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on Awareness of Rights, Empowerment, and Resilienc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20.11.16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i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using parallax design before and after the non-equality control group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on the awareness of rights, empowerment, and resilience of mentally disabled people.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wareness of the rights of the handicapped compared to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erms of empower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resilience,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ub-areas of resilience, excluding spirituality, difficulty overcoming, self-competence, learning and self-financing, basic functions, overall life satisfaction, new potential, advocacy and fullness all significantly increased. I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he disabled.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is effective for awareness of rights and resilience is not a one-way education, but a participatory curriculum in which a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finds and corrects the wrong news and creates a card news again. It seems to be because it di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mental health guardian program ha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recognition of the rights of the mentally impaired and enhancing resilience.

본 연구는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 임파워먼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비동등성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9년 9월 2일부터 12월 9일까지 K시 소재한 정신과 병원의 재활센터와 정신사회복지시설의 정신재활센터에 등록한 회원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은 참여하지 않은 정신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의 권리인식과 회복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파워먼트에 있어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권리인식과 회복력에 효과적인 이유는 일방향적 교육이 아닌 프로그램에 참가한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잘못된 뉴스를 찾아보고 수정해서 다시 카드뉴스를 제작해 보는 당사자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귄리인식을 증진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Mental health and welfare.
  2. Kim C. J.(2017). Existing inpatients should be discharged 50%. New National Mental Health Act enforcement, January 31.
  3. Lee U. H.(2017). Measures for the derivation of mental health patients and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by revising the Mental Health Act. Issues & Diagnosis. Kyonggi Research Institute; May. 24: 279.
  4. 안성훈, 정진경(2018). 정신질환자 범죄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지역사회 내 관리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2 (1-25): 251.
  5. 김성완, 윤진상, 이무석, 이형영(2000). 최근 일간지에 보도된 정신병에 대한 기사 분석. 신경정신의학. 39(5): 838-848.
  6. 국가인권위원회(2012). 정신장애인 차별.편견 해소를 위한 실태조사.
  7. Marianne F., Cheryl G., William A.,& Judi C.(2005). Implementing recovery oriented evidence based programs: Identifying the critical dimension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2): 141-158.
  8. William A.(2000). A recovery-oriented service system: Setting some system standard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24(2);159-168. https://doi.org/10.1037/h0095104
  9. Conger J. A., Kanungo R. N.(1988). The Empowering Process. Inter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 97-100.
  10. 강경순(2011). 정신정애인의 영적 안녕과 임파워먼트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최명민, 이기영, 엄태완(2006).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4; 94-124.
  12. 이소영, 이경희(2016). 간호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정신간호학회지. 25(4): 356-366.
  13. 심선영(2013).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정미영(2006). 정신질환에 대한 정신보건전문요원의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애경(2007). 정신과 보호사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부자(2004). 정신과 간호사, 비정신과 간호사간의 정신질환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정정임(2019). 일 지역주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및 정신보건사업 요구도 조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경희(2020). 청년기 정신장애인의 교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당사자가 인식한 내적, 외적 자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권신혜(2001).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의 권리에 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연구: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논문.
  20. Rogers, E. S., Canberlin, J. Ellison, M.L. & Crean, T.(1997). A consumer constructed scale to measure empowerment among users of mental health services, Psyciatric Services, 48(8); 1042-1047. https://doi.org/10.1176/ps.48.8.1042
  21. 김은영(2001). 사회적 지지가 빈곤가정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송경옥(2010). 한국어판정신건강 회복척도(MHRM-K)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154-188.
  23. 김경미(2016). 정신질환자 권리에 한 정신보건 종사자의 인식과 보장에 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김민, 이근희(2020). 정신장애인 회복에 초점을 둔 당사자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1(6); 256-265. https://doi.org/10.5762/KAIS.2020.21.6.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