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relaxatio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A Theoretical Study of the Formation of Benzene Excimer: Effects of Geometry Relaxation and Spin-state Dependence

  • Kim, Dongw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9호
    • /
    • pp.2738-2742
    • /
    • 2014
  • Geometry relaxation effects on the formation of benzene excimer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ab initio calculation at SOS-CIS($D_0$)/aug-cc-pVDZ level. In the case of T-shaped dimer configuration,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excited states are found to be nearly the same as those in the ground state and structural deformations are limited within a single molecule; the geometry relaxation effects are then negligible and singlet-triplet energy gap remains constant. As for face-to-face eclipsed dimer, on the other hand, both molecules undergo structural change. As a result,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excited stat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in the ground state. Although the intermolecular distances obtained from potential energy curve calculation with frozen molecular structures are in qualitative agreement, the excited-state binding energies are notably overestimated with respect to those at optimized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effects are calculated to be larger in $T_1$ state and hence singlet-triplet energy gap, which reduces markedly in this configuration, is underestimated without relaxation.

개착식 굴착현장의 GPR 탐사한계 분석기법 연구 (Analysis of GPR Exploration Limit of Open-Cut Type Excavation)

  • 한유식;김우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7-53
    • /
    • 2017
  • 지반 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의 함몰 문제를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반함몰 위험인자의 정확한 탐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반굴착현장 주변의 거동 분석을 통하여 지반이완영역 분포를 분석하고 여러 가지 조건에서 GPR 탐사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함수율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불포화 지반에서는 지층의 분포 및 이완영역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포화 지반에서는 GPR 탐사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모형실험과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지반 공동 및 이완영역 모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of Cavity and Relaxation Zone Using Laboratory Model Test and Discrete Element Method)

  • 김주봉;유승경;한중근;홍기권;박종범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1-21
    • /
    • 2017
  • 지반함몰의 발생은 하수관 파손으로 인한 토사유실이 주원인으로써 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공동과 이완영역의 발생, 주변 지반의 거동을 이해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중 하수관의 파손으로 인한 지반함몰 메커니즘 분석을 위해 실내모형실험과 개별요소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실내모형실험에서는 알루미늄 봉과 트랩도어를 이용하여 모형지반의 거동을 모사하였고, 개별요소 수치해석은 모형실험과 동일한 경계조건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모형실험 및 개별요소 결과로부터 토사유실로 인한 공동과 이완영역의 형상 및 규모를 파악하였으며, 공동 주변 지반의 간극비 분포 특성 및 이완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지반 공동 및 이완영역 모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of Cavity and Relaxation Zone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유승경;김주봉;한중근;홍기권;윤중만;이강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7-74
    • /
    • 2017
  • 지반 공동 발생으로 인한 지반함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생된 공동 주변 지반의 이완영역에 대한 역학적 특성 평가와 더불어 이에 상응하는 적합한 보강 대책을 신속히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중 공동 주변의 이완영역 발생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을 위해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지중 공동과 이완영역을 모사하기 위해 강제변위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해석 결과는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한 기존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유한요소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토사 유실로 인한 공동 주변 지반의 간극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전단응력 감소 특성을 분석하여 이완영역의 범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함몰 영향연구 (Influence Ground Sinking with Variation of Ground Water Level)

  • 김숙자;정관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99-408
    • /
    • 2018
  • 연구목적: 최근 들어 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반함몰은 인명 및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지반함몰 또는 도로함몰은 일반적으로 불리는 싱크홀과는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석회암 지반이 용해되어 침식이 일어나는 싱크홀과는 달리 지반함몰 및 도로함몰은 지하수가 흙 사이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공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완 및 확장이 진행되어 상부지반이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지반의 공동화는 집중호우시 침입수에 의한 공동 형성, 지하수위 상승 및 하강에 의한 토사유실 및 하수유출반복에 의한 공동 형성이 주된 원인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구조물 공사시 지하수 흐름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수 모델링결과 지하수는 하천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지반함몰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지하수위 저하 및 흐름방향에 따른 지반함몰보다는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의 구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중 내 공동 확장에 따른 이완영역 확인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Confirmation of Relaxation Zone in the Underground Cavity Expansion)

  • 김영호;김호연;김연삼;유승경;한중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31-240
    • /
    • 2017
  • 최근 도심지에서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하여 경제적 손실을 수반하는 지반함몰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노후화된 상하수관거의 파손으로 인한 토사유실, 다짐불량, 수평굴착, 수직굴착시 토류벽 차수미흡 등 인위적 요인에 의하여 대다수 발생한다. 지반함몰은 탐사를 통하여 사전 복구 및 보강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지만 현존하는 공법으로는 긴급복구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개착식 지반공동 긴급복구 기술 개발을 위해 지하수흐름에 의한 지중 내 공동을 모사하는 모형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조성된 공동 주변을 자체제작한 이완영역탐지기를 이용하여 탐지하므로써 이완영역 범위를 추정하였다. 또, 모사지반내 형성된 공동에 석고를 주입함으로써 교란영역과 이완영역을 구분하였다. 지하수 흐름에 의한 지중 공동의 형상은 선행연구 되었던 상수관거 파손시 내부 압력에 의해 조밀한 상대밀도의 지반에서 조성된 파괴모드III와 유사하였으며, 이완영역탐지기를 이용하여 탐지된 공동은 상부에서 아칭형태로 형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반에서 공동 중심 상부에서 이완영역과 교란영역의 길이비는 2:1로 형성되며, 외력에 대한 전단저항력의 감소의 차이인해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사전보수 및 보강시 주입재로 사용되는 재료의 팽창성을 고려하여 2차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추후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지반변형 상태를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다.

하수관거 파손폭과 토피고를 고려한 지중 공동 및 이완영역 발생 규모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Occurrence Scope of Underground Cavity and Relaxation Zone Considering Sewerage Damage Width and Soil Depth)

  • 유승경;안희철;김영호;한중근;홍기권;박정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43-53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하수관거 파손에 따른 토사 유실로 인해 발생되는 지중 공동 및 이완영역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하수관거 파손 폭과 하수관거 상부의 토피고 변화를 고려한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역학모델을 적용하였으며, 강제변위법을 이용하여 토사 유실에 따른 하수관거 파손부 주변지반의 역학적 거동을 모사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파손 폭 및 토피고 변화에 따른 모형지반의 간극비 분포, 지표면 침하, 전단응력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중의 전단응력 감소 특성을 분석하여 지중 공동 및 이완영역의 경계를 결정하였으며, 파손 폭과 토피고 변화에 따른 공동 및 이완영역의 발생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Ultrafast Investigation of Vibrational Relaxation and Solvent Coordination Following Photodissociation of Cr$(CO)_6$

  • Seok-Beum Ko;Soo-Chang Yu;J. B. Hopkins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9호
    • /
    • pp.762-765
    • /
    • 1994
  • Picosecond time-resolved resonance Raman spectroscopy has been used to study the photochemistry of Cr(CO$)_6$ in cyclohexane following photoexcitation at 266 nm. Photodissociative loss of CO is found to occur within our pulse width of ${\leq}$5 ps by probing the 533 c$m^{-1}$ vibrational mode of ground state Cr(CO$)_6$. The subsequent dynamics after photodissociation are interpreted in terms of solvation, vibrational and electronic relaxations. The vibrational relaxation time of 100 ps and 83 ps are observed by monitoring v=O and v=l of the 381 c$m^{-1}$ transient mode, respectively. No evidence was found for solvation and electronic relaxation occurring on a time scale of ${\leq}$5 ps.

Rapid Quenching Dynamics of F Center Excitation by $OH^-$ Defects in KCI

  • 장두전;김필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12호
    • /
    • pp.1184-1189
    • /
    • 1995
  • The rapid quenching dynamics of F center excitation by OH- defects in KCl crystals are investigated by monitoring ground state absorption bleach recovery, using a picosecond streak camera absorption spectrometer. F center absorption bleach in OH--doped crystals shows three distinguishable recovery components with the current temporal resolution, designated as slow, medium and fast components. The slow one is due to the normal relaxation process of F* centers as found in OH--free crystals. The others are consequent on energy transfer from electronically excited F centers to OH--vibrational levels. The fast component is a minor energy transfer process and resulting from the relaxation of somewhat distant, not the closest, associated pairs of F* and OH- defects. The energy transfer between widely separated F* and OH- defects opens up a recovery process via the medium component which is assisted by OH- librations, lattice vibrations and OH- dipole reorientations. The quenching behaviors of F* luminescence and photoionization by OH- are explained well by the relaxation process of the medium component.

스키장 이용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도시근교형과 리 조트형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urrent Use and Satisfaction of Skiers between 'Suburban type' and 'Resort type' Ski Resort)

  • 김지현;노정실;김한도;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1-162
    • /
    • 1994
  •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e pattern and satisfaction of skiers between the suburban skiing ground and the resort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lanning and the management of skiing ground. The sites of case study are Yong Pyung Ski Resort (Resort type) and Bears Town(Suburban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aire. A total of 420 questionaires were completed. And data were subjected to following analysis: First, the descriptive statistics(mean, chi-square analysis etc.) were us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the use pattern of two sites. Second, factor analysis was utilized to reduce 22 satisfaction items into the smaller number of factors.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users' overall satisfaction in each skiing grou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etween tow sites were different in terms of age, income, and skill level. Second, it was proved that the use pattern between two sites were different in terms of travel distance from home, traffic mode, length of stay, accommodation type, and the money spent per day. Third, By a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several factors of satisfaction are found: In physical terms, they are 'slope and life facilities', 'recreation and lodge facilities', 'accessibility', 'crowding', and 'landscape'. In psychological terms, they are 'skiing skills and thrills', and 'relaxation and freedom'. Forth, As the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t was yielded that 'relaxation/and freedom' was most important factor to predict the overall satisfaction in both skiing ground. And it was proved that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phychological(need gratifying) factors were important sources of the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