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ugija(Lycium chinens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구기자를 첨가한 드레싱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essing made with gugija(Lycium chinense))

  • 양정수;김현아;송청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9-71
    • /
    • 2015
  • 본 연구는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한국 사람의 기호에 부합하는 마요네즈, 요거트, 이탈리아 드레싱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기자 추출물 10%, 15% 그리고 20%를 첨가하여 드레싱을 만들고 드레싱의 수분 함량, pH, 색, 점도,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은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당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드레싱의 pH는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드레싱의 명도는 대조군보다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졌다. 드레싱의 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마요네즈 드레싱은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MC3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요거트 드레싱도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YL3가 가장 선호되었다. 이탈리아 드레싱도 구기자 추출물이 20% 첨가된 GL3가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드레싱에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드레싱의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선호됨을 알 수 있었고 한약재가 첨가된 건강한 드레싱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구기자 열매와 과병 접합부의 강도 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Boxthorn(Lycium chinense Mill) Fruit-Stem Joints)

  • 서정덕;허윤근;이상우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6호
    • /
    • pp.511-516
    • /
    • 2000
  •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joint of boxthorn(Lycium chinense Mill) fruits to tree twigs was determined experimentally at several pulling angles(0$^{\circ}$, 15$^{\circ}$, 30$^{\circ}$,45$^{\circ}$and 60$^{\circ}$) and at different harvesting seasons from August to November 1999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detachment force of mature fruits of boxthorn decreased as the pulling angle increased and varied with the harvesting season. The detachment force however did not gradually decreased as the harvesting season advanced due to difference of maturity of fruits from one harvesting season to another. Among three varieties of boxthron Cheongyang gugija Cheongyang native and Cheongyang #2, the maximum detachment force was 1.24 N at the pulling angle of zero degree. The highest detachment forve(1.29 N) of mature fruits of boxthorn appeared at the harvesting season of August, 1999.

  • PDF

구기자 가지의 진동 특성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Boxthorn(Lycium chinense Mill))

  • 서정덕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2호
    • /
    • pp.105-114
    • /
    • 2001
  • Modulus of elasticity, modulus of rigidity, damping ratio, and natural frequency of three varieties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Cheongyang #2, Cheongyang gugija, and Cheongyang native) branches were analyzed. Modulus of elasticity and modulus of elasticity and modulus of rigidity of the boxthorn branch was determined using standard formula after simple beam bending and torsion test, respectively,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Damping ratio and natural frequency of branches were determined using a system consisted of an accelerometer, a PC equipped with A/D converter, and a software for data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ic modulus and branch diameter in overall varieties and branch types showed a good correlation (r -0.81). There was, however, no correlation between torsional rigidity and branch diameter. The internal damping results were highly variable and the overall range of the damping ratio of the boxthorn branch was 0.014-0.087, which indicated that the branch was a lightly damped structur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boxthorn branch was in the range of 89-363 rad/s for the overall varieties and branch types. A good correlation (r 0.82) existed between the natural frequency and branch diameter in overall varieties and branch type.

  • PDF

구기자 추출물의 항비만 및 혈당강하 효과 (Study on Anti-obesity and Hypoglycemic Effects of Lycium chinense Mill Extracts)

  • 황은영;홍정희;최준혁;이은정;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28-1534
    • /
    • 2009
  • 구기자는 식용가능하고 제2형 당뇨병 합병증인 지방간분해, 고혈압 및 고혈당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 대사 및 지질 대사에 작용하는 정확한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기에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의 저해활성 및 정상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 효과와 3T3-L1 adipocyte를 통하여 비만축적 억제효과를 보았다. 구기자 추출은 80% MeOH, 70% EtOH 및 열수추출하였으며 이들 중 ${\alpha}$-amylase 50% 저해 활성($IC_{50}$)은 saliva ${\alpha}$-amylase에서 acarbose, 80% MeOH, 70% EtOH, aqueous(7.04, 3.19, 3.20, 3.66 mg/mL), pacreas ${\alpha}$-amylase acarbose, 80% MeOH, 70% EtOH, aqueous(10.97, 4.16, 3.07, 3.55 mg/mL)로 saliva ${\alpha}$-amylase에선 acarbose보다 80% MeOH, 70% EtOH 추출물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IC_{50}$값을 나타냈고 pacreas ${\alpha}$-amylase에서는 70% EtOH 추출물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IC_{50}$값을 나타냈다. 또한 10 ${\mu}g/mL$ 농도에서 yeast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 $IC_{50}$값은 80% MeOH, 70% EtOH, aqueous(5.01, 4.98, 4.80 ${\mu}g/mL$)로 구기자 추출물 모두 acarbose(5.05)보다 우수한 $IC_{50}$값을 나타냈다. 정상생쥐에게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은 70% EtOH 추출물을 전분과 함께 경구투여 한 후 내당능을 측정한 결과, 전분과 함께 100, 200 mg/kg body weight를 경구투여 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투여 후 30, 60, 90, 120분에 혈당 증가가 낮았다. 또한 추출물을 100 mg보다 200 mg 투여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 및 40%씩 저하되었으며, 120분에는 대조군 수준이 되었다. 그리고 3T3-L1 adipocyte에서 비만축적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70% EtOH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eptin,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고 유리지방산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구기자 추출물 중 70% EtOH는 acarbose보다 높은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정상생쥐를 통해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GLUT4 발현 역시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구기자 추출물이 지방축적 억제와 인슐린 저항성 억제 및 혈당강하 기전을 확인하여 제2형 당뇨병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 추후 더 연구하여 보다 더 정확한 성분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구기자 가지의 진동 특성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Branch)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2-309
    • /
    • 2001
  • Modulus of elasticity, modulus of rigidity, damping ratio, and natural frequency of three varieties of boxthorn(Lycium chinense Mill) (Cheongyang #2, Cheongyang gugija, and Cheongyang native) branches were analyzed. Modulus of elasticity and modulus of rigidity of the boxthorn branch was determined using standard formula after simple beam bending and torsion test, respectively,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Damping ratio and natural frequency of branches were determined using a system consisted of an accelerometer, a PC equipped with A/D converter, and a software for data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he elastic modulus and branch diameter in overall varieties and branch types showed a good correlation (r$\cong$-0.81). There was, however, no correlation between torsional rigidity and branch diameter. The internal damping results were highly variable and the overall range of the damping ratio of the boxthorn branch was 0.014 -0.087, which indicated that the branch was a lightly damped structur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boxthorn branch was in the range of 89-363 rad/s for the overall varieties and branch types. A good correlation (r$\cong$0.82) existed between the natural frequency and branch diameter in overall varieties and branch type.

  • PDF

약용 식물 발효액(들빛)의 항산화,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및 Nitric Oxide 생성 조절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Medical Plants (DeulBit) and Its Modulatory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 조은경;갈상완;최영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2호
    • /
    • pp.91-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결명자, 오미자, 구기자, 박하, 국화, 산마, 생강, 둥글레, 감초, 오가피, 녹차, 다시마를 발효시킨 들빛 발효액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들빛 발효액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의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3.4{\pm}0.5\;mg/g$으로,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들빛 발효액의 radical 소거능은 96%로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SOD 유사활성은 29%로 나타내었고, XOase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88%로 높게 나타났다. 들빛 발효액의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66%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혈전분해능에 대한 들빛 발효액의 분석 결과는 혈전용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과 유사한 활성을 보이고 있다. 들빛 발효액과 면역활성과의 연관성은 NO 생성 증가율과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 억제율 분석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들빛 발효액은 무려 15배의 높은 NO 생성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억제율은 들빛 발효액 100%에서 42%로 나타나 높은 면역조절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들빛 발효액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항산화력, 항고혈압 효과, 혈전분해능 및 면역 조절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음료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농산물의 비타민 K1 함량 조사 (A Study on Contents of Vitamin K1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 이아름;김주희;박재호;김영호;홍의연;김행란;최용민;이준수;엄현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1-30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는 농산물과 특수하게 재배되는 농산식품 자원(잎 및 채소류 9종, 과일류 16종, 곡류 및 특용작물 11종)을 선정하여 비타민 $K_1$의 함량 분석하여 기초데이터를 마련하고, 실험에 사용한 분석법을 검증하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의 비타민 $K_1$은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형광 검출기를 이용하여 HPLC를 통해 정량하였다. 잎채소류 내 비타민 $K_1$의 범위는 $107.03{\sim}682.73{\mu}g$/100 g였으며, 구기자 잎에서 $682.73{\mu}g$/100 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대왕토란과 고구마는 각각 $1.83{\mu}g$/100 g과 $2.72{\sim}2.74{\mu}g$/100 g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과일류의 비타민 $K_1$ 함량 범위는 $0.17{\sim}28.22{\mu}g$/100 g으로 분석되었고, 마른 반시에서 $28.22{\mu}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청포도 $14.97{\mu}g$/100 g, 키위류 $13.54{\sim}16.36{\mu}g$/100 g으로 다른 과일들과 비교해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곡류의 비타민 $K_1$ 함량 범위는 $1.14{\sim}3.47{\mu}g$/100 g이었고, 느타리버섯, 이슬송이버섯, 초석잠에서는 모두 비타민 $K_1$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량선의 상관계수는 0.999로 높은 유의 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복성과 재현성의 변동계수 값은 각각 8.95%, 5.28%로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지역농산물의 비타민 $K_1$ 기초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