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information behavior

검색결과 1,043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 (The Related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rimary School Students)

  • 한창현;김귀영;김동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5-171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ll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re practi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factors relating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questionnaires with 1,215 students attending at a 6th grade, 16 primary schools which arranged the school health teachers in Kyoungpook, Chilkok Gun from the 21th through 22th of December 2004. Among them, 1,189 were included in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ccording to the data from multiple regression of analysis which ha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as a subordinate variable, in male students' case the degre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ir parents' interest in health, to their perceived self efficacy, and in case of the barriers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As to the female students, their health behavior practice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ir parents' interest in health. It also becomes high in proportion to the perceived health statu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in personality, the perceived self efficacy and the perceived benefit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But in case of the barriers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it was the same as the male students' case. Conclusions: As the results of study, it showed that the knowledge to importance of health, the self efficacy, the knowledge of benefi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health concern to the children of the parents were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So, through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we induced to desirable direction for the changeable factors of actions to health promotion for the health, and through the connective guidelines between the School and the Home, we have to adapt to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the young boys and girls.

Critical Factors Affecting Consumer Acceptance of Online Health Communication: An Application of Service Quality Models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4권3호
    • /
    • pp.85-94
    • /
    • 2017
  • The paper examines critical factors affecting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accepting online health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Unlike recent research under this topic, the paper assimilates some components of service quality dimensions and consumer behavior theories. The paper employ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from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study identifies three major constructs: consumer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the perceived value of 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and the perceived value of in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 needs for health information a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antecedents of accepting online health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ccess of online health communication via social networking sites largely depends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Behavior of Older Adults with Diabetes)

  • 김정아;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7-223
    • /
    • 2016
  •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정보행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관련요인을 도출하고 측정도구를 설계하여, B병원에서 치료 중인 60세 이상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접조사를 수행하였다(N=543). 질환에 대한 인식, 건강정보이해능력, 정보요구, 정보추구, 정보이용, 정보원 이용 애로사항, 선호 정보서비스, 개인적 배경에 대한 기본통계량과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가설검증을 통하여 영향요인을 구명하였다. 노인 당뇨병 환자들은 질환에 대한 인식과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낮으며, 질환에 대한 인식은 정보요구도, 정보이용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정보이용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교육경험과 유병기간에 따라 정보요구도와 정보이용도에 차이가 있고, 정보환경, 성별, 나이, 학력에 따라 정보이용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환인식 캠페인 전개, 정보지원시설 홍보활동, 집단별 정보제공과 서비스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건강정보검증에 대한 노인과 비노인 집단 비교: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Study on Health Information Verification Behavior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 Health Empowerment)

  • 안순태;임유진;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41권3호
    • /
    • pp.309-325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과 비노인에 있어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에 따른 건강정보검증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집단과 65세 미만 비노인 집단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 고저에 따른 집단의 특성과 건강정보검증 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디지털리터러시-건강임파워먼트 저-저 집단과 저-고 집단에서 노인 집단이 많이 나타났으며, 고-저 집단과 고-고 집단에서는 비노인 집단이 많이 나타났다. 특히 노인 집단은 저-고 집단에 속한 빈도가 높게 나타나 디지털 건강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은 낮고 자신감은 높은 경우가 많은 반면, 비노인 집단은 고-저 집단에 속한 빈도가 높게 나타나 건강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은 높지만 자신감이 낮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집단에서는 건강정보검증행동에 미치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의 상호작용이 검증되었으며, 비노인 집단에서는 건강임파워먼트의 주효과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집단은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의 균형있는 개선이 필요한 반면, 비노인 집단은 건강임파워먼트를 통한 건강 정보 활용 능력에 대한 자신감의 개선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일부 노인의 교육 및 소득정도가 구강건강상태 및 관리행태와 치과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s of Some Elderly on Oral Health Status and Management Behavior and Dental Use Behavior)

  • 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91-200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들의 교육과 소득정도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및 관리행태와 치과이용행태를 파악하여, 노인구강건강 증진에 대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조사는 2019년 8월 19일부터 2019년 10월 25일까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chi-square test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상태 및 관리행태는 틀니사용, 임플란트사용, 구강위생용품사용, 구강보건교육경험, 구강건강관리방법에서 교육과 소득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과이용행태도 교육과 소득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교육 정도, 임플란트사용 여부, 치과이용의 주된 이유가 치과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교육 및 소득정도를 고려한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 노인들의 구강건강의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 근로자의 의도된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n Workers' Intended Behavior)

  • 조춘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19-531
    • /
    • 2023
  • 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을 목표로 건설 현장의 불안전한 행동이라는 고질적 어려움과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서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의도된 안전한 행동을 만들고, 이러한 행동 변화로 산업재해 감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목적: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 불안전한 행동으로 발생하는 사고와 근본 원인인 근로자 행동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 활동은 근로자의 안전 경험치가 향상되고, 불안전한 행동을 의도된 안전한 행동으로 변화되며, 작업중에 나타나는 불안전 행동이 줄어들므로 안전사고 예방과 근로자 생명 보호에 도움이 된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연구방법: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을 독립변수(X)로 선정하였고, 근로자 행동 의도인 의도된 안전과 불안전을 종속변수(Y), 태도와 주관적 규범, 계획된 행동 통제를 매개변수(M)로 정하였다.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도 분석은 안전보건활동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판별타당도분석, 집중타당도를 분석했으며, 행동 변화의 가설검증을 위해서 주요 변수의 경로분석과 근로자 행동 변화의 실증분석으로는 베이지안모델 분석과 MC시뮬레이션의 확률밀도 분포를 통해 연구를 검증했다. 연구결과:건설 현장의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을 경험한 근로자는 불안전한 행동이 줄고, 의도된 안전 행동을 한다는 분석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근로자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연구가설이 입증되었고, 연구분석의 구조방정식과 경로분석에서 변수간의 상관관계 확인, 실증분석을 통해 스마트 안전보건활동이 근로자 불안전한 행동을 통제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건설 현장에서 사고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안전 보건활동이 매우 중요한 항목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거주 해외유학생의 건강정보추구행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윤정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31-250
    • /
    • 2021
  •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들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학생들의 건강정보탐색행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정보탐색행위를 설문지와 결정적사건기법을 이용한 면담을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최근 경험한 건강정보 요구 중에는 코로나와 관련된 정보요구(코로나 검사, 증상, 백신)와 병원을 찾는 요구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건강정보탐색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언어의 문제가 가장 많았고, 한국 의료시스템에 대한 이해의 부족, 인터넷상의 정보 불충분 또는 정보과잉 등도 보고되었다. 언어의 장벽에도 불구하고, 유학생들은 한국어 정보원(친구/가족, 웹사이트, 소셜미디어)을 주요 건강정보원으로 사용하였다. 유학생들은 구글번역기를 사용하거나, 이중언어가 가능한 친구/가족의 도움을 받아 한국어 정보원을 통해 건강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체류기간이 짧거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 소셜네트워크 상의 커뮤니티를 통해 건강정보를 얻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한국 체류기간이 길고 한국어 능력이 좋을수록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건강정보를 찾는데 있어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지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참가자의 28%만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유학생들의 건강정보추구행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학생들이 필요한 건강정보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 허성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68-176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웰빙식생활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웰빙지향 소비자행동 -기혼여성 소비자의 구매, 사용, 처분행동을 중심으로 (Consumer consciousness toward well-being and well-being oriented consumer behaviors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Focused on purchasing, using, and disposal behavior of married women-)

  • 전향란;제미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957-96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sub-factors of consumer consciousness toward well-being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well-being oriented consumer behaviors in the area of dietary life of married women. 579 married women were surveyed by internet portal site azoomma.com.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Windows 12.0 program and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 1. Consumer consciousness toward well-being has four sub-factors; pro-environmental attitude, personal and family health, means of business, and consciousness regarding others. 2.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cerns of information, price level, consciousness of personal and family health, health status, educational level explained the purchasing behavior about 25.7%. On the other hand, health status, pro-environmental attitude, consciousness of personal and family health, consciousness regarding others, and concerns of information explanined the using behaviors about 17.0%. Pro-environmental attitude, health status, consciousness of personal and family health, consciousness regarding others, and status of employment were effective variables, and explained the disposal behavior about 19.5%.

Exploring Antecedents of Consumers' Willingness to Depend on E-Health Information

  • Oh, Su-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1호
    • /
    • pp.61-68
    • /
    • 2012
  • Previous research on online health (e-health) information was primarily focused on consume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information quality. Although studies addressing online information quality have flourished, they have yet to thoroughly examine whether consumers actually use the information they search. The purspose of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 framework that examines the potential antecedents of a consumers' willingness to depend on e-health information as an indicator of the consumer's trust of the provided e-health information. The proposed antecedents include healthcare product involvement, online skill level, perceived quality, and credibility of the sour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online survey data, seven hypotheses, which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odel, were tes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 willingness to depend on provided e-health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onsumers' perceived quality and credibility of specific e-health information. Consumer involvement in healthcare and their online skill-level, respectively, also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quality and credibility regarding e-health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