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CG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35초

Alpha-hCG 측정을 위한 섬광 근접 측정법 (Scintillation Proximity Assay)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cintillation Proximity Assay for the mesurement of alpha-hCG)

  • 최태현;임상무;최창운;정위섭;임수정;이수진;이태섭;오옥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3-139
    • /
    • 2002
  • 목적: 섬광 근접측정법은 항원 항체 반응 후 결합 분획과 유리분획을 분리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이러한 원리를 검체 내 hCG와 항 ${\alpha}$ hCG 항체간의 항원 항체 반응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항 ${\alpha}$ hCG 항체를 biotin과 결합시켜 SPA bead에 부착된 streptavidin과 부착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 측정법은 항 ${\alpha}$ hCG 항체가 부착된 SPA beads에 대해 혈청내 hCG와 표지항원인 $[^{125}I]hCG$간의 경쟁 반응을 기본 원리로 이용하였다. Biotin 표지 항 ${\alpha}$ hCG 항체를 $[^{125}I]hCG\;100{\mu}{\ell}$와 표준용액이나 환자 혈청 $200{\mu}{\ell}$이 들어있는 실온에서 20분 방치하였다. 그리고 streptavidin이 붙은 SPA beads $20{\mu}{\ell}$를 바이알에 넣고 10분 더 방치한다. 환자 혈청의 수치를 표준 응답곡선을 통해 계산하였다. 결과: SPA측정법에 사용되는 방사성 핵종의 방사능 양에 따라 반응용액 속에서 SPA bead와 자유 방사성 핵종에 의한 배후 방사능이 측정값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SPA 방법을 응용한 측정에서 적합한 표준 응답곡선을 얻었고, 실제 환자혈청에서의 hCG 농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실험을 통해 SPA 방법을 이용한 측정법이 임상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토의 수정란이식에 관한 연구 I. PMSG와 HCG투여에 따른 난소반응 (Studies on Embryo Transfer in Rabbit I. Ovarian response to PMSG and hCG administration)

  • 양부근;남상헌;고광두;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18
    • /
    • 1983
  • As a preliminary experiment to establish the process of embryo transfer in rabbit, present sutdies were carried out with 75 mature Japanese of ovary to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PMSG)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and collection rate of embryos at various times after hCG injection. Female rabbits were superovulated using 50∼100IU hCG or 75∼100IU PMSG and 50∼751IU hCG injected 83hrs apar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umber of growth follicles obtained from all of rabbits treated with hCG or PMSG-hCG was 28.1. PMSG-hCG treatment group (30.9) was clearly increased more than hCG treatment group (16.7). 2. In ovulation score, PMSG-hCG treatment group (21.0) was increased more than hCG treatment group (7.9), showing the same trends in the growth of follicles. 3. The ovulation rate per follicles developed was higher in the rabbits treated with 100 IU PMSG and 75 IU hCG (18.9%) than that from the other groups. 4. The oviduct score (72.9%) was inclined to higher than that from uteri (57.1%) in score of embryo collection.

  • PDF

양전하와 음전하를 띄며 pH 감응성인 카본나노튜브-콜라젠 Hydrogel의 합성 (Preparation of Positively and Negatively Charged Carbon Nanotube-Collagen Hydrogels with pH Sensitive Characteristic)

  • 서재원;신원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87-193
    • /
    • 2016
  • 다양한 pH 환경에서 감응 할 수 있는 CNTs/Collagen Hydrogel들을 양이온성 CNT인 CNT-NH2와 그리고 음이온성 CNT인 CNT-COOH를 Collagen(CG)과의 접목을 통하여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Hydrogel들을 합성하는데 성공하였다. 구체적으로 pH 4에서 크게 Swelling되는 양이온성 CNT-NH2/CG Hydrogel과 pH 10에서 크게 Swelling되는 음이온성 CNT-COOH/CG Hydrogel들을 합성하였다. pH 4~10 범위에서의 제타전위 값 측정을 통해 사용된 CNT(CNT-NH2와 CNT-COOH)들, CG, 합성된 CNT-NH2/CG Hydrogel 및 CNT-COOH/CG Hydrogel들의 표면전하 값 변화를 추적하였다. 서로 다른 pH 조건에서 Swelling 변화 실험을 통해 CG의 Fibril사이 공극 변화를 예측해 약물 방출 가능성을 체크하였다. 양전하성 CNT-NH2/CG Hydrogel의 경우 pH 4에서 가장 높은 Swelling(pH 7 대비 5% 상승)을 보였으며, 반대로 음전하성 CNT-COOH/CG Hydrogel의 경우에는 pH 10에서 가장 높은 Swelling(pH 7 대비 10% 상승)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 한 pH 감응성 Hydrogel들이 산성(pH ~2의 위장) 또는 알칼리성(pH ~9의 소장)에서 특이적으로 확장된 다공성 구조를 통해 약물을 쉽게 방출 할 수 있는 pH 감응성 약물전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EIA로 측정한 혈청 ${\beta}$-hCG치의 자궁외 임신에 대한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 of Serum Beta-hCG Measured by EIA in Suspected Ectopic Pregnancy)

  • 박윤기;김종욱;이태형;박완석;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21-227
    • /
    • 1985
  • 1984년 1월 l일부터 1985년 10월 30일까지 22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자궁외 임신 진단하에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중, 수술전에 ${\beta}$-hCG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해 혈청 hCG 치가 측정된 34예의 최종진단 및 수술소견과 뇨 임신반응 검사의 판정결과를 중심으로 혈청 hCG 농도를 비교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8예의 난관임신 전예와 계류유산을 동반한 황체파열 1예의 혈청 hCG 농도는 59 mIU/ml 이상이었으며, 나머지 황체파열 4예와 자궁부속기 농양 l예의 혈청 hCG 농도는 6.6 mIU/ml 이하이었다. 2. 난관임신 28예의 혈청 hCG 농도의 분포범위는 59~21, 980 mIU/ml로 22예(78.6%)에서 3,000 mIU/ml 이하의 혈청 hCG 치를 보였으며, 100 mIU/ml 이하의 저농도는 4예(14.3%), 6,500 mIU/ml 이상의 고농도는 6예 (21.4%)에서 관찰되었다. 3. 난관임신 28예중 복강내 유리혈액이 500ml 이하인 12예와 500ml 이상인 16예의 평균 혈청 hCG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4. 파열형 난관임신 15예의 평균 혈청 hCG농도는 비파열형 난관임신 13예의 평균 혈청 hCG 농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으나 (P<0.01), 각각의 분포범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5. 뇨 임신반응 검사의 자궁외 임신에 대한 양성율은 64%(16/25)이었으며, 가음성을 보인 9예의 평균 혈청 hCG 농도와 분포범위는 353mIU/ml와 59~933 mIU/ml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보아 뇨 임신반응 검사는 근래 감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궁외 임신에 대한 진단적 가치의 증대는 없었으며, ${\beta}$-hCG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한 단일 혈청 hCG치는 자궁외 임신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복강 및 골반질환군에서 자궁외 임신의 진단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서 자궁외 임신을 조기에 진단할 수는 있으나, 정상 초기임신 및 유산과의 감별진단이나 혈청 hCG 치에 따른 자궁외 임신의 평가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보다 정확한 진단 및 평가를 위해서는 근래 널리 이용되고 있는 초음파 진단을 병행하고 혈청 hCG 치를 연속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우 수란우의 임신율에 대한 hCG 영향과 혈장 요소태질소 수준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Plasma Urea Nitrogen Level and Influence of hCG on Pregnancy Rates in Hanwoo Recipients)

  • 박수봉;임석기;우제석;김일화;최선호;이장희;김인철;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5-120
    • /
    • 200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hypothesis the hypothesis that treatment with hCG (5,000 IU) at the time of embryo transfer would enhance pregnancy rates in recipi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urea nitrogen(PUN) in recipients was related to the effect of hCG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samples were taken according to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e assessment of the endogenous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plasma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in plasma were higher in cows treated with hCG on day 7(estrus=day 0) than in those untreated during 7∼43 days after insemination. The pregnancy rates were 65.5 and 54.6% for the hCG treated and untreated groups, respectively. In recipient group categorized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이, the pregnancy rates were 68.8 and 46.7% for the hCG treated and untreated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hCG treatment at 7 days after insemination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and transfer, and only the recipients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dl were influenced by treatment with hCG.

  • PDF

배지 및 첨가호르몬이 돼지난포란의 체외발생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dia and Hormone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박병권;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9-24
    • /
    • 1999
  • 본 실험은 배지 및 호르몬이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 및 체외발생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기본 배지는 TCM-199, Waymouth MB751/1 및 BMOC-II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배지에 첨가된 호르몬은 hCG와 FSH를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CM-199을 기본배양액으로 하여 돼지난포란을 체외배양하였을 때, 체외성숙률은 배양액내에 hCG 단독첨가의 경우가 78.05%, FSH 단독첨가에서 72.50%, hCG와 FSH의 병용첨가의 경우가 67.50%로서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54.29%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수정후 같은 배지조건하에서 난할률은 호르몬 첨가의 경우(hCG 46.88%, FSH 31.04%, hCG+FSH 37.04%)가 무첨가구(89.47%)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2. Waymouth MB751/1을 배양액으로 하여 체외배양하였을 때, 체외성숙률은 배양액내에 hCG가 71.43%, hCG+FSH 병용첨가의 경우가 80.00%로서 호르몬을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25.64%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그러나, 난할률은 호르몬 첨가의 경우(hCG 46.67%, FSH 36.00%, hCG+FSH 35.71%)가 무첨가구(60.00%)에 비하여 낮은 성적을 나타냈다. 3. BMOC-II를 기본배양액으로 하여 체외배양 하였을 때, 체외성숙률은 배양액내에 hCG 단독첨가 66.7%, FSH 단독첨가 91.89%, hCG+FSH 병용첨가 81.82% 및 무첨가구 66.67%로 각각 나타나서 FSH 단독첨가의 경우가 가장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또한, 난할률은 hCG 단독첨가 79.17%, FSH 단독첨가 50.00%, hCG_FSH 병용첨가 66.67% 및 무첨가 81.82%로 각각 나타났다.

  • PDF

한우 미경산우에 있어서 인공수정 및 복제수정란 이식시 hCG 투여에 의한 수태율 향상 (Effects of hCG Administration on AI or Cloned Embryo Transfer of Korean Native Heifers)

  • 최선호;성환후;장유민;최재혁;임기순;양병철;연성흠;이장희;류일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4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미경산우에 인공수정 7일째와 복제수정란 이식시 hCG를 투여에 의해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인공수정 후 임신 60일째에 임신감정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 CIDR 그리고 hCG를 투여한 결과 53%, 46%, 71%였으며,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복제수정 란의 이식시 hCG를 투여한 결과 대조구, hCG투여구는 각각 5.8%, 10.4%를 나타냈으며,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인공수정 7일째에 hCG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의 발정일부터 발정 28일까지의 혈중 P4농도는 발정초기에는 처리구 모두 약간의 상승을 나타냈으며, 임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시기인 발정 13~16 일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hCG투여구가 3배 이상 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CIDR처리 임신우에 비교 하여도 약 B배 이상의 P4농도를 나타내었다. 그 이 후에도 P4의 농도는 2~3배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임신을 위하여 안정된 P4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인공수정 7일째 hCG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의 IGF-I 및 IGF-II의 혈중호르몬 농도는 IGF-I은 임신.비임신 그리고 hOG 및 CIDBt의 처리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GF-II는 CIDR(E2 capsule 제거) 처리구에서 임신이 비임신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hCG 투여구에서는 임신과 비임신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공수정 7일째에 hCG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의 발정일로부터 28일째까지의 혈중 cortisol 농도 는 발정당일과 발정 16일째의 임신한 미경산우에 서는 다른 발정주기일보다는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임신CIDR의 경우가 비임신보다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hCG를 투여한 것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공수정 및 복제수정란의 이식시 hCG 1,5001u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는 임신유지를 위한 혈중 P4의 농도를 상승시키며 수태율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GF와 cortisol은 hCG 투여가 초기 임신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및 난포 자극호르몬 수용체의 293세포에서 기능적으로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Lutropin/Choriogonadotropin and Follitropin Receptor cDNAs in 293 Cells)

  • Min, K.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7-352
    • /
    • 1999
  • 1. 유전자 재 조합 호르몬 (eCG IPMSG, hCG 및 hFSH)의 활성체크 및 세포내 signal transduction에 관한 기초연구를 위하여 rat의 융모성 성선자극 호르몬 수용체 (LH/CGR) 및 난포 자극호르몬 수용체 (FSHR)를 이미 보고되어진 염기배열에 의하여 PCR 방법으로 크로닝 하여, human embryonic kidney 유래의 293 세포에 transfection 하여 세포 표면에 LH/CGR와 FSHR를 발현하는 cell lines을 분리하였다. 2. hCG와 FSH의 signal을 전달하는 능력은 hCG와 FSH 또는 eCG의 농도증가에 따라 이들 수용체로 하여금 세포내의 cAMP 분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transfection 되어진 이들 수용체를 발현하는 수용체의 대부분은 ligand binding 기능올 가지고, cAMP 반응에 의한 생리활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유전자 재조합당 단백질 호르몬 (eCG, hCG 및 hFSH)의 signal transduction, 구조 및 기능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hCG 투여가 복제란 이식 한우 대리모의 임신과 Progestero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CG Treatment on the Pregnancy Rates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Hanwoo Recipients with SCNT Embryos)

  • 황성수;양병철;임기순;고응규;최선호;민관식;윤종택;성환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7-181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CG treatment on pregnancy and delivery rates in the Hanwoo recipient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pregnancy and delivery rates in the recipients treated with hCG at 7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p<0.05), respectively. The SCNT embryos from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were transferred into the synchronized recipients. The recipients were administered saline (n=89) or hCG (1,500 IU) (n=48) at 7 days after heat,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cipients treated with hCG compared to that of saline treated group (p<0.01), however, the delivery rate was not different in both treated groups. The concentration of plasma progesterone (P4)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s before hCG treatment, but the P4 lev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hCG treated group after hCG injection (p<0.05). Although the pregnancy rate was very high in early stage of pregnancy, it was decreased dramatically after 50 days of pregnancy and maintained basal level. Taken together, the treatment of hCG in the SCNT recipients after day 7 of heat was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P4 concentration an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But it did not affect directly to delivery.

hCG가 TeBG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CG on TeBG)

  • 성호경;김우겸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4권1호
    • /
    • pp.7-13
    • /
    • 1980
  • In the previous experiment, authors have shown that during the latter half of estrous cycle there was an increase in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the rats stimulated with hCG. To determine the physiologic significance of elevated plasma testosterone, changes of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eBG and testosterone following hCG stimulation were analyzed in the rats having a regular 5 day cycle.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the rats stimulated with single hCG on the day of proestrus and stimulated with hCG throughout the entire cycl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once a day for an estrous cycle and analyzed for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using ammonium sulphate precipitation method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by means of radioimmunoassay. Followings were the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in peripheral blood during the estrous cycle of the control rats. 2) No cyclic variation in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was observed in the rats stimulated with single hCG on proestrus. although the levels tended to be higher in the rats with stimulation than in the control rats. 3) Continual stimulation of hCG produced a marked increase in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especially on the day of metaestrus. 4) The changes in the plasma level of testosterone followed the same basic pattern seen in the TeBG binding capacity. 5) From abov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a. hCG related increase of the binding capacity of TeBG is probably secondary to a modest increase in estrogen as well. b. hCG related increase of plasma testosterone in female rats is not entirely due to excess production rather in part due to decreased metabolism induced by the rise in TeBG. c. It seems likely that most of elevated testosterone shown in the rat stimulated with hCG is bound to TeBG and only small portion is unbound form which influence cellular activity. It is rather possible that an increase in TeBG could augment estrogen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