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rice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3초

현미 저온저장이 쌀과 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Temperature Storage of Brown Rice on Rice and Cooked Rice Quality)

  • 최윤희;김선림;정응기;송진;김정태;김재현;이춘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79-186
    • /
    • 2008
  • 현미저장 중 저장온도에 따른 쌀과 밥의 품질변화를 구명하고자 추청벼 등 14품종의 현미를 $15^{\circ}C$$35^{\circ}C$에 10주간 저장 후 현미 및 백미, 밥의 품질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1. $15^{\circ}C$저장이 $35^{\circ}C$에 비하여 현미의 Tz값이 높아 배아 활성 정도가 높았으며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이 높아 $15^{\circ}C$ 저장 쌀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2. $35^{\circ}C$에 비하여 $15^{\circ}C$에 저장한 현미에서 쌀밥의 윤기치는 높았으나, 밥 색도 b 값, 밥 경도, 호화점도(최종점도, 강하점도)가 낮아 밥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3. 밥 색도 b값은 조생종이 중.만생종에 비하여 높았고, 밥 경도는 조생종이 낮았으며, 저장 현미의 도정 후 백미 완전미율은 $15^{\circ}C$에서 78%, $35^{\circ}C$에서 70%이었으며 $35^{\circ}C$에서 화성벼, 추청벼, 남평벼는 82%이상을 나타냈다. 4. $15^{\circ}C$ 저장에서 밥 색도 b값은 pH와 $-0.693^{**}$, 윤기치와 $-0.823^{**}$, L값과 $-0.772^{**}$, 지방산도와 $-0.548^*$, 백미 완전미율과 $-0.576*$, L값과 $-0.772^{**}$, a값과 $0.557*$ 의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백미 완전미율은 밥색도 L값과 $0.638*$, 밥색도 b값과 $-0.576*$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Monitoring of Rice Quality for Jeonju Bibimbab

  • Lee, Song-I;Lee, Deok-Ryeol;Cho, Seung-Hyun;Kim, Kab-Cheol;So, Soon-Young;Lee, Ki-K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70-370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 and the demand for Jeonju-bibimbab rice and to suggest the suitable range of bibimbab rice. We conducted a survey on varieties and rice quality of Jeonju bibimbab restaurants from April to August 2016. In a survey of 12 bibimbab restaurants in Jeonju, the restaurants showed that 83% of the 10 restaurants were using shindongjin rice variety. Characteristics of rice suitable for bibimbab were showed low stickiness, high hardness, so it should keep the shape of rice when cooked and mixed with the ingredients. and people tend to prefer a large grain of rice. Also, the rice used in bibimbab restaurants were examined the average percentages of head rice ratio 89%, protein content 6% and moisture content 14.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rice, which is suitable for bibimbab, is similar to the range of common rice. Thousand grain weight over 24g is especially preferred. In conclusion, the quality and grain size of rice preferred for bibimbab rice was the level of Shindongjin.

  • PDF

Changes of anthocyanidin, growth characteristics and brown rice yield of red colored rices at two region of eastern coast in Gyeongbuk province

  • Kim, Sang Kuk;Shin, Jong Hee;Kim, Se J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30-330
    • /
    • 2017
  • The tallest culm length was observed in Geonganghongmi cultivar grown in coast area, and culm length was always taller in coast area than that of inland area among these three red rice cultivars. However, number of tiller per rice plant was not affected by different cultural area.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as much more increased in inland area. Regional difference in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as only observed in Jeongjinju cultivar. Among these red rice cultivars, the highest brown rice yield was Jeongjinju rice cultivar having 702kg in inland area and 692kg in coast area, respectively. The $L^*$ values, which expresses the brightness, were in the range of 36.3 ~ 36.7, 36.7 ~ 37.0, and 38.7 ~ 39.6 in Jeogjinju, Hongjinju, Geonganghongmi rice cultivars, respectively. The $a^*$ values, which expresses the redness positively and greenness negatively were in the range of 12.3 ~ 12.8, 12.2 ~ 12.3, and 12.1 ~ 11.9 in Jeogjinju, Hongjinju, Geonganghongmi rice cultiva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 values, which expresses the yellowness positively and blueness negatively were in the range of 13.8 ~ 14.0, 13.6 ~ 13.5, and 14.9 ~ 14.7 in Jeogjinju, Hongjinju, Geonganghongmi rice cultivars, respectively. Anthocyanidin content ranged 524 to $610{\mu}g/g$ dry weight basis. Cyanidin content was 11.4 to 14.0 times higher than that of delphinidin under coast and inland area. Among these rice cultivars, anthocyanidin content was always higher in rice cultivar grown at coast area. Highest head brown rice rate was only observed in Geonganghongmi to 95.2 at coast area and 95.4 inland area, respectively. Protein content was always higher in coast area than that of inland area. The lowest protein content was measured in Jeogjinju and amylose content was relatively increased in inland area compared to that of coast area. Consequently, in considered with brown rice yield and pigment content, Hongjinju rice cultivar was recommended in optimal pigment rice cultivar in eastern coas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 PDF

Effect of Variety and Stage of Maturity on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Rice, Yield, Botanical Fractions, Silage Ferment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 Islam, M.R.;Ishida, M.;Ando, S.;Nishida, T.;Yoshida, N.;Arakaw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83-192
    • /
    • 2004
  • The effect of eight varieties of grain and forage type whole crop rice (Oryza sativa L Japonica) each harvested at four stages of maturity were investigated for morphology and yield, proportion of botanical fractions, fermentat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in an $8{\times}4$ factorial experiment. All crops were sown in 1997 at Saitama Prefecture, Japan under identical condition and harvested on 10, 22, 34 and 45 days after flowering in 1998. Total DM yield of forage type varieties was similar to that of the highest yield of grain type varieties. However, while yield of forage type varieties was attributed to higher proportion of straw than head, the reverse was in the case of grain type varieties. Yield in line with the proportion of head increased (p<0.001), but in contrast proportion of straw decreased (p<0.001) with the increase in maturity. Silage fermentability of grain type varieties was better than forage type varieties. Fermentability improved with the increase (p<0.001) in maturity suggesting that the moisture content should be reduced to improve fermentation quality. Forage type varieties contained higher (p<0.001) ash, crude fat (EE), organic cell wall (OCW)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but contained lower crude protein (CP), organic cell content (OCC), CP in OCC and nitrogen-free cell wall extract (NCWFE) than the grain type varieties. The ash, CP, EE, Oa (60% digestible OCW), Ob (40% digestible OCW), OCW, ADF and acid detergent lignin (ADL) decreased (p<0.001), but OCC and NCWFE increased (p<0.001) with the increase in maturity. It is concluded that stage of maturity not only increases yield and proportion of head, but also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increases quality chemical composition (except CP) of whole crop rice. Forage type varieties may be as good as grain type varieties in terms of yield, but fermentati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may not be as good as that of grain type varieties.

Effect of bamboo grass (Tiliacora triandra, Diels) pellet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production in Thai native beef cattle

  • Wann, Chinda;Wanapat, Metha;Mapato, Chaowarit;Ampapon, Thiwakorn;Huang, Bi-z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호
    • /
    • pp.1153-1160
    • /
    • 2019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mboo grass (Tiliacora triandra, Diels) pellet (Bamboo-Cass) supplementation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microbial population and methane production in Thai native beef cattle. Methods: Four Thai native beef cattle bulls ($190{\pm}2kg$) were randomly allotted to four respective dietary treatments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reatments were the varying levels of Bamboo-Cass supplementation at 0, 50, 100, and 150 g/head/d, respectively. Rice straw was fed ad libitum and the concentrate offered at 0.5% of body weight. Results: Under this experim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acetate and butyrate production were decreased (p<0.05), propionate increased (p<0.05), whilst ruminal $NH_3-N$ concentration was decreased (p<0.05) by supplementation of Bamboo-Cass at 150 g/head/d. Moreover, rice straw intake, and microbial population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while methane production was decreased (p<0.05).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Bamboo-Cass at 150 g/head/d significantly enhanced feed intake, decreased protozoa and increased bacterial population, rumen fermentation efficiency while decreased methane production. Therefore, Bamboo-Cass as a supplement is promising as a rumen enhancer in beef cattle fed on rice straw.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남정권;박홍규;정진일;김상수;박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46-50
    • /
    • 2005
  •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3년과 2004년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았으며 현미천립중도 가벼웠다. 2. 백미의 완전립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아밀로스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가 질소 12/10a수준까지, 화성벼와 남평벼는 11/10a 수준까지는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및 미질 등을 고려한 10a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11\~12$으로 판단된다.

간척지 고품질 품종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구명 (Proper Transplanting Time for Considering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Gyehwado)

  • 김영두;백만기;이준희;고종철;최민규;박홍규;최원영;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39-345
    • /
    • 2009
  •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운광벼, 고품벼, 삼광벼, 신동진벼, 청호벼, 호평벼를 공시하여 이앙시기별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5월 20일 이앙에서 가장 적고 그 이후 이앙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 중만생인 호평벼는 등숙비율이 5월 20일 이앙에서 높았으나, 기타 품종들은 6월 1일 이후 이앙에서 높았다. 3. 완전미 비율은 이앙시기간에 일반적으로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함량은 운광벼 및 삼광벼는 조기 이앙에서, 고품벼, 신동진벼 및 청호벼는 만기 이앙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호평벼는 이앙기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완전미 수량은 운광벼, 신동진벼, 호평벼는 6월 10일과 6월 20일 이앙에서 높고 삼광벼 및 청호벼는 6월 1일과 6월 20일 이앙에서 높았다. 5. 따라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중만생종인 삼광벼, 청호벼, 호평벼는 6월 1일, 조생종인 운광벼와 중만생종인 신동진벼은 6월 10일로 판단된다.

클린라이스 제조방식에 따른 백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lean rice with the processing system)

  • 김의웅;김훈;이효재;안재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22-529
    • /
    • 2016
  • 클린라이스의 제조방식에 따른 품질 특성을 제시 및 비교하기 위하여 건식, 반건식, 가수정미방식으로 각각 제조하여 품질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건식 제조방식에서 도정도를 변화시키며 백도에 따른 CBB index, 탁도, 건고물량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건식 방식에서 백도가 증가할수록 호분층이 완전히 제거되어 CBB index와 탁도는 감소하였고 우수한 클린라이스 품질을 나타내었으나, 높은 백도는 과도한 중량 감소로 수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백도 42 이하로 도정할 필요가 있다. 건식, 반건식, 가수정미방식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 건식, 반건식에서는 백도 39, 40, 41, 42 수준으로 가공하였고, 가수정미방식은 건식에서 제조된 시료를 사용하여 수세 및 건조하였으며, 백도에 따른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정이 진행될수록 곡물온도가 상승하고, 강도가 저하하여 싸라기 발생량이 증가하는데, 도정, 수세와 건조의 여러 과정을 거치는 가수정미방식이 싸라기 발생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건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국내 탁도 품질기준안 16.0 NTU를 클린라이스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건식과 반건식에서는 백도 42에서 만족하였으며, 가수정미방식에서는 39~42 범위의 모든 백도에서 만족하였다. 백도 16.0 NTU를 만족하는 각 제조방식의 백도에서 완전미수율을 비교하였을 때, 백도 40의 가수정미방식에서 완전미수율은 백도 42의 건식 방식보다 1.4% 높게 나타났으며, 백도 39의 가수정미방식에서 완전미수율은 백도 42의 건식 방식보다 3.0%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수정미방식은 저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높은 저장성이 요구될 경우 반건식 방식이 유리하며, 백도 39~42에서 건식보다 평균 2.2% 높은 완전미수율을 나타냈다.

벼 품종별 입형분리기 최적 가동조건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Indented-Cylinder Length Grader to Remove Broken Rice based on Varietal Characteristics)

  • 이춘기;송진;윤종탁;서종호;이재은;김정태;정건호;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6-374
    • /
    • 2009
  • 벼 품종특성을 고려한 입형분리 최적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입형 특성을 갖는 41품종의 쌀을 입형분리의 체눈 직경 3.5, 3.8 및 4.2 mm, 싸라기 수거함의 각도 5, 15, $30^{\circ}$ 조건에서 싸라기 분리능을 비교시험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라기 제거율은 기기적 측면에서 체눈의 직경과 깊이 및 싸라기 수거함의 각도, 품종적 측면에서 쌀알의 폭, 길이 및 천립중에 의해 주 영향을 받았다. 2. 싸라기 수거함의 각도는 지면과의 수평한 입형분리체 원통직경을 0도로 할 때 +5도와 +15사이에서 분리능이 좋았으며, +5도 이하에서는 완전미손실율 증가하고 각도가 높아질수록 완전미 손실율은 감소하나 분리된 싸라기 량도 감소되었다. 3. 기존 벼 품종에서 쌀알 기준으로 폭과 길이가 각각 2.9와 5.2 mm이상이고, 천립중이 22g 이상일 경우 4.2 mm이상, 폭이 작고 소립인 경우 3.8 mm, 그 밖의 중소립종은 3.8~4.2 mm의 체눈 직경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립장이 작고, 립폭은 상대적으로 크면서 두께가 얇은 품종은 그렇지 않은 품종보다 싸라기 분리능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에 따라 입형분리기 체눈의 직경은 크고 깊이는 얕은 체 눈 규격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5. 싸라기 비율이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다소 완전미율의 소실이 있더라도 권장 체눈 크기보다 큰 쪽을 택하는 것이 싸라기 제거량을 높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