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dicapped person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53초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on Awareness of Rights, Empowerment, and Resilienc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강광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03-211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9월 2일부터 12월 9일까지 K시 소재한 정신과 병원의 재활센터와 정신사회복지시설의 정신재활센터에 등록한 회원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은 참여하지 않은 정신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의 권리인식과 회복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과 회복력에 효과적인 이유는 일방향적 교육이 아닌 프로그램에 참가한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잘못된 뉴스를 찾아보고 수정해서 다시 카드뉴스를 제작해 보는 당사자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귄리인식을 증진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Measurement of Arterial Pulse Wave at the Temple Using PZT Piezo Sensor

  • Kil Se Kee;Han Young Hwan;Lee Eung Hyuk;Park Young Bae;Cho Heung Ho;Min Hong Ki;Hong Seung Ho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772-775
    • /
    • 2004
  • Generally, arterial pulse waves are measured at the radial arterial of wrist or carotid arterial of neck using a sensor such as pressure sensor, piezoelectric sensor or optic sensor. But in this paper, arterial pulse wave is measured at the temple using PZT piezo sensor which is attached on the temple in form of a hair-band. Arterial Pulse waves are generally measured when a reagent is in a static state. But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arterial pulse wave measurement system, as a previous stage of the arterial pulse wave measurement system for running at outdoors or on a running machine, that measures arterial pulse waves at the temple, which is the least moving part when running. Thorough the continuous study, if the motion artifact when running is possible to be removed, the system will be able to perform monitoring of running men's states and especially emergency signals such as serious pulse waves of an/old and feeble persons and handicapped persons.

  • PDF

노인용 큰글자도서 개발을 위한 적정문자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Large Print for the Development of Books for the Elderly)

  • 육근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71-192
    • /
    • 2009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큰글자도서는 저시력자를 위한 교재가 전부였다. 하지만 최근 독서문화진흥법에서 노령화에 인해 독서자료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도 독서장애인이라고 정의한만큼 향후 노인을 위한 큰글자도서가 더 많이 보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용 큰글자도서 개발을 위한 적정문자를 밝히고자 8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하였다. 연구 목적으로 문자 모양과, 문자 크기, 문자의 행간, 도서의 판형 등에 대한 선호도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으로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참여관찰 등을 통한 질적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무 자동화 보조 장치 개발 (A Development of the Business processing unit for visually-handicapped persons)

  • 김송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41-147
    • /
    • 2012
  • 시각장애인들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정보소외 계층이다. 이들을 사무직종에 취업시키기 위해서는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사무자동화 기술의 개발이 필요 하다. 사무 처리에 필요한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통합솔루션을 개발함으로써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VI 05를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VI 05는 사무 처리에 필요한 통합 솔루션으로 화면확대, 문자를 포함한 화면상의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시켜주는 기능, 정밀을 요구하는 작업을 예약 처리하여 그 처리 과정을 단순화 시켜는 기능 등 사무처리 과정에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백화점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in the Department Store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 김정현;민찬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호
    • /
    • pp.33-41
    • /
    • 1999
  • If the architecture will made the focus of real user for convenience, it must be the real user, which is the multiple specified persons, more over, the most disadvantages side person will be considered that would be the convenient architecture for all. This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has been started the latest 1950's, in USA, Sweden, Canada has considered to the disabled person i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t 1960's. In case of our country, after 1988's handicapped Olympics, the induction of universal design is started to adapt in the era of architecture. Nowadays, in the group of study, their research, presentation increasing the example, which is carried out the enthusiasm of legislatiov. But we are much as far behind the senior nation, in regard to the lack of the vouluntary participating as the professional.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incipl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from the department store, which is the convenient facilities, present the usable checklist in time of induction of Universal desigv.

  • PDF

RFID를 활용한 길안내 서비스의 경제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Economical Efficiency for the Travel Aids Service through RFID)

  • 장영순;서종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9-126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n economic analysis for the travel aids service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s throug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is research estimates both cost and economic effect of the service.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technique, three kinds of repercussion effects - domestic production, value added, and workers induced by the travel aids service - are also calculated. To evaluate the profitability of the service, we investigate the procedures through which the service has an effect on the interested parties and develop formulas describing the procedures. The benefit of the service have been generally obtained by measuring the willingness to pay (WTP). This paper, however, obtains the monetary value of benefit by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the formulas, so that a close improvement of the service may be possible with the result of the economic analysis.

사용자 친화적인 동적 키보드 (A User Friendly Dynamic Keyboard)

  • 양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53-25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친화적이면서 좁은 영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키보드를 제안한다. 기존의 키보드는 문자의 배열 형태나 사용 방식은 다르지만 대부분 키를 나열한 다음 선택하도록하는 방식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키보드 내용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보 입력장치인 Dynamic Keyboard(DynaKey)를 설계한다. Dynakey는 정확한 위치 선택이 어려운 장애인이나 화면이 작은 이동기기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정보입력장치이다.

Route Selection of the Welfare-type Community Bus in Nagasaki City

  • Yugeta, Shouhei;Watanabe, Kohei;Gotoh, Keinosuk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31-533
    • /
    • 2003
  •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the future trend of the community bus and attempted to route selection by using GIS for the welfare-type community bus, which satisfies the need of elderly and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in Nagasaki City. In doing so, we have conducted field survey in some sample cities of Kyushu, Japan for taking lessons from the present state analysis of community bus already operating ther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have been able to identify some best possible routes for the community bus operation in Nagasaki City, which meets the requirement of the welfare community as well as of the general passengers.

  • PDF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객체화된 신체의식(OBC)에 미치는 융합 연구 (Fusion research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leisure sports physically disabled persons o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OBC))

  • 김동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47-254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인들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은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론으로는 첫째,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별(남성), 연령별(40대, 50대), 장애등급별(4급)에 따른 객체화된 신체의식 수준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운동기간, 운동시간, 운동강도)는 객체화된 신체의식의 신체 수치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신체 감시성에서는 운동기간, 신체수치심에서는 운동강도, 통제신념에서는 운동시간이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외래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for Handicapped Patients in Day Care Units: 2 Years' Exper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박창주;염광원;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6
    • /
    • 2002
  • 연구배경: 장애인의 치과치료는 일반인의 치과치료와는 달리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 환자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는 치과마취과를 중심으로 임상 각과가 협진하여 외래마취 기반 하에 1999년부터 장애인 진료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의 치료방법을 소개하고 그 동안 치료받은 장애인 환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마취과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치료받은 총 54명의 장애인 환자들의 치료기록지와 마취, 그리고 회복실 기록지를 검토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전신질환, 수술 전 시행된 검사, 치료에 참여한 협진과, 마취 유도제와 유지제, 총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 그리고 회복실에서 관찰된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58건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한 건의 의식진정 법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신마취 하에서 치과치료가 시행되었다.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sodium, 근이완제는 vecuronium과 succinylcholin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마취 유지를 위해서는 enflurane과 isoflurane의 흡입마취제를 이용하거나 TCI를 이용한 propofol 지속정주를 이용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은 $160.2{\pm}55.5$분이었으며 회복실에서의 체류시간은 $132.8{\pm}50.1$분, 그리고 완전한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병동에 단기 입원시킨 소아환자에서는 $58.7{\pm}16.8$분이었다. 회복실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지속적인 감시를 위하여 4명의 환자가 입원을 권유받았으나 특별한 합병증 없이 다음 날 퇴원하였다. 결론: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 진료실은 외래마취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보다 긴 마취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별다른 합병증 없이 일회 방문으로 장애인 환자들에게 필요한 치과치료를 모두 제공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