell treated with CWE. Furthermore,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COX-2),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In RAW 264.7 cell, the cell viability by CWE treatment was more than 98.4% at a concentration of 100-400 ㎍/mL. At a concentration of 800 ug/ml of CWE, the cell viability was as low as 86%. At doses of 100, 200 and 400 ㎍/mL, CWE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PGE2, TNF-𝛼 and IL-6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from LPS-induced RAW 264.7 cells. In addition, CW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APK pathway including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the p38, c-Jun N-terminal kinase(JNK)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1/2). Conclusions : Our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CWE inhibits the production of main pro-inflammatory molecules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via expression of p38, JNK, and ERK1/2 MAPK signaling pathways. Therefore, CWE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for anti-inflammatory functional foods or pharmaceuticals in the future.

대두와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 (Antioxidant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Chungkukjang (Fermented Soybean Paste))

  • 주은영;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30-937
    • /
    • 2011
  • 대두를 이용하여 천연보존료나 건강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백태와 태광으로 청국장을 제조하여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였다. 백태와 백태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89.25 mg/100g, 814.58 mg/100g 이었으며 태광과 태광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10.23 mg/100g, 834.23 mg/100g으로 대두 청국장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의 대두에 비하여 4~4.3배 증가하였다. 대두로 제조한 청국장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원료의 콩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와 대두 청국장의 물과 에탄올추출물은 모두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으며 백태 청국장의 물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두에 비하여 대두로 제조한 청국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청국장의 제조와 함께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청국장은 건강식품의 개발이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식의 섭취가 납중독 흰쥐의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rotective Effect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Lead Induced Toxicity in Rats)

  • 오영주;김재민;송시환;하효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59-967
    • /
    • 2005
  • 생식 제품이 납중독 흰쥐의 피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2mg의 납을 매일 1회 쥐에게 경구 투여하면서 생식제품이 $12.5\%,\;25\%,\;50\%$ 함유된 식이로 6주간 사육 후 체중 증가율 및 사료 효율, 혈액학적 검사, 간 조직의 과산화지질함량, SOD활성, GSH 함량과 간 및 신장 조직내 납 함량을 측정하였다. 체중 증가율과 사료 효율은 납 투여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생식의 급여는 체중과 식이효율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2.5\%$ 생식 섭취군에서는 식이 효율이 납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납에 의한 혈액학적 독성 증상으로 납 단독 투여군에서는 RBC를 제외한 HGB, HCT, MCV, MCH, RDW에서 유의적인 손상이 나타났으며(p<0.05), HCT의 경우 $50\%$ 생식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MCV, MCH, RDW의 경우 $25\%$$50\%$ 생식 급여 시 납에 의한 손상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HGB의 경우 생식 농도에 따른 수치 증가는 관찰되었지만 유의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납 투여로 간조직 의 과산화지 질 생성이 다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12.5\%$$50\%$ 생식 섭취군에서 과산화지질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타나났다(p<0.05). 그러나 납 투여에 따른 SOD활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생식은 SOD활성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납 단독 투여는 항산화 및 해독 작용 관련 물질인 GSH 수준을 유의적(p<0.05)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에 반해 생식의 섭취는 증가된 GSH의 함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생식은 간과 신장 조직에서의 납 축적을 억제시켜 간 조직의 경우 $25\%$$50\%$ 생식군에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었고, 신장 조직에서는 $25\%$ 생식군에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생식의 섭취는 납중독으로 발생되는 혈액학적 및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켜 주고, 조직에서의 납축적을 억제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나 생식은 납중독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켜줄 수 있는 해독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생식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 일환으로 동물실험 수준에서 평가된 연구로서 인체에 적용하기는 아직 무리가 있으며, 향후 용량 설정에 대한 연구 및 임상단계에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여겨지고, 이와 함께 후속 연구를 통한 생식의 납 해독 기전이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식이조절 영양교육이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diet control nutrition educa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atients who underwent cardiovascular disease surgery)

  • 정수진;채수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15-227
    • /
    • 2018
  •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으로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15명 대상에게서 12주 동안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을 통해 한식 섭취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CVD 위험인자 및 약물 투여량의 변화,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0.7{\pm}2.5$세로 최근 3년 이내에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고 지속적으로 심혈관질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였다. 2. 대상자의 한식 식이조절 교육 순응도 점수는 교육 전 $35.8{\pm}0.9$점에서 교육 후 $43.0{\pm}1.2$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p < 0.001), 이는 한식 섭취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음을 시사한다. 3. 대상자의 비만지표인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교육 후,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허리둘레 (p = 0.002) 및 허리 엉덩이둘레비인 WHR (p < 0.001)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대상자들의 혈당조절 지표인 HbA1c는 교육 전 $7.3{\pm}1.0%$에서 교육 후 $7.0{\pm}1.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5. 대상자들의 항고혈압제약물의 투여량 변화는 교육 전 2.1개에서 교육 후 1.7개로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혈압은 정상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항당뇨병 약제 복용량은 유의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안정된 상태로 적절한 혈당을 유지함과 동시에 혈당 조절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혈당조절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한식 식사유형인 음식군별 섭취량의 변화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동안에 전곡류로 지은 밥 중심의 식사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 = 0.018), 채소류인 나물류 (p = 0.007), 김치 (p < 0.001) 및 전통 콩발효 양념 (p < 0.001) 등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7.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는 일일 에너지 섭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교육 전보다 교육 동안에 동물성급원식품에서 유래한 동물성 단백질과 지질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 (p < 0.05)한 반면 나트륨 (p = 0.019), 칼륨 (p = 0.028), 식이섬유 (p < 0.050), 비타민 A (p = 0.028), 비타민 C (p = 0.010) 및 엽산 (p < 0.001)의 섭취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적극적인 한식 섭취를 권장하고 장려하는 식이조절교육 중재는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영양소 섭취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인 비만지표, 혈당조절 지표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교육에 참여한 대상자가 15명으로 다소 적었으며 단기 교육에 의한 전후 비교 평가에 의한 것으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장기간의 교육과 대조군이 있는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한국여대생의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조사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정수진;채수완;손희숙;김숙배;노정옥;백상호;강명희;김건희;김미현;김현숙;박은주;허영란;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5호
    • /
    • pp.428-44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거생활, 식습관 및 식이섭취실태 등을 조사하여 변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를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인구비례에 근거한 전국 5개지역 소재 (서울/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6세로 로마기준 II에 의한 변비실태 조사는 정상배변군과 변비군 각각 714명 (73.0%)과 264명 (27.0%)로 나타나 변비유병률은 27.0%로 나타났다. 2) 변비군에서 체중 (p < 0.05)과 체질량지수 (p < 0.05)는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변비발생 (p < 0.01)과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가 높았다. 3) 변비군의 경우 기능성대장질환 (p < 0.001)과 과민성대장질환 (p < 0.001), 치질 (p < 0.01)발생률과 대변모양이 비정상적 (p < 0.05)비율이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나 배변상태와 변비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쓰림증과 상복부 통증증상은 정상배변군에서 변비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배변상태에 이상이 있고 변비가 있을 때 월경불편감을 느끼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5) 의류 (속옷류) 착용 시 인체에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은 정상배변군보다 변비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의류착용시 편안함이 높을수록 변비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질환 (p < 0.01) 및 월경불편감 (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조사대상자의 평상시 식사의 규칙성 조사결과 변비군에서 아침식사가 불규칙적인 경우는 30.3% (p < 0.05), 점심식사와 저녁식사의 불규칙적인 경우는 각각 33.3% (p < 0.05)와 30.8% (p < 0.05)로 나타나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를 할수록 변비증세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월경불편감 (p < 0.01), 음주률 (p < 0.01) 및 외식률 (p < 0.05)이 낮았다. 7) 식품군다양성점수 (DDS)는 정상배변군에서 4.22점인 반면 변비군에서는 4.12점보다 더 높게 나타나 (p < 0.05) 변비군의 경우 식사의 다양성이 낮았다. 8) 조사대상자의 주생활 요인 인자와 변비여부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9) 변비상태와 건강관련 항목과의 관련성을 조사결과 변비가 있을수록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증후군 (p < 0.01) 및 월경불편감(p < 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변비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생활습관의 정정과 함께 규칙적인 하루 3끼 식습관유지가 중요하고 식품 선택 시 다양하게 골고루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 착용 시 편안한 옷차림을 유지하고 속옷착용 시에도 편안하고 쾌적함을 유지를 통해 신체증후에 나타는 증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변비 개선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가임기 성인여성 변비 예방을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 및 개선 할 수 있는 실생활 교육지침과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속방형 및 용출조절형 비타민 C 정제의 용출 특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f Dissolution Properties of Immediate-release and Controlled-release Type Vitamin C Tablets)

  • 양효진;류나희;양주홍;홍선호;이연경;조양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4-12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체내에서 비타민 C의 지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성분의 용출을 조절하는 기술이 적용된 용출조절형 비타민 C 제품과 일반적인 속방형 비타민 C 제품의 비교용출 실험을 진행하여, 일반적인 속방형 제품과 용출조절형 제품 간의 용출 양태를 비교분석 하였다. 비타민 C 정제들의 용출률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약전(제2020-88호)', '경구용의약품의 용출규격 설정 가이드라인'의 용출시험법,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제2020-63호)'에 근거한 HPLC 함량시험을 수행하여 시간별 용출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속방형 비타민 C 제품은 45분 이후 100% 용출이 이루어진 반면 용출조절형 비타민 C 제품은 480분(8시간) 이후에 100% 용출이 나타났으며, 용출조절형 비타민 C 제품의 60분에서의 용출률이 속방형 비타민 C 제품에 비해 더 느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타민 C를 주성분으로 한 용출조절형 정제의 개발 및 용출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