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year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에서 여름정식한 아스파라거스의 이듬해 적정 수확방법 구명 (Investigation of Proper Spring Harvesting Methods on the Summer Planted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in Jeju)

  • 성기철;김천환;이진수;문두경;강경희;엄영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0-284
    • /
    • 2009
  •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의 첫 수확기를 단축하기 위한 여름정식 기술을 개발코자 하였으며,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 수확유무 및 방법이 아스파라거스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3개월 육묘한 모종을 2005년 6월 20일에 하우스내에 정식 하였다. 이듬해 봄 수확방법은 수확처리(완전수확, 부분수확) 및 무수확(관행)으로 하여 1, 2년차 생육 및 누적수량을 조사하였다. 2006년 1년차 봄 수량은 수확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수확처리구에서 399kg${\sim}$400kg/10a이 가능하였다. 2년차 봄 수량은 부분수확 처리구에서 834kg/10a, 완전수확 처리구에서 825kg/10a, 관행 처리구에서 908kg/10a를 보였다. 1년차의 수확방법에 의한 2년차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2년차 총 누적수량은 1년차 봄에 수확을 하는 처리구에서 관행에 비하여 35%(1,229kg/10a)증수되었다. 상품수량은 관행 839kg/10a에 비하여 1년차 수확처리구에서 33%(1,116kg/10a)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에 수확을 하는 것이 증수면에서 바람직하며, 여름정식은 정식 후 8개월만에 첫 수확이 가능하였다.

Ethephon처리가 토마토의 비타민 및 무기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ephon Treatment on Vitamin and Mineral Contents of Fresh Tomatoes)

  • 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9-413
    • /
    • 1983
  • 과실의 균일한 숙성을 위하여 ethephon을 흔히 사용하는데, 수확전의 토마토에 ethephon을 처리했을때 토마토의 비타민과 무기질 함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 1주일 전의 토마토에 ethephon처리는 아스콜빈산, 캐로틴(총 캐로틴 및 베타-캐로틴), 지아민, 리보후라빈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런 결과는 2년간 계속적으로 확인되었다. 토마토의 리보후라빈 함량이 1979년에 1978년 보다 높았던 것은 아마도 생육환경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2. 토마토의 무기질 함량은 수확 1주일전의 ethephon살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ethephon살포와는 관계없이 칼슘과 망간함량은 해에 따라 변하였다.

  • PDF

탐라오갈피의 수확시기에 따른 Eleutherosides 함량의 변화 (Changes in Eleutherosides Contents of Acanthopanax koreanum by Harvest Time)

  • 좌창숙;양영택;고정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2-365
    • /
    • 2000
  • 탐라오갈피 나무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eleutheroside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9월에 수확한 탐라오갈피 나무의 부위별 eleutheroside B의 함량은 줄기에서 549.2 ppm으로 가장 높았고, 뿌리 및 잎에서는 각각 483.2 ppm, 255.9 ppm으로 잎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eleutheroside E도 줄기에서 653.1 ppm으로 뿌리보다 높았으며, 잎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잎에는 eleutheroside E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나무의 수령이 많아질수록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함량이 모두 많아졌으며, eleutheroside B 함량은 5년생이 567.3 ppm으로 1년생보다 약 1.6배 많았다.

  • PDF

벼 상온통풍건조의 최소풍량비에 관한 연구 (Minimum Specific Airflow Rate Requirements for Natural Air Drying of Rough Rice in Korea)

  • 금동혁;박선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60-71
    • /
    • 199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and to determine minimum specific airflow rate requirements for natural air drying of rough rice in Korea.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energy and mass balances within grain bed, drying and rewetting rates, and hysterisis effect between sorption and desorption isotherms. As the results of validation test, the moisture contents predicted by the model agreed very well with the actual data.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minimum specific airflow rate requirements was that the top loom layer in the bin be dried to a moisture content below 16 percent wet basis with less than 0.5% drymatter decomposition. The minimum specific airflow rate requirements in 13 locations of Korea were presented based on the worst one among the past 7 to 13-year weather data. These requirements were also presented for all the combinations of three harvest dates and four harvest moisture contents. Specific airflow rate requirements seemed to be half by each 2 percent reduction in moisture content from 24 percent. As harvest date was delayed by 10 days from October 1, these requirements were reduced by about 20 to 40 percent.

  • PDF

인삼의 지하부 생육 및 엑스함량의 경시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Growth and Extract Content of Roo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성우;강승원;성낙술;현근수;현동윤;김영창;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83-489
    • /
    • 2004
  • 경기도 안성지역의 $4{\sim}6$년생 재래종 (자경종) 인삼포장에서 4월 28일에서 9월 30일까지 월별 지하부 생육특성과 엑스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체장은 월별 수축과 회복을 반복하여 9월 수확기까지 증가되지 않았으나 동체직경은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2. 단위 면적당 지상부중은 4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7월에 최고를 보인 후 차차 감소되었으며, 지하부중은 5월에 감소된 후 9월 수확기까지 점차 증가되었는데, 6년생은 7월 이후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3. 지하부의 상대생장율은 전엽기인 5월과 고온기인 8월에 감소되었고 6, 7, 9월에 다시 증가되었는데, 6년생의 지근과 세근은 $4{\sim}5$년생에 비해 월별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 상품비율 (근중 60g 이상)은 연생이 증가할수록 커서 4년생 23%, 5년생 60%, 6년생 69% 이었다. 5. 뿌리의 수분함량은 수확기까지 차차 감소되었는데, $7{\sim}9$월까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9월 수확기의 수분함량은 4년생 > 5년생 > 6년생순 이었다. 6. 동체의 경도는 5월에 감소된 후 급격히 증가되었는데, $4{\sim}5$년생은 $6{\sim}9$월까지 대체로 증가되었으나 6년생은 8월부터 차차 감소되어 $4{\sim}5$년생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7. 동체와 지근의 엑스함량은 4월부터 6월까지 급격히 감소된 후 9월에 다시 증가되었는데, $4{\sim}5$월의 엑스함량은 4년생이 $5{\sim}6$년생보다 많았으나 9월에는 연생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KFSC)을 이용한 수확 주기 및 강도와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소나무림 토양탄소 저장량의 장기 변화 추정 연구 (Estimation of Long-term Effects of Harvest Interval and Intensity, and Post-harvest Residue Management on the Soil Carbon Stock of Pinus densiflora Stands using KFSC Model)

  • 박찬우;이궁;이종열;이경학;이명종;김춘식;박관수;김래현;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82-89
    • /
    • 2013
  • 벌채 수확은 토양 내 탄소 동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수확에 따른 토양탄소 변화를 현지에서 장기간 연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제한 요건이 있기 때문에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토양탄소 변화 경향을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한국형 산림토양탄소 모델(KFSC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중부지방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임분을 대상으로 수확의 주기, 강도,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에 따른 산림토양탄소 동태의 장기 변화를 모의하였다. 모의 시나리오는 3개의 수확 주기(50년, 80년, 100년), 2개의 수확 강도(재적 대비 30%의 부분수확 및 100%의 개벌수확), 2개의 수확 후 잔재물 처리방법(지상부 잔재물의 전량 수거 및 전량 방치) 등을 조합하여 총 12개로 이루어졌으며, 연간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를 400년 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400년 후 30 cm 깊이까지의 토양탄소 저장량은 시나리오별로 50.3-55.8 Mg C $ha^{-1}$(현재 토양탄소 저장량 대비: 98.1-108.9%)의 범위를 나타냈다. 수확 후 잔재물을 전량 방치할 경우 잔재물을 전량 수거할 때보다 토양탄소 저장량이 2.5-11.0%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나, 수확 주기 및 강도에 따른 토양탄소 저장량 변화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탄소 저장량의 변화 경향은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과 일치하였으며, 고사유기물의 변화 경향은 수확 시 발생하는 고사유기물의 양과 수확 후 임분 생장 형태에 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뭇가사리의 전질소함양의 계절적인 변화에 대하여 (SEASONAL VARIATION OF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SEAWEED, GELIDIUM AMANSII LAMOUROUX)

  • 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3-86
    • /
    • 1969
  • The present investigations were made with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seasonal variation in total nitrogen content of Gelidium amansii. Monthl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ea near pusan, from August 1957 to June 1959. The results obtained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The maximum total nitrogen content of Gelidium amansii was observed during the months of January and February, and the minimum content was observed in June and July Thus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Gelidium amansii exhibited a considerable periodic change throughout the year. The recommended harvest time of Gelidium amansii with regard to total nitrogen content, is from May to October,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per harvest time is from May to June, with respect to the season of spore-formation and its propagation.

  • PDF

PNU CGCM-WRF Chain을 활용한 남한지역 찰옥수수 수확일 추정 (Estimation of Waxy Corn Harvest Date over South Korea Using PNU CGCM-WRF Chain)

  • 허지나;김용석;조세라;심교문;안중배;최명주;김영현;강민구;최원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5-41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30년(1991-2020)에 대한 PNU CGCM-WRF chain에서 생산된 6개월 과거예측 자료를 이용하여 남한 전역에 대한 찰옥수수 수확일을 추정하고 평가하였다. 찰옥수수 수확일을 추정하기 위해 61개 지점의 기온 관측 자료와 모형의 기온 예측 자료를 파종일부터 수확 기준 온도까지 적산하는 적산온도 방법을 이용하였다. 평균 기온의 경우, 모형예측 자료는 분석기간(4~9월)에 대해 관측과 비교하여 약 2.9℃도 정도 기온을 과소모의하였다. 이러한 모형의 기온 오차가 적산온도에 반영되어, 관측으로 추정한 수확일과 비교하여 모형은 약 14.4~16.9일 늦게 찰옥수수 수확일을 모의하였다. 오차가 개선된 모형 결과는 기온 예측 자료의 평균 오차가 0.1℃로 감소되고, 수확일 지연이 약 1.1~1.3일로 감소되어 정량적으로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NU CGCM-WRF chain의 미래 기온 예측자료에 적산온도 생육추정 방법을 적용하여 찰옥수수 수확일을 추정함으로써 기후예측자료의 농업부문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찰옥수수와 같이 적산온도가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작물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에 적합한 파종시기와 적산온도 기준값을 설정한다면 다양한 작물에 대한 생육시기 정보를 6개월 사전에 예측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ptimum Harvest Time for High Quality Seed Production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 Hybrids

  • Lee Suk Soon;Yun Sang Hee;Seo Jung M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73-380
    • /
    • 2004
  • The production of sweet (su) and super sweet corns (sh2) has been economically feasible in Korea in recent years. Major factors limiting super sweet corn production are low germination and low seedling vigor. Since seed quality is closely related to seed maturity,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was studied and the quality of seeds with varying maturities was investigated in 2001 and 2002 cropping seasons. The parents of the sweet corn seeds were Hybrid Early Sunglow and 'Golden Cross Bantam 70' and those of super sweet corn were Xtrasweet 82 and 'For­tune'. Seeds were harvested at 21, 28, 35, 42, 49, and 56 days after silking (DAS). As the seeds developed, seed weight of sweet corn increased and the seed moisture content decreased faster than that of super sweet corn. Germination rates of sweet corn seeds harvested 21 and 28 DAS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s in the cold soil 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eeds harvested after 42 DAS in both years. Although the germination rates of super sweet corn seeds with varying maturities showed similar patterns as sweet corn seeds at $25^{\circ}C$, the emergence rate of super sweet corn seeds in cold soil test continuously increased with seed maturity. This suggests that seed quality of super sweet corn should be tested in a cold soil test to estimate field emergence. As the seeds develope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from the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decreased up to 42 or 49 DAS. The $\alpha-amylase$ activities of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increased with seed maturity from 21 to 35 or 49 DAS depending on genotype and year.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sweet corn was 42 DAS and 49 DAS for super sweet corn considering emergence rate and plumule dry weight in the cold soil test, leakage of sugars and electrolytes from the seeds, and $\alpha-amylase$ activity.

파종시기가 Pearl millet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 on the Yield and Nutrition Value of Pearl millet ( Pennisetum americanum L. ) ) (The Effect of Different Seeding Date on the Yield and Nutrition Value of Pearl millet ( Pennisetum americanum L. ))

  • 윤용범;정순영;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31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date on the yields and nutritional value of Pearl millet. Seeding dates were $S_1$,$S_2$,$S_3$,$S_4$, and $S_5$, and harvest dates were $S_1$, (7 July) and $S_2$, (18Augst),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lant length was not influenced by seeding date at each harvest. The seeding date at $S_4$,showed the longest plant length of 90.4 an on average per year, which was longer by 17 cm compared to 73.3 cm harvested at $S_5$. 2. Total dry matter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eding dates. Total dry matter yield in 1993 increased according to delayed seeding date from $S_1$ to $S_4$. Dry matter yield of 17.3 tonha was obtained in $S_4$. 3. The relative yield of leaf tended to increase with delayed seeding date, and varied from 60% to 69%. 4. Dry matter ratio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from $S_1$,(20 April) to $S_5$ (30 May), and varied from 15.6% to 12.3%. 5. Crude protein content of leaf at 1st and 2nd harvest and stem at 1st harves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ous seeding dates. Avenge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from 9.0% at $S_1$ (20April) to 12.8% at (30 May) $S_5$ (30 May). 6. NDF and ADF of leaf at the 1st harvest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eding dates. NDF content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from 61.9% to 57.8%, and ADF content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from 34.8% to 32.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