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ugh unit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3초

일라이트(illite)를 산란계 사료에 첨가 시 계란 신선도와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llite As a Feed Additive on The Haugh Unit and Fatty Acid Profiles of Eggs)

  • 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807-811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illite as a feed additive on the Haugh unit and fatty acid profiles of eggs. One hundred and twenty laying hens (48-week-old Hy-line Brow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wo treatments: control or 2% illite powder. At 2 and 4 weeks, the Haugh unit values between the control and 2% illite powde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addition, individual fatty acid content at 2 and 4 week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atments (p>0.05), except for palmitic (C16:0) and palmitoleic acid (C16:1) content. The addition of 2% illite powder caus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aturated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at 2 and 4 weeks (p>0.05).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dietary illite at a rate of 2% did not improve the Haugh unit values or fatty acid profiles of eggs.

산란 주령 및 중량 규격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 및 내부 품질 비교 (Comparison of Principle Components and Internal Quality of Eggs by Age of Laying Hens and Weight Standard)

  • 이재청;김선효;선창완;김창호;정사무엘;이준헌;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55
    • /
    • 2013
  • 본 연구는 산란 주령과 중량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과 내부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Hy-Line Brown 품종의 18주령에서 63주령으로부터 계란을 주령별로 약 50개씩 총 2,140개를 수거하여 난각, 난황 및 난백의 중량과 난백 높이 그리고 Haugh unit을 측정하였다. 중량 규격이 높아짐에 따라 난각, 난황 및 난백의 중량은 증가하였으나, 난백 높이와 Haugh unit은 낮아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란 주령이 경과함에 따라 난황은 증가하고, 난백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란 주령은 난각, 난황, 난백 및 전체 계란 중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난백 높이와 Haugh unit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계란 중량이나 주요 구성 성분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난백 높이 및 Haugh unit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계 주령과 계란 난각 형태이상 정도가 내부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 of Laying Hens and Grade of Egg Shell Abnormality on Internal Egg Quality)

  • 김희수;김선만;노재중;이재익;이현정;조철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43-49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계의 주령 및 난각의 형태이상 및 이상 정도가 내부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동일 주령의 산란계 2계군에서 56주령부터 62주령 사이에 산란한 계란 21,000개 중 각 주별 1,000개를 무작위 추출하여 축산물품질평가사가 정상란과 형태 이상란을 구분하였다. 각각의 출현율과 할란검사를 실시하여 내부품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정상란은 81.22%, 이상란은 18.78%의 출현율을 보였다. 주령의 증가에 따른 이상란의 출현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Haugh unit은 60주령이 56주령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동일 주령대를 비교했을 경우 난백고와 Haugh unit은 형태 이상란이 낮고 또한 이상의 정도가 심한 경우 더 낮게 측정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특히 이상란 중 기형란의 난고와 Haugh unit이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여 이상란 중에서도 기형란이 내부 품질이 가장 낮게 판명되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56~62주령 산란계로부터 생산된 계란의 외형적 이상은 내부품질의 저하와 밀접하게 상관한다고 볼 수 있으며, 현 계란 등급판정 체계에서 외관판정은 신선도 평가에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hitosan Coating이 계란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Coating on Quality of Egg during Storage)

  • 이신호;노홍균;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88-293
    • /
    • 1996
  • Chitosan의 막형성능을 이용하여 계란의 저장성 증진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세척란과 미세척란을 chitosan용액 1%와 2%를 이용하여 coating 처리하여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난중 감소율, yolk index, Haugh unit 및 유화력 등을 측정하여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난중 감소율은 chitosan 처리에 의해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Yolk index와 Haugh unit 측정결과 chitosan의 처리효과는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난황의 유화력은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hitosan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Chitosan coating의 농도별 처리는 계란의 저장중 무처리구에 비해 품질보존 효과가 점차 뚜렷하였으며, 미세척란 보다 세척란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 PDF

계란 농후난백의 높이 측정부위에 따른 Albumen Index와 Haugh Unit의 변화 (Changes of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by the Different Position of Thick Albumen Height of Eggs Measured)

  • 하정기;김태호;나재천;강보석;하광수;김동혁;이상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7-170
    • /
    • 2002
  • 공시란을 15, 20, 25 및 $30^{\circ}C$ 에서 산란 당일(0일), 2, 4, 6, 8 및 10일간의 6단계로 각각 저장하면서 5단계의 농후난백 의 높이 측정 부위별 난황과 난백의 부착부분(0 mm), 난황으로부터 3, 6, 9 및 12 mm 떨어진 부분에서 측정에 따른 난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난질은 각각의 측정부위에서 구한 농후난백의 높이로서 구한 Albumen index와 Haugh unit는 다음과 같다. 공시란의 저장온도별 난백계수는 농후난백층의 측정부위에 따라 상이하였으며(P<0.01), 이것은 난백계수 측정시 동일한 난질이라도 측정 부위에 따라 계수 자체가 아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난질 측정시 필수적인 농후난백의 높이 측정부위를 확정하여 통일되게 고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산란 3시간 후에 측정한 공시란에도 Albumen index의 신선란 기준인 0.16인 난질은 없었다. 이 사실은 우리나라 계란 유통과정 시 현실적인 점을 고려하여 0.16보다 낮은 0.06의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난백계수의 기준을 0.06로 정하고 이것을 100%으로 기준했을 때, $15^{\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6일까지 100%이상, $20^{\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4일까지 100% 이상, 25~$30^{\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전까지 100% 이상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Haugh unit 의 신선란 기준인 79를 100%으로 기준했을 때, 15$^{\circ}C$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4일까지 100%이상, $20^{\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까지 100%이상, 25~$30^{\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전까지 100% 이상의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Hauah unit의 신선란 기준을 55를 100%로 정했을 때, $15^{\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10일까지 100%, $20^{\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8일까지 100%, 25~$30^{\circ}C$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까지 100% 이상의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난황과 농후난백의 부착부분에서 측정한 농후난백의 높이로 난질을 계산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계란 유통과정을 고려했을 때 가장 합리적이고도 적합하다고 사료되었다.

복합 필름(SPI/corn search)이 메추리알 및 샌드위치 식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ite Film on Quail Egg and Sandwich Breads)

  • 김재연;박상규;이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7
    • /
    • 2005
  • 분리 대두단백질과 옥수수 전분을 혼합한 복합 필름의 막 특성을 이용하여 메추리알을 코팅하고 저장성 향상 및 품질 유지를 증대시키고자 하였으며 복합 필름을 복합조리식품(샌드위치)에 적용하여 식빵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저장 실험을 하였다. 메추리알에 필름 용액을 코팅시킨 후 저장 중 Haugh unit yolk index, 중량변화를 측정하였다. $25^{\circ}C,\;50\%\;RH$로 조절된 incubator에서 20일간 저장된 대조구와 복합 필름으로 코팅된 메추리알의 Haugh unit, yolk index를 측정한 결과 코팅 처리된 메추리알이 감소율이 적었으며, 중량 변화에서도 복합 필름으로 코팅된 메추리알이 대조구 보다 더 낮은 중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샌드위치 사이에 복합 필름을 넣고 부재료의 수분이 식빵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알아본 결과 12시간 후 복합 필름은 $5\%$의 중량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은 $31\%$ 중량 증가를 보여 복합필름이 대조군 보다 수분 이동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SPI/CS 복합 필름 용액을 이용하여 난류에 코팅하면 제품의 품질 유지 및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복합조리 식품에 적용할 경우 부재료의 수분이동을 막아 빵의 눅눅해짐으로 인한 품질 저하와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제환우와 보존기간이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ced Molting and Storage Time on the Egg Quality)

  • 오홍록;이봉덕;이수기;류현덕;유동조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1호
    • /
    • pp.17-24
    • /
    • 2006
  • 본 실험은 강제환우가 난질 및 계란의 저장기간에 따른 계란품질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 공시된 계란은 환우하지 않은 60주령된 ISA Brown 노계의 계란을 대조구 (Control), 55주령에 환우를 실시한 처리구1 (T1), 70주령에 환우를 실시한 처리구2 (T2)를 각각 240수씩 총 720수를 공시하였다. 사료는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란사료를 사용하였다. 산란율이 50%에 도달하였을 때 정상란을 채집하여 난각 및 내 외부 난질을 저장 1일, 3일, 6일, 9일, 12, 15일에 조사하였다. 난각강도는 강제환우를 시키지 않은 60주령의 일반란과 70주령에 환우를 실시한 처리구보다 55주령에 강제환우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난각강도가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다. 난각두께는 각 처리구간 혹은 저장기간별로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색과 난중은 대조구인 60주령과 환우처리를 실시한 두 처리구간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난백고는 환우를 수행하지 않은 대조구가 환우를 실시한 두 처리구보다 더 높았으며 강제환우를 실시한 두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환우처리에 관계없이 난백고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Haugh unit는 강제환우 처리를 한 두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또한 저장기간이 길수록 세 처리구 공히 Haugh unit가 현저하게 감소하여서, 난백고와 비슷한 경 향을 보였다. 난황색은 환우처리별, 혹은 저장기간 별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강제환우는 난각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난백의 높이 및 Haugh unit는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성게껍질 분말을 산란노계 사료에 첨가시 계란 신선도와 난각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a Urchin Shell Powder on Haugh unit and Eggshell Characteristics of Old Laying Hens)

  • 장우환;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11-101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gg freshness and eggshell characteristics of old laying hens by adding sea urchin shell powder to the feed of such hens to achieve the objectives continuously pursued by environmental management, such as business profitability and waste resource utilization. A total of 90 Hy-Line Brown layers (66 weeks of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treatments with 3 replicate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5 older layers, for 4 weeks. These treatments included a control (i.e., 0%) and 2% sea urchin shell powder. The 2% supplementation of sea urchin shell powder increased the Haugh unit (HU) at 2 and 4 weeks and eggshell strength at 4 wks compared to the controls (p<0.05). The HU at 0 weeks, eggshell thickness from 0 through 3 weeks, and eggshell strength at 0 and 2 week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2% sea urchin powder to the feed of laying hens improves egg freshness and eggshell strength in old laying hens.

산란계 사료내 마늘분말 및 구리의 첨가가 난 생산성 및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 임규섭;안승민;김동욱;김관응;유선종;박유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80-81
    • /
    • 2003
  • 마늘분말(GP)과 구리의 산란계 사료내 첨가가 난 생산성, 계란의 보존성,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52주령 공시계에 GP 0%(대조구), GP 1%, 3 % 및 5%, Cu 200ppm, GP 3%-Cu 200ppm을 함유하는 실험사료를 각각 5주간 급여하였다. 난 생산성과 사료 섭취량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다. 사료내 GP 첨가수준의 증가와 함께 7일 및 14일 저장후의 Haugh unit 수준이 선형적으로 높아지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GP 3%-Cu 200ppm 첨가구에서의 혈청 및 난황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 PDF

방사 사육과 배터리 사육 산란계에서 난질 : 난가와 산란계 주령에 따른 난질의 비교 (Egg Quality in Battery Cage and Free-Range Systems : with Reference to Comparison of Eggs Based on Price and Hens' Age)

  • 김대우;강석민;양영록;김지민;윤형숙;전중환;최양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5-122
    • /
    • 2016
  •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quality of eggs 1) produced from hens housed in battery cages vs. free range, 2) from young vs. old hens, and 3) tagged with the lowest vs. the highest price in a local franchised mart. The ages of hens, at which their egg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quality, were 70 weeks old in the experiment 1, 22 and 47 weeks old in the experiment 2, and were unknown in the experiment 3. Eggs were analyzed for weight, albumen height, Haugh unit, shell color, shell strength, shell thickness, shell weight, yolk color, yolk weight, and egg white weight. In the experiment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two housing systems in shell color, shell weight, yolk color, and yolk weight (P<0.05), but not in egg weight, albumen height, Haugh unit, shell strength, shell thickness, and egg white weight (P>0.05). Although egg weight was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in battery cages by 2.2 g than in free range, yolk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attery cage (P<0.05). On the contrary, shell color was greatly increased in free range system by 68.5% compared with battery cage. In the experiment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oung and old hens in egg weight, albumen height, Haugh unit, shell strength, shell weight, yolk color and yolk weight (P<0.05). Egg weight, shell weight, yolk color and yolk weight were increased in old hens than young hens while albumen height, Haugh unit, and shell strength we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 3, egg weight, albumen height, Haugh unit, shell weight, and egg white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est priced eggs than the lowest ones (P<0.05), whereas shell strength and yolk color were lower (P<0.05) but shell color, shell thickness and yolk weight were not different (P>0.05). So, egg freshness was clearly higher in the highest priced ones than in the lowest (P<0.05). Due to the limited information on raising and husbandry of laying hens whose eggs were tested for egg quality in the current study, the present results should be cautiously interpreted while contributing to the future study as a basis in this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