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ided surger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34초

갑상선 결절에 대한 세침 흡인 세포 검사와 중심부 바늘 생검의 비교: 수술 검체를 기반으로 한 전향적, 실험적 비교 연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vs. Core Needle Biopsy for Thyroid Nodules: A Prospective, Experimental Study Using Surgical Specimen)

  • 권혁;이잔디;홍순원;권형주;곽진영;윤정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645-657
    • /
    • 2022
  • 목적 수술 검체를 사용하여 동일한 갑상선 결절에 시행한 세침 흡인 세포검사와 중심부 바늘 생검의 진단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88명의 20 mm 이상 크기의 89개의 갑상선 결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평균 크기: 40.0 ± 15.3 mm). 갑상선이 적출된 후 검체에 초음파 보조하에 세침 흡인 검사와 중심부 바늘 생검을 차례대로 시행하였다. 세포 병리 검사 결과는 수술 병리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89개의 결절 중 30개는 악성, 59개는 양성이었다. 악성 결절에서 양성 결절보다 유의하게 비진단적 세침 흡인 검사 결과율이 높았다(80.0% vs. 39.0%, p < 0.001). 중심부 바늘 생검의 경우 양성과 악성 결절 사이에 결과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796). 크기가 40 mm 이상인 결절과(62.5% vs. 22.9%, p = 0.028) 초음파 소견과는 상관없이, 악성 결절에서 비진단적 세침 흡인 검사 결과율이 높았다. 30개의 갑상선암 중 11개(36.7%)가 중심부 바늘 생검으로 진단되었으나, 세침 흡인 검사에서는 진단된 검체가 없었다. 결론 수술 검체를 이용한 본 실험 연구에서, 중심부 바늘 생검은 갑상선암에 대한 진단적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방확대술 받은 수유 중인 여성에서 유축기를 사용한 뒤 발생한 유방 보형물 관련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모방 산후 젖낭종: 증례 보고 (Postpartum Galactocele in Augmented Breast after Using Breast Pump Mimicking Breast Implant-Associated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 Case Report)

  • 이가영;신기원;박영미;이안복;박하영;이유진;한지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570-1574
    • /
    • 2021
  • 산후에 발생하는 젖낭종은 수유 중인 여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양성 질환이다. 유선후층 지방층, 유방확대 보형물 주변에 생긴 젖낭종은 비교적 드문 형태이다. 34세의 출산 후 1달이 지난 여성은 2주 전부터 시작된 좌측 유방의 확대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출산 후 지속적으로 유축기를 사용해왔다. 좌측 유방은 초음파상에서 보형물 주변에서 관찰되는 고에코의 액체성분으로 관찰되었다.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으로 모유 성상의 액체가 배액되었다. 세포검사 결과에서 젖낭종을 시사하는 결정체들이 관찰되었다. 다양한 원인, 특히 유방 보형물 관련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으로 인해 보형물 주변에 액체가 관찰될 수 있다. 영상의학적 소견, 임상적 정보 그리고 세포학적인 분석들을 종합하여 적절한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alidation of CT-Based Risk Stratification System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 Yun Hwa Roh;Sae Rom Chung;Jung Hwan Baek;Young Jun Choi;Tae-Yon Sung;Dong Eun Song;Tae Y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1028-1037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computed tomography (CT) features for diagnosing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s (LNs)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DTC) and validate the CT-based risk stratification system suggested by the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K-TIRADS) guidelin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63 LNs from 399 patients with DTC who underwent preoperative CT staging and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were included. The following CT features for each LN were evaluated: absence of hilum, cystic changes, calcification, strong enhancement, and heterogeneous enhancemen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CT features associated with metastatic LNs, and their diagnostic performances were evaluated. LNs were classified into probably benign, indeterminate, and suspicious categories according to the K-TIRADS and the modified LN classification proposed in our study.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both classification systems was compared using the exact McNemar and Kosinski tests. Results: The absence of hilum (odds ratio [OR], 4.859; 95% confidence interval [CI], 1.593-14.823; P = 0.005), strong enhancement (OR, 28.755; 95% CI, 12.719-65.007; P < 0.001), and cystic changes (OR, 46.157; 95% CI, 5.07-420.234; P = 0.00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etastatic LNs. All LNs showing calcification were diagnosed as metastases. Heterogeneous enhance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metastatic LNs. Strong enhancement, calcification, and cystic changes showed moderate to high specificity (70.1%-100%)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91.8%-100%). The absence of the hilum showed high sensitivity (97.8%) but low specificity (34.0%). The modified LN classification, which excluded heterogeneous enhancement from the K-TIRADS, demonstrated higher specificity (70.1% vs. 62.9%, P = 0.016) and PPV (92.5% vs. 90.9%, P = 0.011) than the K-TIRADS. Conclusion: Excluding heterogeneous enhancement as a suspicious feature resulted in a higher specificity and PPV for diagnosing metastatic LNs than the K-TIRADS. Our research results may provide a basis for revising the LN classification in future guidelines.

Sonographic Diagnosis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and Comparison of European and Korean Guidelines for Stratifying the Risk of Malignant Lymph Node

  • Sae Rom Chung;Jung Hwan Baek;Yun Hwa Rho;Young Jun Choi;Tae-Yon Sung;Dong Eun Song;Tae Y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1호
    • /
    • pp.1102-1111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y (US) features for diagnosing metastasis in cervical lymph nodes (LN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and compare the US classification of risk of LN metastasis between European and Korean guidelin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US-guided fine-needle aspiration was performed on 836 LNs from 714 patients for the preoperative nodal staging of thyroid cancer. The US features of L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the following features: size, presence of hilum, margin, orientation, cystic change, punctate echogenic foci (PEF), large echogenic foci, eccentric cortical thickening, abnormal vascularity, and cortical hyperechogenicity.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dependent US features for the diagnosis of metastatic LNs.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independent US features was subsequently evaluated. LN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K-TIRADS) and European Thyroid Association (ETA) guidelin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ets of classifications was assessed. Results: Absence of the hilum, presence of cystic changes, PEF, abnormal vascularity, and cortical hyperechogenicity were independent US features of metastatic LNs. Cystic changes, PEF, abnormal vascularity, and cortical hyperechogenicity showed high specificity (86.8%-99.6%). The absence of the hilum had the highest sensitivity yet low specificity (66.4%). When L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TA guidelines and K-TIRADS, they yielded similar categorizations of malignancy risks and were strongly correlated (Spearman coefficient, 0.9766 [95% confidence interval, 0.973-0.979]). According to the ETA guidelines, 9.8% (82/836) of LNs were classified as "not specified." Conclusion: Absence of hilum, cystic changes, PEF, abnormal vascularity, and cortical hyperechogenicity were independent US features suggestive of metastatic LNs in thyroid cancer. Both K-TIRADS and the ETA guidelines provided similar risk stratification for metastatic LNs with a high correlation; however, the ETA guidelines failed to classify 9.8% of LNs into a specific risk stratum. These results may provide a basis for revising LN classification in future guidelines.

양측성 단일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하악 임플 란트 보조 국소의치 수복 증례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bilateral single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a case report)

  • 최서준;문홍석;김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6-156
    • /
    • 2024
  •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의 치료는 오래전부터 여러 형태로 시도되어 왔으며, 이 중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 국소의치의 경우 점차 예지성을 얻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해부학적으로 불리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한 가지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는 치료 목적에 따라 전방 식립과 후방 식립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치조제, 잔존치 예후, 대합치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Kennedy 1급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두 개의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활용한 하악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를 통해 수복하였다. 본 환자에게 후방 식립이 어렵다는 점과 잔존치의 예후를 고려하여 임플란트를 잔존치에 근접한 부위에 두 개를 식립하는 것이 계획되었으며, 가이드 수술을 통해 계획한 위치, 각도, 깊이에 식립되었다. 고정성 보철물 제작 과정은 상악 무치악 치아 배열 과정과 병행하여 예지성을 높였고, 국소의치를 제작 시에는 임플란트가 최후방 지대치로서 과도한 하중이 가하지 않도록 기능 운동을 허용하는 형태로 디자인되고, 이차 인상 과정을 거쳐 제작되었다. 각 치료 과정을 계획한대로 진행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겨드랑이 부유방 조직에서 발생한 원발성 유방암: 증례 보고 (Primary Invasive Ductal Carcinoma Arising in Axillary Accessory Breast: A Case Report)

  • 박서영;이지연;박지영;김갑철;박종민;차중근;김혜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421-427
    • /
    • 2024
  • 이소성 유방조직은 겨드랑이에서 사타구니 선까지 유방 능선을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부위는 겨드랑이이다. 이소성 유방조직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암종은 극히 드물다. 왼쪽 겨드랑이에 부유방조직을 절제한 병력이 있는 61세 여성이 왼쪽 겨드랑이에 만져지는 종괴로 내원하였고 종괴의 평가를 위해 액와미부 촬영을 포함한 유방촬영술, 초음파 및 유방 MRI를 시행하였으며 특히 액와미부 촬영으로 왼쪽 겨드랑이의 특징적인 악성미세석화화의 양상과 범위를 평가하였다. 초음파 유도하 생검술을 통해 이 병변은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되었고 조영증강 복부 CT에서 다발성 간전이가 확인되어 환자는 이후 고식적 항암요법을 받았다. 저자들은 겨드랑이 부유방 조직에서 발생한 드문 원발성 유방암에 대해 액와미부 촬영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흡수성 차폐막에 접목된 두개관골세포의 골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varial Cell Inoculated Onto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on the Bone Regeneration)

  • 유부영;이만섭;권영혁;박준봉;허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483-509
    • /
    • 1999
  •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guided bone regeneration capacity on the animal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ltured calvarial cell inoculated on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for the regeneration of the artificial bone defect. In this experiment 35 Sprague-Dawley male rats(mean BW 150gm) were used. 30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In group I, defects were covered periosteum without membrane. In group II, defects were repaired using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In group III, the defects were repaired using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seeded with cultured calvarial cell. Every surgical procedure were performed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by using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Pentobarbital sodium(30mg/Kg). After anesthesia, 5 rat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to obtain the calvaria for bone cell culture. Calvarial cells were cultured with 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 contain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under the conventional conditions. The number of cell inoculated on the membrane were $1{\times}10^6$ Cells/ml. The membrane were inserted on the artificial bone defect after 3 days of culture. A single 3-mm diameter full-thickness artificial calvarial defect was made in each animal by using with bone trephine drill. After the every surgical intervention of animal, all of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2, 3 weeks after surgery by using of perfusion technique. For obtaining histological section, tissues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0.1M cacodylate buffer, pH 7.2) and Karnovsky's fixative solution, and decalcified with 0.1M disodium ethylene diaminetetraacetate for 3 weeks. Tissue embeding was performed in paraffin and cut parallel to the surface of calvaria. Section in 7${\mu}m$ thickness of tissue was done and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ll the specimens were observed under the light microscop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 During the whole period of experiment, fibrous connective tissue was revealed at 1week after surgery which meant rapid soft tissue recovery. The healing rate of defected area into new bone formation of the test group was observed more rapid tendency than other two groups. 2 . The sequence of healing rate of bone defected area was as follows ; test group, positive control, negative control group. 3 . During the experiment, an osteoclastic cell around preexisted bone was not found. New bone formation was originated from the periphery of the remaing bone wall, and gradually extended into central portion of the bone defect. 4 .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was observed favorable biocompatibility during this experimental period without any other noticeable foreign body reaction. And mineralization in the newly formed osteoid tissue revealed relatively more rapid than other group since early stage of the healing process. Conclusively, the cultured bone cell inoculated onto the biodegradable barrier membrane may have an important role of regeneration of artificial bone defects of alveolar bone. This study thus demonstrates a tissue-engineering the approach to the repair of bone defects, which may have clinical applications in clinical fields of the dentistry including periodontics.

  • PDF

오구돌기하 충돌 증후군 유무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상완오구돌기 계측 (Ultrasound Measurement of Coracohumeral Distance in Patients with or without Subcoracoid Impingement)

  • 장석환;김상범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27
    • /
    • 2014
  • 목적: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전방 견관절 통증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까지 표준이 되는 영상학적 진단 기준이 없다. 본 연구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이 있는 환자군에서 상완-오구돌기간의 거리(CHD)가 좁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유무에 따른 상완-오구돌기간 거리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하 충돌증후군 환자 124명을 분석하였다. 이학적 검사 및 초음파를 이용한 오구돌기하 주사 검사를 통하여 확진 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의 환자군(n=28)을 견봉하 충돌증후군만 있는 군(n=96)과 비교하였다. 견관절의 강직이나, 회전근개 파열이 있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상완-오구돌기간의 절대적 거리는 초음파의 내회전과 중립위 자세 및 자기공명 횡단면 영상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내회전과 중립위의 상완-오구돌기간 거리의 차이와, 중립위의 상완-오구돌기간 절대적 거리와의 비율로 정의된 거리 차이의 상대적 비율(relative ratio of distance difference;RRDD)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중립위의 거리는 초음파 영상과 자기공명영상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고(p>0.05), 두 측정값의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초음파영상을 통해 측정한 두 군간의 중립위 거리 차이는 유의수준에 가까웠다(p=0.07). 상완의 위치에 따른 상완-오구돌기간 거리의 차이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하지만, RRDD 값은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p<0.05). 결론: 오구돌기하 충돌 증후군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상완-오구돌기간 거리 차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RRDD값은 오구돌기하 충돌 증후군 환자군에서 더 높았으며, 따라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이 있는 환자를 평가할 때 개인의 내회 전시 상완-오구돌기간 상대적 거리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PDF

조직검사를 시행한 소아 경부 종류의 임상적 고찰 : 단일 기관 연구 (Clinical Evaluation of Tissue Biopsy for Children with Neck Mass; A Single Center Study)

  • 윤유숙;윤혜원;김선영;설지영;송창준;김진만;박경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39-845
    • /
    • 2005
  • 목 적 : 소아에서 경부 종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데 대부분이 양성 경과를 보이며, 감염에 의한 염증성 반응인 경우가 많지만 선천성 낭종이나 악성 종양의 가능성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아들에서 그 원인과 임상 양상, 치료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경부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여 조직검사를 시행 받았던 환아 28례의 진료 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조직검사 방법을 세침 흡인생검술, 심부생검술, 절제생검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임상 양상 및 조직검사 결과와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조직검사를 받은 환아들은 총 28례로 남아가 14례(50%), 여아가 14례(50%)였고 종류의 위치로 구분하면 목빗근 뒷부위가 19례(67.9%)로 가장 많았다. 말초혈액 검사나 혈청학적 검사 등의 검사실 검사 상 특이할만한 의미 있는 소견은 없었다. 세침 흡인생검술과 심부생검술을 먼저 시행 받은 환아들은 25례(89.3%) 있었는데 반응성 증식인 경우가 10례(40%)로 가장 많았고 육아종성 염증상태가 8례(32%), 괴사성 염증을 보였던 환아들은 4례(16%), 화농성 병변을 보였던 경우가 3례(12%) 있었다. 처음부터 절제생검을 하였던 환아들은 3례(10.7%)로 선천성 이상에 의한 갑상설관 낭과 표피 낭종이 있었으며 1례는 림프아구성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 소아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경부 종류는 그 원인이 다양하지만 대부분 양성 경과를 보이며 세침 흡인생검술과 심부생검술은 전신 마취를 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조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치료적 절제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경부 종류의 조직을 얻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성견의 2급 치근 분지부 결손에서 자가골막 이식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 (The Use of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for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in the Dog)

  • 남승지;정현주;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41-257
    • /
    • 2000
  • 자가골막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자극할 수 있는 능력과 조직유도재생술의 이상적인 차폐막이 갖추어야 할 여러 조건들을 만족하고 있다. 치주조직의 재생 술식에 적용시 임상적으로 다른 차폐막을 사용한 정도의 치주낭 감소와 임상적인 부착증진을 얻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임상적인 긍정적인 결과가 치주조직의 재생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직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험은 성견의 하악 소구치에 2급 분지부 골결손을 형성하고 상악 견치의 협측 변연치은 정상 3 mm 하방에서 채취한 자가골막을 이식한 경우와 자가골막에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하였을 때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잡종 성 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모두 3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골결손부의 외과적 처치 후 치주판막으로 봉합한 군, 실험 I군은 골결손부에 외과적 처치 후 자가골막만 이식한 군, 실험 II군은 골결손부에 자가골막과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한 군으로 하였다. 희생은 각각 술후 2, 4, 12주에 시행하였고 광학 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적으로 잘 치유된 소견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시 2주째에 대조군은 상피의 근단이동이 심하였고 홈하방 부위에서만 골조직의 개조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자가골막을 이식한 실험 I, II군에서는 상피의 하방이동은 미약하였고 홈상방으로 많은 골양조직이 관찰되었다. 조직계측학적으로 상피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4주와 1 2주째에 큰 변화가 없었다. 치주조직의 신부착 양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1 2주에 4주보다 더 증가하였으며 실험 I, II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 I, II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식된 자가골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막이 주위조직과 생착되어 4주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식된 자가골막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차폐막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