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ta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5초

LED를 이용한 기타운지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uitar Fingering using LED)

  • 박용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49-85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기타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운지법을 쉽게 가르쳐 주기 위해 LED를 기타 플랫보드에 부착하고, 기타에 부착된 LED를 구동하기 위해 ATmega 128과 연동할 수 있는 LED 제어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플랫보드는 ATmega128과 연결되어 Zigbee 통신방법으로 연결하였다. 기타운지법이 프로그램 된 UI를 개발하여 초보자들이 쉽게 코드 및 연주를 배울 수 있는 LED를 이용한 기타운지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러그인 가상악기 SI-Bass Guitar의 접근성 평가 연구 (A Study of the Accessibility Evaluation of the SI-Bass Guitar)

  • 석용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495-500
    • /
    • 2024
  • 본 연구는, 플러그인 가상악기의 접근성 평가 연구의 후속 연구로, 플러그인 가상악기 SI-Bass Guitar의 접근성을 평가하고 접근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센스리더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이 SI-Bass Guitar를 사용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가상악기 에디팅하기] 업무를 키보드만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본 접근성과 Cakewalk 단축키 등록 기능, MIDI 기능, 센스리더 기능을 활용한 확장된 접근성이 평가되었고, 업무수행을 위한 작업 방법이 모색되었다. 접근성 평가결과, SI-Bass Guitar는 기본 접근성이 없어, 센스리더의 마우스&위치기억 기능을 사용해야만 [가상악기 에디팅하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이 SI-Bass Guitar를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었고, 접근성 확보를 위한 몇가지 방안이 제안되었다.

ATmega 128을 이용한 기타 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guitar teaching Program using the ATmega 128)

  • 박용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001-6005
    • /
    • 2012
  • 기타를 쉽고 즐겁게 배우려고 하지만 비용적인 부분, 학습자의 능률, 교사 지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제약이 발생함으로 배우기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기타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기타를 배울 때 가장 어려워하는 운지법을 쉽게 학습하기 위해 PC에서 동작되는 기타 학습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 MF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타의 운지법에 대한 기타 학습 프로그램용 UI(User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기타음향 입력 장치 및 분석용 Data Base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nd Input Device and Data Base Configuration for Guitar Manufacturing))

  • 정병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8호
    • /
    • pp.1063-1072
    • /
    • 2002
  • 기타는 내부 구조와 재질에 따라, 기타 음의 특성이 달라진다. 개발된 장치는 기타 내부 구조와 재질의 변동에 따른 기타 음의 분석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data base화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시스템의 구성은, 기타 내부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기구부와, 다 채널의 음향 입력을 A/D 변환하여 DSP 보드에서 처리 한 후 RS232C를 통하여 PC 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음량를 수집할 수 있는 입력 장치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data base화 하여 쉽게 조회 및 분석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 PDF

기타의 형상에 따른 구조해석을 통한 융합 기술연구 (Study on Convergence Techniqu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Guitar)

  • 이정호;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14
    • /
    • 2015
  • 본 논문은 기타의 목 부분의 형상에 따라 가해지는 힘에 의한 휘어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기타를 보강하여 실제 사용 시, 하중에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기타에 적용되는 목재의 물성치를 연구모델에 적용하고 모델링 한 후,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를 사용하여 기존의 기타의 문제로 지적되어온 휨과 파손에 대한 기반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보강 할 수 있는 디자인을 연구하여 그 기타를 개선하고자 한다. 개선된 연구모델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설계에 응용한다면 휨과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자인 면에서의 융합기술로의 접목도 가능하며 미적인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스마트폰을 위한 음악 어플리케이션 개발 (Music Applications Programing for Smart-phone)

  • 윤여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46-49
    • /
    • 2011
  • 획기적인 아이디어나 상품 개발은 인간 생활 방식을 혁명적으로 바꾸기도 하고 다양한 상품과 결합하여 보다 빠르게 진화하기도 한다. 불과 몇 년 전에 개발된 스마트폰은 기존의 전화 기능에 게임, 음악, 인터넷 등 컴퓨터의 기능이 탑재되어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아이템이 되었다. 필자가 개발한 First Guitar로 명명된 스마트폰용 기타 어플리케이션 (Guitar Application)은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여타 프로그램과 달리, 실제 기타 연주의 느낌을 구현하고자 개발되었다. 본 논문은 First Guitar 개발 과정에서 논의하고 고려했던 다양한 기능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에 대한 연구이다.

  • PDF

인공신경망 기반의 기타 코드 분류 시스템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Guitar Chords Classification System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박선배;유도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91-399
    • /
    • 2018
  • In this paper, we construct and compare various guitar chord classification systems using perceptron neural network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ithout pre-processing other than Fourier transform to identify the optimal chord classification system. Conventional guitar chord classification schemes use, for better feature extraction, computationally demanding pre-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stochastic analysis employing a hidden markov model or an acoustic data filtering and hence are burdensome for real-time chord classifications. For this reason, we construct various perceptron neural network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hat use only Fourier tranform for data pre-processing and compare them with dataset obtained by playing an electric guitar. According to our comparis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provide optimal performance considering both chord classification acurracy and fast processing time. In particula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exhibit robust performance even when only small fraction of low frequency components of the data are used.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전기 어쿠스틱 기타의 음질향상 (Improvement of Sound Quality for an Electro-Acoustic Guitar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이재민;박영우;임경빈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7-860
    • /
    • 2005
  • A guitar pickup transforms the vibration of strings to the electric signals, and deliveres them to an amplifier. A piezo pickup has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strings. The paper aims to improve sound quality for an electro-acoustic guitar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irstly the conventional pickup is modeled and analyzed with a commercial program called ANSYS. It is obvious that there exists interference between the strings. The structural modification of the pickup is performed, based on the beam theory The modified structures are suggested, modeled and analyzed. Then the result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ventional pickup.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ferences with the modified structures are much less than those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 PDF

일렉트릭 기타 특징에 관한 연구 -Fender Stratocaster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ectric Guitar -focusing on Fender Stratocaster-)

  • 정세응;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26-432
    • /
    • 2020
  • 20세기 이후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한 음악은 이전 시대에서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대중들의 삶과 음악이 서로 함께하는 시대로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을 바탕으로 기존 문화에서 철저히 소외되었던 10대들의 음악이 주류로 진입한 사건인 록큰롤의 탄생과 그 배경에는 기타, 그 중에서도 솔리드 바디 일렉트릭 기타의 출현과 그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일렉트릭 기타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펜더 스트라토케스터는 록큰롤을 위시한 대중음악의 역사와 함께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재까지도 많은 추종자와 세대를 아우르는 폭넓은 지지를 받는 막강한 영향력은 대중음악의 역사적 흐름과 일렉트릭 기타의 위상에 있어서도 현재까지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가교 역할을 했다. 또한 대중음악과 미디어의 비약적인 발전 속에서도 언제나 현재진행형으로 도구를 넘어 시대와 함께 하는 생명력에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펜더 스트라토케스터의 특징과 흔적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기타 음 합성을 위한 최적의 SIMD기반 매니코어 프로세서 구현 (Implementation of an Optimal SIMD-based Many-core Processor for Sound Synthesis of Guitar)

  • 최지원;강명수;김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2
  • 프로세서는 더 이상 동작 주파수를 높이는 방법이 아닌 다수의 프로세서를 집적하는 멀티프로세서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2, 4, 8개의 프로세서 코어를 넘어 64, 128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집적한 대규모 데이터 처리용 고성능 프로세서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타의 음 합성을 위한 최적의 매니코어 프로세서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하나의 기타 현에 하나의 프로세싱 엘리먼트(processing element, PE)를 할당하여 음을 합성하였으나, 본 논문은 하나의 기타 현에 여러 개의 PE를 할당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시스템 성능, 시스템 면적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평가하였다. 샘플링율이 44.1kHz, 양자화 비트 16인 기타 음을 사용하여 모의 실험한 결과, 시스템 면적 효율은 PE 수가 24개, 에너지 효율은 PE 수가 96개일 때 각각 최적의 효율을 보였다. 또한, 최적의 매니코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합성한 결과 합성음은 원음과 스펙트럼에서 매우 유사하였다. 더불어, 음 합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TI TMS320C6416보다 시스템 면적에서 1,235배, 에너지 효율에서 22배의 향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