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factor analysi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AHP 기법을 활용한 위험물 수송의 최적경로산정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Select the Optimal Route for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 손유진;배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7-77
    • /
    • 2010
  • 석유화학산업의 성장으로 석유화학물의 수송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위험물 사고건수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위험물 사고의 70% 이상이 수송 중 발생하며, 경로선택과정에서 수송경로의 선택에 따라 피해규모를 줄일 수 있지만 위험물 수송경로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적정 위험물 수송경로의 선정을 통해 사고 발생시 피해규모를 최소화 하는데 있다. 이에 계층분석법(AHP)을 통하여 도출된 가중치를 위험도에 적용하여 최소 위험도 경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중치 적용 경로의 경우 최단경로에 비해 인구위험도는 33.4%인 0.608, 환경위험도는 21.8% 감소한 0.168, 사회위험도는 1521.7%인 0.35가 감소하였다. 가중치 미적용 노선과 가중치 적용 노선을 비교하면, 가중치 적용 노선의 인구위험도는 2.6%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가중치의 적용으로 위험도를 감소시키면서 인구피해규모를 최소화 하는 최적경로를 도출할 수 있었다.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 및 부화특성 (Natural Background and Enrichment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ediments from the Hamyang-Sancheong Area)

  • 박영석;박대우;김종균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3호
    • /
    • pp.195-206
    • /
    • 2009
  •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와 부화특성을 알아보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였다. 오염의 우려가 없고,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하상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였다. XRF, ICP-AES와 NAA 분석을 이용하여 주성분원소와 유해원소 함량을 얻었다. 산분해법은 1차로 $HClO_4$와 HF를 혼합하여 $200^{\circ}C$에서 분해시킨 후, 2차로 $HClO_4$, HF 및 HCl를 혼합한 후 $200^{\circ}C$에서 분해시켜 이를 1% $HNO_3$용액으로 만들었다. 상관분석에서 하상퇴적물의 $SiO_2$ 함량이 증가할수록 Cu와 Co의 함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함양-산청내 환경유해원소 대부분 부화지수 2 이하로 부화되어 있었으며, 함양지역 하상퇴적물은 Pb>Th>Cr>V>Co>Cu순으로, 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은 Pb>Th>Cr>Co>V>Cu순으로 부화되어 있었다. Pb, Cr, Co 및 V의 부화지수는 함양지역과 산청지역에서 거의 비슷한 부화특성을 보였으나, Th의 부화지수는 함양지역 지역에서, Cu의 부화지수는 산청지역에서 높은 부화특성을 보였다. Pb의 부화지수는 각각 2.24(함양), 2.57(산청) 이상으로 부화되어 있었지만, 토양 및 환경오염 허용 한계치(tolerable level)를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에서는 오염에 특별히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고등학생용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 선별질문지(AMPQ)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dolescent Mental Problem Questionnaire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김수진;이정숙;권영란;오미라;김보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00-708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dolescent Mental Problem Questionnaire (AMPQ)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AMPQ was designed to assess adolescents', mental health status and problem behavior (Ahn, 2006).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fitness of the modified model for validity. Also,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d alternative-form method for reliability were used. AMPQ was tested with a sample of 36,313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8,701 males and 17,612 females. Results: Seven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Psychiatric problems', 'Delinquency', 'Academic troubles', 'Family problems', 'Hazardous behavior', 'Harmful circumstance', 'Eating problems'. These factors explained 51.1% of the total variance. The fitness of the modified model was good ($X^2$=38,413.76, Goodness of Fit Index [GFI]=.94,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AGFI]=.93, Comparative Fit Index [CFI]=.95,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5), and concurrent validity with Korea-Youth Self-Report [K-YSR] was .63.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31 items was .85. Conclusi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modified AMPQ instrument may be useful for efficiently assessing mental health status and problem behavior in late adolescent, high school students.

부산광역시 사상공단지역의 지하수 및 토양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Groundwater and Soil in Sasang Industrial Area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전항탁;함세영;정재열;류상민;장성;이정환;이수형
    • 지질공학
    • /
    • 제19권3호
    • /
    • pp.295-306
    • /
    • 2009
  • 본 연구는 지하수, 토양, 대기의 노출경로에 따라서 부산광역시 사상공단의 지하수와 토양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토양과 대기의 노출경로에 따른 발암 위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하수에서는 TCE와 PCE의 발암 위해성이 각각의 기준 한계값인 1.0E-6과 1.0E-5에 대해서 각각 6.7E-6과 1.0E-5로 나타나 발암 위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기에서는 비발암성 위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의 위해계수와 위해지수는 각각 3.4E-5와 5E-5로서 기준 한계값(1.0)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지하수의 위해계수와 위해지수는 각각 0.7 (위해성이 없음)과 1.4(위해성이 있음)로 나타났다. TCE의 최소성분감소비(CRF)는 2.5로서 TCE의 정화작업이 요구된다. 18개의 노출인자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8개의 노출 인자(비 발암 물질에 대한 평균 수명, 발암 물질에 대한 평균 수명, 체중, 노출기간, 노출빈도, 피부노출빈도, 토양 섭취율, 물 섭취율)의 변화에 따라서 위해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춧가루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Red Pepper Powder)

  • 박성빈;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02-2608
    • /
    • 2015
  • 본 연구는 고춧가루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적용에 필요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4년 1월 10일~2014년 6월 13일까지 충주시 동량면 소재에 있는 용금농산에서 수행하였다. 고춧가루 제품의 모든 공정 단계들을 파악하여 공정흐름도를 작성하였고 미생물학적 위해를 제어할 수 있는 자외선살균공정에서 살균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자외선 등 $20W{\times}12EA$, 살균 시간은 $63{\pm}3$초를 한계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자외선살균 후에는 위해 미생물 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 검사 결과 주기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 Comparative Study of the Methods to Assess Occupational Noise Exposures of Fish Harvesters

  • Burella, Giorgio;Moro, Lorenz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2호
    • /
    • pp.230-237
    • /
    • 2021
  • Background: Noise-induced hearing loss is a well-known occupational disease that affects many fish harvesters from many fisheries worldwide, whose risk factor is prolonged exposure to hazardous noise levels. To date,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and regulatory bodies have not provided any comparative analysis among the existing methods to assess noise exposure levels of fish harvesters. This paper provides a comparison of four relevant assessment methods of noise exposure, examining the results of a measurement campaign performed onboard small fishing vessels from Newfoundland and Labrador. Methods: We traveled onboard 11 vessels engaged in multiple fisheries from Newfoundland and Labrador and performed extensive noise exposure surveys using the simplified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ethod, the full-day measurement method, and the two methods provided by ISO 9612:2009, the task-based method and job-based method (JB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ur methods yield similar values when the noise components are dominated by the engine and auxiliaries (steady-state sources); when noise components are dominated by the fishing gear, task-based method and the simplified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ethod estimates are less accurate than JBM, using full-day measurements as baseline. Conclusion: The JBM better assesses noise exposure in small-scale fisheries, where noise exposure has significant variance and uncertainties on the exposure levels are higher.

떡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The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Korea Rice-cake)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92-5799
    • /
    • 2013
  • 본 연구는 떡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떡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2년 9월 12일~201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서계동 소재에 있는 K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떡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 농산물(맵쌀, 찹쌀, 팥 등),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세척, 불림, 분쇄, 체선별, 혼합, 시루작업, 증자,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와 제품의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대구·경북지역 학교주변 식품판매업자의 불량식품관리 (Adulterated Food Management amongst Food Sellers Near the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 김윤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62-772
    • /
    • 2016
  • Purpose: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growth and development; hence, knowledge about good food habits is essential amongst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awareness among food sellers, which could probably influence children's health and perceptions on food around schools towards adulterated food management beliefs, competencies, and food safety practic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95 dealers around 2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July and August, 201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x^2$-tes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by SPSS Statistics (ver. 23.0). Results: A total of 121 people (62.1%) reported satisfa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adulterated food. The perception of hazardous substances was found to be related to food poisoning bacteria and viruses (65.6%), heavy metals (42.1%), environmental hormones (36.4%), residual pesticides (27.2%), and irradiated food (26.7%). The perceived score on hygiene practices for processed food seller was $4.04{\pm}0.56/5.00$ and for cooked food seller was $4.09{\pm}0.45$. The capacity of adulterated food management practice of food sell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ood knowledge on adulteration and public relation capacity, necessity of adulterated food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hygiene practices (p<0.01). Similarly, knowledge and public relation capac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s (p<0.01).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adulterated food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s (p<0.05), and the evaluation of hygiene practic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p<0.01).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dulterated food, which is one of the four social evils, an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children to solve social problems, various practices like campaign on health promotion, goof food habits, education, and adulterated food management, should be actively promoted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food sellers around the schools.

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행동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tress Coping Behavior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Workers)

  • 정진욱;허경화;김기웅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8-57
    • /
    • 2007
  • Purpose: To develop the stress coping behavior measurement scale(SCBMS) for the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s: Developing of SCBMS was based o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status. Job stress and psycho-social health status were estimated by using the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d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28),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or subjects were estima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sult: The subjects were 456 male workers who had never been occupationally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 and other materials, was mean age 31.27 years and mean work duration was 4.81 year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developed stress coping questionnaire, four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inactive, active, health and emotional behavior from 15 question items of stress coping questionnaire. Fifteen items passed for item internal consistency (100% success rate) and item discriminant validity (100% success rat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each factor ranged from 0.56 to 0.77. The active behavior correlated positively with job demand of JCQ (r=0.12, p<0.05), but total GHQ-28 was negatively correlation (r=-0.24,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BMS. Thus, the results may prove to be a useful assessment tool in evaluating stress coping behavior.

  • PDF

유탕면류의 유탕공정 중 중요관리점(CCP)을 위한 미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분석 (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Factor Analysis for CCP(Critical Control Point) in Fried Process of Fried Noodles)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78-3585
    • /
    • 2012
  • 유탕면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유탕 공정-CCP(Critical Control Point)에 대한 미생물학적(Biological hazards)과 화학적(Chemical hazards) 한계 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이천 소재의 P사에서 실행하였다. 유탕공정은 각각의 시간과 온도 측정에 따라 미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를 제거하거나 감소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Standard plate count와 식중독균은 유탕공정(Temperature : $145{\pm}10^{\circ}C$, Time : $75{\pm}30$ sec)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다. 유탕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화학적 위해 기준의 산가는 법적 기준치인 0.6보다 낮은 0.2 이하였다. 증숙실과 유탕실의 공중낙하균을 측정한 결과 3 CFU/mL, 3 CFU/mL 검출되었다. 따라서 유탕공정의 CCP-BC는 일반세균과 식중독균, 산화생성물 생성을 예방, 제거하는데 좋은 대안책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HACCP을 위해 유탕공정에 대한 한계기준설정, 모니터링방법, 개선조치, 검증방법, 교육, 기록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