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cover plant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52초

몇 가지 자생 지피식물의 차광에 따른 생장반응 (Growth Reaction of Some Ground Cover Plant in Korean Native Greening according to Shading Levels)

  • 김귀순;이정식
    • 화훼연구
    • /
    • 제17권2호
    • /
    • pp.75-80
    • /
    • 2009
  • 본 연구는 음지에서 잘 자라는 자생 지피식물 선발을 위해 7종의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광 조건을 달리하여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비비추는 자연광의 60% 차광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으며, 맥문동은 90% 차광에서 생육이 매우 좋았다. 관중은 60% 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 하였으며, 대사초는 40% 차광에서 초장과 초폭이 신장이 좋았고 엽수도 많았다. 비비추, 맥문동, 관중 및 수호초는 차광율이 높을수록 엽록소 함량이 점차 증가되었으며, 맥문동은 완전음지나 자연광에서는 개화되지 않았다.

차광처리에 따른 애기소엽맥문동의 생장과 피복에 관한 연구 (Growth and Ground Coverage of Ophiopogon japonicus 'Nanus' under Different Shade Conditions)

  • 강애란;박석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68-75
    • /
    • 2017
  • 정원소재로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애기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Nanus')을 대상으로 18개월(2015년 5월~2016년 10월)간 차광생육실험을 실시해 내음성 범위와 피복정도를 알아보았다. 전남 장흥군 노지에 3년간 재배된 애기소엽맥문동을 공시재료로 이용했다. 전남 나주시의 실험장에서 식재상자($70cm{\times}70cm{\times}24cm$)에 애기소엽맥문동을 심고 차광막을 덮어 자연광을 차단했는데 차광처리 수준은 무차광(0%), 55%, 75%이었다. 차광처리구별 생장량(엽장, 엽수, 생중량 건중량)과 지표면 피복률을 조사했다. 애기소엽맥문동의 엽장 엽수는 무차광(0%)이 다른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 생중량 건중량은 무차광(0%) 차광처리 55%가 차광처리 75%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애기소엽맥문동이 정상적으로 생육가능한 내음성 범위는 차광률 0~50%정도며, 50%이상의 자연광이 차단되면 생장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구별 피복률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애기소엽맥문동을 $1m^2$당 220분얼을 심었는데 18개월 후에는 지표면 80%까지 덮었다. 애기소엽맥문동은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적합해 조기 피복을 위해선 충분한 질소비료 시비가 필요하다. 본 실험장에서 애기소엽맥문동은 동해를 입지 않아 온대 남부지역까지 식재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차광수준이 송악과 수호초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ading on the Growth of Hedera rhombea Bean and Pachysandra terminalis Sieb. et Zucc.)

  • 정현환;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1호
    • /
    • pp.29-32
    • /
    • 1999
  • 본 연구는 차광수준이 송악과 수호초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차광수준을 입사광의 0, 35, 55, 75, 그리고 95%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송악은 95%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직립형의 성질을 나타냈고, 수호초는 35%에서 초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지수는 차광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줄기의 직경과 초장은 35%부터 95%로 차광률이 높아지면서 감소하였다. 잎의 생장은 35%와 55% 차광수준에서 가장 좋았으며, 75%에서도 생육이 좋아서 내음성이 양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잎은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길어졌으나, 95% 차광시에는 대조구보다 짧게 나타났다. 전체 엽록소, 엽록소 a, b 함량 및 엽록소 a/b 비율은 차광에 의해서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서, 95% 차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35, 55, 75% 수준에서 대조구나 95% 차광수준에서보다 높았다. 비엽중은 광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송악과 수호초의 생육에 적합한 광도는 35%~55% 차광수준이며, 75% 차광하에서도 생육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Flowers & Plants Expo Tokyo in 2017

  • Choi, So Young;Park, Hye Min;Lee, Ja Hee;Lee, Ae 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current trends in floriculture through a survey. The exhibitors' purposes and items displayed at the Tokyo International Flowers & Plants Expo in 2017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8 exhibitors during the exhibition period from October 11 to 13, 2017. As a result, participants came from 14 countries including Belgium, China, Colombia, Japan, Korea and France. The purposes of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exhibitors were to display cultivars (86 exhibitors, 36.3%), followed by to display merchandise, subsidiary materials and cultivation techniques. Among cultivars, pot plan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entire cultivars (54 exhibitors, 55.1%), followed by cut flowers (35 exhibitors, 35.7%), sapling, and seeds. The most of the displayed pot plants were ornamental plants (27 exhibitors, 43.5%), followed by garden trees, ground cover plants, bedding plants and succulent plants. The most of the displayed cut flowers were rose (8 exhibitors, 21.1%), followed by lisianthus, chrysanthemum and dahila. In terms of cultivation techniques, those using moss were displayed by 7 exhibitors (50%) and green-wall techniques were displayed by 6 exhibitors (42.9%). In terms of merchandise, processed products were displayed by 21 exhibitors (41.2%), followed by floral products. Therefore, the IFEX can be used as a place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in the floriculture market.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ver Crop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on Reducing Soil Erosion)

  • 김학구;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50-58
    • /
    • 2018
  • 본 연구는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눈개승마 피복지의 연토양유실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토양유실량을 바탕으로 RUSLE의 식생피복인자를 산정하였다. 산정한 식생피복인자와 토양유실 저감용으로 식재하는 츄잉훼스큐의 식생피복인자를 비교하여 눈개승마 피복이 토양유실 저감에 효과적인지 파악하였다. 피복종류에 따른 토양유실량은 눈개승마 피복시 2.22 Mg/ha, 츄잉훼스큐 피복시 1.85 Mg/ha, 일반 노지는 10.60 Mg/ha가 발생하였다. 피복 종류에 따른 식생피복인자는 눈개승마에서 $0.09{\pm}0.03$, 츄잉훼스큐에서 $0.08{\pm}0.03$, 일반 노지에서는 $0.35{\pm}0.10$로 나타났다. 나지에서는 $0.83{\pm}0.14$로 나타났다. 산정한 피복별 식생피복인자를 분산 분석한 결과는 피복종류에 따라 평균 값의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을 통한 동일집단군을 분류한 결과 눈개승마와 츄잉훼스큐는 평균의 차이가 적은 유사집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눈개승마는 츄잉훼스큐에 비견될 정도로 토양유실 저감 효과가 있었다.

간척지 염생식물의 조경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Halophytes on the Reclaimed Land in Landscape Architecture)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8-287
    • /
    • 1998
  • The halophytes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 in our field, as the land reclamation executed continuously by public or individual. So this research is to use plants more active on the reclaimed land and to verify their utility in the aspect of the landscape planning, design and complementaton. This research is perform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Youngjong-do located in West-sea of Korea. Following proposals are the major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1. The halophytes to be used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reservoir in orer to improve the ground for the introduction of new plants and prevent the water contaminatioin. 2. The halophytes to be used as a gound-cover which protects major structures nearby from being damaged by the salt content in the air. 3. Thd halophytes to be used as a unique and panoramic landscape element. They have various colors which change throughout a year. 4. Thd halophytes to be considered as a outdoor recreation resource. The halophytes planted area may be utilized as picnic area, outdoor event plaza, ball game ground, rough in the golf cource and etc. Additional usage of the land include the future rearch site for sea fronted ecological studies and pasture for cows and other livestock.

  • PDF

차광정도가 산마늘의 생육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Makino)

  • 박병모;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1-285
    • /
    • 2012
  • 본 연구는 쌈채 및 강장제로 이용되고 있는 산마늘을 조경용 지피식물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 정도를 30%, 50%, 80%로 처리하여 생육 특성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엽수는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80% 차광 처리구가 각각 16.8cm, 10.1cm로 무처리구의 13.4cm, 7.3cm에 비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가 차광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기구가 8.5g인데 비해 80% 차광 처리구가 0.4g로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50% 차광 처리구가 42.8, 80% 차광 처리구가 40.5로 무처리의 36.7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차광 수준에 따른 산마늘의 생육 특성은 80% 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부지방 상록지피식물의 조경적 이용 -광이 월동중의 엽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Evergreen Ground Covers in Central Region of Korea as Landscape Materials -Focusing on the Changes in Leaf Color Related with Light during Winter-)

  • 남유경;김명회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7
    • /
    • 2011
  •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동절기간에 적용 가능한 상록지피식물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광조건에서의 생장변화를 조사하였다. Nandina domestica는 동절기 동안 광조건에 관계없이 음지에서 높은 엽록소값을 나타냈다. 이후 4월에는 서울의 반포지역에서 엽록소 값이 광조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북풍에 노출되어 있는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잎이 모두 낙엽 되었다. Ophiopogon japonicus는 지역에 관계없이 2월에 양지보다 음지에서 엽록소값이 두 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L과 b값도 조사기간 동안 음지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4월에는 반포지역에서 광조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동절기 동안 엽색이 탈색되었다. Pachysandra terminalis는 조사지역과 기간에 관계없이 음지조건에서 엽록소값과 L, b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부지방에서 상록지피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지조건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차광정도가 곤달비의 토양변화, 생육상황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Soil Properties,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igularia stenocephala)

  • 박병모;김창환;배종향;신중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2-356
    • /
    • 2011
  •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 때문에 건물의 고층화 및 생활공간의 밀집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 때문에 보다 많은 녹지면적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건물의 고층화로 인한 광부족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대기의 조건 등이 식물생육에 아주 부적합하다. 특히 건물의 고층화 및 밀집화로 식물 생육에 지장을 주는 음지로 인하여 식물생육에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음지에 강한 새로운 조경용 지피식물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쌈채식물로 알려져 있는 곤달비를 30%, 50%, 80%의 차광에 재배를 하여 차광에 따른 토양환경의 변화, 식물생장,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엽수는 50% 차광이 10.8개, 30% 차광이 8.4개로 무차광재배의 7.7개에 비하여 많았으며 엽폭도 50% 차광 재배에서 가장 우수 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 식재가능 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 90.43g에 비하여 모든 차광재배가 각각 31.63g, 43.39g, 19.40g로 증가 하였으며 특히 뿌리의 생육이 줄기의 생육에 비하여 30% 차광재배의 12.33g에 비하여 48.48g으로 많이 증가 하였다. 엽록소 합성은 50% 차광의 경우 46.2로 무차광재배의 41.9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기타 차광재배의 경우는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곤달비의 차광재배의 결과 50% 차광처리가 지피식물로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가로수 식재체계 수립 (Establishment of Roadside Tree Planting System in Kangnung)

  • 박용진;김태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3-103
    • /
    • 2000
  •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rational criterion of the selection and the management f the roadside trees, and to establish the planting design and system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the roadside environment. All of the roadside trees in each objective courses in Kangnung, and the soil disposition, hardness of the soil in the planting areas have been investigated. Also, we have surveyed the kinds of the trees which kandgnung inhabitants wan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Most of roadsides have trees, but they need the introduction of shrubs or ground covering plants according to the locations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 have selected nineteen species in regard to the roadside tree criterion and the growing conditions living in Kangnung. It is desirable that we make banding style planting space between each roadside tree to improve the low ratio of green coverage. We have found out that Ligustrum obtusifolium, Buxus micropnylla, Euonymus japonic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Phyllostachys nigro and Rosa rugosa, ect. are suitable. In order to soften and weaken the rigidity of the hard substances on a paved roadside, the climbers such as the perennial herbaceous flowering and hedera rhombea should be preferred rather than annual herbaceous flowering because of curtailment of expenditure. To posses a systematical greenery frame in kangnung, we have planned a planting design system that would expand the greenery space every year. Moreover, we have to make a plan to overcome space restrictions. We have established a flexible plan considering the roadside conditions and the improved standard planting methods with an ultimate aim to create a special roadside vie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