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ness of meat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33초

솔잎 열수추출물 소스를 첨가한 양념돈육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Meat Added with the Sauce of Pine Needle Extract during Storage)

  • 김하윤;황인국;신영지;김석영;황영;유선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3-603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n the color,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and total bacterial number of seasoned pork meat stored at $4^{\circ}C$ for 9 days. The pH levels of sauce samples were not affected by the mixing rate of the extracts. Acidity, soluble solids, and salinity gradual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in the sauce ranged from $1.01{\pm}0.02$ mg GAE/mL to $1.41{\pm}0.04$ mg GAE/m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0.06{\pm}0.01$ AEAC to $0.12{\pm}0.01$ AEA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0.11{\pm}0.01$ AEAC to $0.19{\pm}0.01$ AEAC. The pH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Th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meat tended to decrease with longer storage period (p<0.05). Hardness and chewiness also increased with longer storage period (p<0.05). The TBARS values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extract increased after 6 days (p<0.05). Total bacterial numbers of P5, P10, and P15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 the sensory evaluation, taste and pala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 P5, and P10 (p<0.05). Further, flavor, color, tenderness, and juicines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easoned pork me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 needle extract can inhibit protein degradation, lipid oxidation, and bacterial growth when used as an additive to seasoned pork meat.

닭가슴살을 이용한 노인식의 개발 (Development of Elderly Diet Food using Chicken Breast Meat)

  • 이경행;라소정;강슬기;문주윤;이혜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2
    • /
    • 2016
  • 단백질 함량이 높은 닭가슴살을 주 원료로 하여 저작 연하가 용이한 노인식을 개발하고자 젤라틴 함량을 다르게 하여 닭가슴살 저작 연하 보조식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는 64.25~67.33, 적색도는 0.96~1.66, 황색도는 14.61~15.84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젤라틴의 함량이 적을수록 명도가 증가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 및 chewiness 등의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젤라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hardness는 증가하였고, adhesiveness는 젤라틴 함량과 반비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한 제품의 유리 아미노산 측정 결과에서는 젤라틴 함량이 증가할수록 tyrosine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이외의 아미노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젤라틴 함량을 기준으로 실시한 관능평가에서 맛, 색 및 향에서는 젤라틴 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조직감(식감)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1.3 g의 젤라틴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Wheat Fiber 첨가가 Meat Batter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iber on the Quality of Meat Batter)

  • 최윤상;이미애;정종연;최지훈;한두정;김학연;이의수;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28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 단백질인 ISP와 CSP의 대체제로서 식이섬유인 wheat fiber를 첨가함으로써 돈육 유화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돈육 유화물의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pH는 차이가 없었으며 (p>0.05), 보수력과 육색의 L-값은 대조구보다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났다(p<0.05). 가열감량, a-값과 b-간은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처리구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화안정성에서 수분리는 ISP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분리의 경우는 비육 단백질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낯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점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높았지만(p<0.05), 처리구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물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경도, 검성, 씹음성의 경우 모든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WF-200 처리구와 대조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하여 볼 때, ISP와 CSP의 대체제로 wheat fiber가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게르마늄 급여가 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ermanium Supplementation on the Meat Quality of Duck)

  • 김혜정;양성운;주명규;이규호;조수현;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0-208
    • /
    • 2003
  • 게르마늄의 급여가 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게르마늄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T1), 사육 11일-42일간 게르마늄 1% 급여구(72), 사육 0-10일에 게르마늄 침지수를 급여한 후에 11일-42일간 게르마늄 1% 급여구(T3)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계 처리한 오리의 가슴육과 다리육을 분리하여 3$\pm$1$^{\circ}C$, 1,200 Lux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육질검사를 실시하였다. 육의 pH는 게르마늄 급여에 따른 영향은 없었고, 지방함량은 게르마늄 급여육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침지수 급여구(T2)가 T1이나 대조구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았고, 불포화지방산은 높았다. TPA 검사에서는 경도와 응집성이 침지수 급여구(T2)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게르마늄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슴육과 다리육 모두 콜레스테를 함량이 낮았으나 가슴육은 침지수 급여구(T2)만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냉장 저장기간 중에 대조구에 비해 게르마늄 급여구의 TBARS가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하여(p<0.05)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여구간 차이는 없었다. 게르마늄을 급여하면 저장중 육색의 L', b'와 ho값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a*값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그러므로 오리에 게르마늄을 급여하면 육색과 연도가 개선되고 저장 중 산화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염첨가량이 다른 멸치(Engraulis japonica)육젓의 15℃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ted-Fermented Anchovy Meat Engraulis japonica with Different Salt Content During Fermentation at 15℃)

  • 이재동;강경훈;권순재;윤문주;박시영;박진효;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457-1469
    • /
    • 2015
  • 원료멸치에 식염첨가량을 달리하여 $15^{\circ}C$로 설정된 incubator에서 110일간 숙성 중 멸치육젓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5^{\circ}C$에서 식염 15, 20 및 25%를 각각 첨가하여 숙성 시킨 멸치육젓의 경우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분 함량이 점점 감소하였으며, 조회분 함량은 증가하였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식염첨가량이 많은 시료일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조지방 및 조회분은 증가하였으며, 조단백질 및 pH는 식염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TBA값, 아미노질소 함량, 염도 및 조직감은 그 값이 증가하였으며, 색도는 L값 및 b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 및 ${\Delta}E$값은 증가하였다. 식염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염도 및 조직감은 증가하였으나 TBA값 및 아미노질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색도의 경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으며, 명도(L값) 및 색차(${\Delta}E$값)는 큰 차이가 없었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10일 숙성 시킨 시료의 경우 식염 15%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많은 함량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식염 20%를 첨가한 시료, 식염 25%를 첨가한 시료의 순이었다. 식염 15-25%를 첨가한 시료 모두 lysine, leucine 및 histidine이 주요아미노산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15, 20 및 25%를 첨가한 시료 모두 숙성 80일 이후 관능적 기호도가 3.0이상으로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색의 경우 15, 20 및 25%를 첨가한 시료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조직감의 경우 식염 25%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선호도가 좋았고, 그 다음이 20%를 첨가한 시료, 15%를 첨가한 시료의 순이었다. 반면 냄새, 맛 및 종합평가의 경우 식염 15%를 첨가한 시료가 가장 선호도가 좋았고, 그 다음이 20%를 첨가한 시료, 25%를 첨가한 시료의 순으로 나타나 염도가 낮은 시료일수록 관능적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강 식이섬유 첨가 수준이 분쇄형 돈육 육제품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ng Levels of Rice Bran Fib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Product)

  • 최윤상;최지훈;한두정;김학연;이미애;김현욱;정종연;백현동;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9-326
    • /
    • 2008
  • 본 연구는 미강 식이섬유의 첨가 수준이 분쇄형 돈육 육제품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분쇄형 육제품의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수분함량은 미강 식이섬유 2%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회분함량은 미강 식이섬유를 첨가함에 따라 높아졌지만, 지방함량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미강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가열전과 가열 후 모두 미강 식이섬유를 첨가한 처리구들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가열전 명도와 적색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황색도는 처리구들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가열감량은 미강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직경감소율은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보수력은 가열전과 가열후에서 대조구 보다 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경도는 2%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탄력성, 응집성, 겁성 및 씹음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2%와 3%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능적 특성도 모든 항목에서 2% 처리구가 높은 접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돈육 분쇄형 육제품에 2-3%의 미강 식이섬유를 첨가하면 물성, 가열감량, 직경감소율 및 보수력과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육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NaCl 첨가가 DFD육 및 정상육 batter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aC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FD and Normal Pork Meat Batter)

  • 김천제;이의수;정종연;권택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6-210
    • /
    • 2003
  • DFD육의 가공적성과 NaCl 농도에 따른 batter의 이화학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NaCl 농도$(0{\sim}3%)$를 다르게 하여 DFD육 batter와 정상육 batter를 제조한 후 pH, 가열감량, 직경감소율, 단백질용해성, 유화안정성, 점도 및 경도를 조사하였다. DFD육 batter와 정상육 batter는 NaCl 농도가 0%에서 3%로 증가함에 따라 가열전 pH가 DFD육은 0.23, 정상육은 0.2 unit 감소하였으며, 가열후 batter의 pH는 정상육과 DFD육 모두 가열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DFD육 batter의 가열감량과 직경감소율은 정상육 batter보다 낮았으며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단백질 용해성은 DFD육과 정상육 모두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DFD육의 단백질용해성이 정상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화안정성에 있어서 DFD육 batter는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방분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정상육 batter에 비교하여 유화안정성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DFD육 batter의 점도는 정상육 batte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DFD육 batter의 경도는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정상육 batter보다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제품 원료육으로서 DFD육의 이용가치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유황을 급여한 육용 교잡계의 성장능력과 계육의 물리.화학적인 성상의 비교 (A Comparison of Fattening Performa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st Meat, Vaccine Titers in Cross Bred Meat Type Hybrid Chicks Fed Sulfur)

  • 박재홍;류명선;이영은;송근섭;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17
    • /
    • 2003
  • 본 실험은 유황을 육용 교잡계에 급여하여 성장능력, 계육의 물리$.$화학적인 성상, 항체가,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행하였다. 8주령 교잡 육용계를 케이지에 암수 1:1의 비율로 처리구당 4반복으로 반복당 18수씩 총 288수를 배치하여 3주간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유황은 황 함유량이 45%제재로서 0, 1.0, 2.0, 4.0%를 시판용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여 계산하였으며, 실험 종료시에 계육의 일반성분, 물리$.$화학적인 성상, 백신항체가, 관능검사를 실행하였다. 유황 급여구에서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복강지방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슴육의 지방함량은 유황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매우 낮았으며(P<0.05), 적색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리감량은 유황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며(P<0.05), 조직감 특성중 응집성, 탄력성 및 검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유황을 첨가함에 따라 다즙성은 증가하고, 기름이 있는 입촉감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P<0.05) 유황 첨가가 닭고기의 수용도에 좋은 영향을 주는데 기여하였으며, 씹힘성은 유황 첨가수준 2%에서 가장 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닭고기에 대한 전체적인 수용도는 유황 2% 첨가구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으므로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황의 급여로 혈액의 AST, ALT, BUN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Effects of Whey Protein Injection as a Curing Solution on Chicken Breast Meat

  • Ha, Jung-Heun;Lee, Ju-Ho;Lee, Jae-Joon;Choi, Yang-Il;Lee, Hyun-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94-502
    • /
    • 2019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chicken breast meat (CBM) was investigated following the injection of whey protein (WP) as a curing ingredient. The moisture content of CBM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WP.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WP (7%) resulted in the lowest moisture and fat content and the highest protein content of CBM. Injection of WP elevated the pH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of CBM. The cooking loss of CB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WP injections of 3% and higher. All WP injections increased the $L^*$ of the CBM but decreased the $a^*$ and $b^*$. WP injection increased the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and decreased the hardness of the CBM. WP injection increase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fter 3 and 7 days of storage. The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of the CBM increased with increased concentrations of WP. The total microbial count (TMC) of CBM injected with WP was higher initially and after 3 days of storage. Our results showed WP injection improved the WHC of CBM but decreased the storage stability by increasing TBARS, VBN and TMC.

New Approaches to Production of Turkish-type Dry-cured Meat Product "Pastirma": Salt Reduction and Different Drying Techniques

  • Hastaoglu, Emre;Vural, Hal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24-239
    • /
    • 2018
  • In this study, the possibl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stirma, Turkish-type dry-cured meat product, produced by using two different salts (NaCl-KCl) in a curing mixture and two different production techniques (natural and controlled condition) were examined. Moisture, pH, salt, sodium, potassium, TBA, fat, water activity, instrumental colour, texture, and sensory analyses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le effects of these applications. Fat, aw, pH, colour, tiobarbituric acid (TBA), texture, salt, Na and K values may allow these desired modifications in pastirma production to be limited. The substitution of 15% KCl instead of NaCl was acceptable in terms of the sensorial properties of the pastirma. However, the sensory analyses did not allow for using a higher KCl instead of NaCl because both the hardness and chewiness in the texture of the pastirma samples salted with 30% of KCl were not scored positively. Besides this, negative effects, which may occur during the pastirma produc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can be eliminated by the production being under controlled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