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Psychotherapy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4초

화병 임상진료지침 V. (한방정신요법과 관리) (Clinical Guidelines for Hwabyung V. (Oriental Psychotherapy and Management))

  • 이승기;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spc1호
    • /
    • pp.47-54
    • /
    • 2013
  • Objectives : The Hwabyung Research Center of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has attempted to develop the 'Clinical Guidelines for Hwabyung'. Methods : The Hwabyung Research Center constructed a committee of experts and advisory group.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and evaluated in order to discover effective oriental psychotherapy as well as the management of Hwabyung. Results : We found some evidences tha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oriental psychotherapy in the treatment of Hwabyung. The principles of management were also reviewed. Conclusions : Psychotherapy and management for Hwabyung were studies. We hope that the 'Clinic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wabyung' is helpful for both oriental medical doctors and patients.

감성지능 및 공감능력의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효과 (A Study on Interactive Cinemapsychotherapy Class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 임애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09-115
    • /
    • 2020
  • 본 연구는 토론을 통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이 대학생의 감성지능과 공감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대학생 212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 106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영화감상을 포함한 실습 위주의 수업을, 대조군은 성격심리학 이론 중심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12주 동안 6편의 영화를 감상하고 연구자와 대상자 간의 구조적 질문과 대상자 간의 비구조적 질문을 통한 응답과 토의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감성지능 영역의 자기감성이해와 타인감성이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감성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공감능력은 실험군에서 인지적 공감,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공감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사후검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적 공감과 관점 취하기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호작용적 영화 심리치료 수업은 감성지능과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검증되었고, 이론 중심의 수업 또한 감성조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나, 영화심리치료 수업이 감성지능과 공감능력의 더 많은 요인을 향상시켜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유효함과 필요성을 증명하였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 정신 장애자에 대한 전화 정신 치료의 효용 (TELEPHONE PSYCHOTHERAPY WITH ADOLESCENTS)

  • 이길홍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129-137
    • /
    • 1992
  • 이 논문에서는 Tolchhin의 증례분석을 토대로 청소년의 전화 정신 치료의 임상적 효용성을 분석하였고 국내외 문헌분석을 통해 치료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몇가지 문제점과 치료원칙에 관해 기술 하였다. 정규적으로 정신치료를 받고 있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전화로 자신의 치료자와 직접 연락이 닿을 수 있음을 알고, 전화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치료자의 전화는 젊은 환자에게 긍정적인 치료적 동맹을 맺게 해 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화 정신 치료는 외래치료가 힘든 학생들의 치료에 있어 보조적 치료기법으로 큰 도움을 주며, 매우 도전적이고 즉각적인 응답을 바라는 집단인 청소년에 대한 치료적 장비로서 중요하고 유용한 치료기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 PDF

집단정신치료를 통한 어머니의 가족지각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 집단미술치료와 집단정신치료극을 통하여 -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and Psychodrama in Changing Family Perceptions of Mothers)

  • 명신영;이정숙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5-293
    • /
    • 2000
  • The study examined changes in mothers' perceptions about their families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group psychodrama. The 5 mother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by Kinetic Family Drawing. The experimental group then participated in psychodrama This was a pre-test, 2 post-test experimental group only design. Each follow-up test was excused at 10 weeks after the previous test. Mothers' acting in the psychodrama was video-recorded. Subjects were interviewed to ascertain change in daily life after the psychotherapy. Results were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mothers regarding self-exami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ir famil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perceptions of themselves, thei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 PDF

알코올 중독의 변화단계를 반영한 노래심리치료가 알코올 중독자의 변화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ong Psychotherapy Intervention on the Change Readiness of Alcoholics)

  • 김선식;홍금나;최민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변화단계에 근거한 노래심리치료가 알코올 중독자의 변화 준비도에 미치는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였다. 중재에 사용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은 알코올 변화단계를 반영한 여섯 가지 활동(노래 듣기,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공유하기, 가사 토의, 노래 토의 및 분석)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4명의 알코올 중독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실험 집단(33명)과 통제 집단(31명)으로 나누었다. 실험 집단은 주 2회 45분 단위로 6주 동안 전체 12회기의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는 SOCRATES-K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실험 결과,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 집단의 SOCRATES-K점수는 14.6% 증가했으나(p < .001),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수준에서의 변화는 없었다(0.8% 증가, p = .141). 실험 집단에서 SOCRATES-K 세부 요인별 증가율은 양가성 요인, 실천 요인, 인식 요인 순이었다. 통제집단의 경우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알코올 변화단계를 근거로 한 노래 심리 치료 프로그램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변화 준비도를 유의하게 높여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알코올 중독자들을 위한 중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 과몰입 청소년의 게임 이용동기 인식을 위한 그룹 음악심리치료 사례 (A Case Study of Group Music Psychotherapy for Improving Adolescents' Awareness of the Motivation Behind Their Excessive Online Gaming)

  • 송지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8
    • /
    • 2020
  • 본 연구는 그룹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한 게임 과몰입 청소년의 게임 이용동기 인식 변화를 탐구하고자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은 회기당 60분씩 총 6회기 시행되었고, 연구 참여자는 게임 과몰입 청소년 5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세션에 참여하면서 나타난 참여자의 음악적·언어적 반응, 프로그램에서 작업한 가사와 세션 종결 후 사후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참여자의 언어 보고이다. 자료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공감되는 가사에 대해 토의하면서 자신의 내재된 부적 정서와 관계적 어려움에 대해 직면할 수 있었고, 가사 창작 작업을 하면서 게임에 몰입했던 과거의 동기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음악중재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게임 과몰입 행동에 대해 인식함과 동시에 게임 과몰입 행동 조절이 어려운 이유를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자각이 게임 이용에 대한 인식 변화에 도움이 되었고, 실제 게임 이용 행동에 있어 변화가 있었다고 참여자들은 사후 인터뷰에서 보고하였다. 치료사는 치료회기에서 완성한 음악 창작물을 일상에서도 활용하도록 제공하였는데, 이로 인해 참여자들은 게임행동 조절이 용이했다고 보고했다. 연구 결과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게임 과몰입 청소년의 게임 이용동기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했고, 게임이용 행동 변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학령전기아동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장기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연구 (Effectiveness of the Long-term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 이정숙;유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29-43
    • /
    • 2007
  •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preventing children's maladjustment at school. for this study, six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x for a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ystem and the Prosocial Behavior Skill Situations Measure for Preschool Level.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processes and changes in each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socio-drama, group art therapy, and game play therap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pre-program tests and post-program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improved with group counsel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eco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bility alsoimpro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Effectiveness of the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ocial Ability in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이정숙;유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27-1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bility. For this study, six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x for a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using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In addition to a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processes and changes of each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ocio-drama group art therapy, and game play therap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ore-program tests and post-program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ocial ability was impro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This program was primarily designed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hildren)

  • 이정숙;전숙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5-3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on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s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programs related to children that is performed by social welfare agency and that is based on group psychotherapy were inclu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grams related to children that is performed by social welfare agency are insufficient to evaluations of plans, performance and outputs. In particular, speciality of social worker in perform on programs in related to children is absent. Second, programs of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s of children based on group pychotherapy were specialized in evaluations of plans, performance and output. Through out this analysis, the program of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s of children is developed. This program is based on group psychotherapy, include art therapy, sociodrama.

  • PDF

Analysis of Empathy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 Lee, Chang Ryeol;Park, Min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586-159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empathy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using a self-report measure of empathy. One hundred seventy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maj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hysical therapy group consisted of 49 people, 24 men and 25 women. The psychotherapy group has 59 people, 17 males and 42 females. 6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ngineering group, with 18 males and 44 females. It was hypothesized that empathy would be higher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compared to those in engineering. Empathy Quotient (EQ) supported the research hypothesis, with students in physical theapy higher than students in engineering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Q between physical therapy and psychotherap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empathy according to major and gender. Our research suggests that empathy needs to be promot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