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ES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Cloning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groESL Heat-Shock Operon in Methylotrophic Bacterium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 11726

  • Eom, Chi-Yong;Kim, Eung-Bin;Ro, Young-Tae;Kim, Si-Wouk;Kim, Young-Min
    • BMB Reports
    • /
    • 제38권6호
    • /
    • pp.695-702
    • /
    • 2005
  • The groESL bicistronic operon of a restricted facultative methylotrophic bacterium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 11726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It was found to consist of two ORFs encoding proteins with molecular masses of 11,395 and 57,396 daltons, which showed a high degree of homology to other bacterial GroES and GroEL proteins. The genes were clustered in the transcription order groES-groEL. Northern blot analyses suggested that the groESL operon is transcribed as a bicistronic 2.2-kb mRNA, the steady-state level of which was markedly increased by temperature elevation. Primer extension analysis demonstrated one potential transcription start site preceding the groESL operon, which is located 100bp upstream of the groES start codon. The transcription start site was preceded by a putative promoter region highly homologous to the consensus sequences of Escherichia coli ${\sigma}^{32}$-type heat shock promoter, which functioned under both normal and heat shock conditions in E. coli. Heat shock mRNA was maximally produced by Methylovorus sp. strain SS1 approximately 10min after increasing the temperature from 30 to $42^{\circ}C$. The groESL operon was also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or salt shock.

Campylobacter jejuni 의 열충격 반응과 그유전자에 관한 연구

  • 김치경;임채일;이길재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2-238
    • /
    • 1992
  • Campylobacter jejuni 에 열처리를 했을 때 그들의 생존성 및 열충격 단백질 합성의 양상과 더불어, dnaK 와 groESL 유전자를 이용하여 C. jejuni 의 열충격 유전자를 검출하여 그 특성을 E. coli 의 열충격 유전자와 비교하였다. C. jejuni 의 열충격 단백질은 48.deg.C 에서 가장 잘 발형되었으며, 48.deg.C 에서 30 분간의 처리중 세포들의 생존율은 떨어지지 않았다. C. jejuni 의 열충격 단백질로서의 Hsp90, Hsp66, Hsp60 이 합성되는 것을 SDS-PAGE 및 방사선사진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dnaK 와 groESL 을 DNA 탐침자로 이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한 결과, C. jejuni 의 열충격 유전자도 groESL 과 dnaK 유전자와 상동성을 가진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었으나, 두 균주사이에는 열충격유전자를 내포하고 있는 DNA 상에서 제한효소의 절단부위에 차이가 있었다.

  • PDF

Campylobacter jejuni의 groEL 유전자 산물의 대장균에서의 Chaperon효과 (Chaperon Effects of Campylobacter jejuni groEL Genes Products in Escherichia coli)

  • 임채일;김치경;이길재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52
    • /
    • 1994
  • Campylobacter jejuni에 48${\circ}C$의 열충격을 30분간 주었을 때, HSP90, HSP66, HSP60의 열충격 단백질들이 합성되었고, 이 단백질들은 각각 E. coli의 hsp87, HSP66 (DnaK), HSP58(GroEL)에 상응하는 단백질들이었다. 여러가지의 제한효소로 처리한 C. jejuni의 chromosomal DNA에 E. coli의 groEL(4.0kb)을 probe로 사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 이들과 상동성을 가지는 유전자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 jejuni의 groEL 유전자를 pWE15 cosmid를 이용하여 recombinant plasmid pLC1을 만들고, 이를 E. coli B178 groEL44 ts mutant에 형질전환시켜 E. coli LC1을 얻었다. 이 pLC1에는 groEL 유전자가 존재하는 5.7kb인 insert DNA가 포함되어 있었고, 그로부터 subcloning한 pLC101에는 groEL을 포함하는 4.0kb의 DNA가 삽입되어 있었다. 이 recombinant plasmid들이 형질전환된 E. coli LC1과 LC101 균주에서는 C. jejuni의 GroEL 단백질이 과다 생산되었다. C. jejuni의 groEL이 cloning된 E. coli LC1은 42${\circ}C$에서의 생장능력이 회복되었고, ${\lambda}$ vir phage에 대한 감수성도 회복되는 등의 chaperon 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Influence of Site-Directed Mutagenesis on Protein Assembly and Solubility of Tadpole H-chain Ferritin

  • Kim, Kyung-Su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2호
    • /
    • pp.67-70
    • /
    • 199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ferroxidase center on the protein assembly and solubility of tadpole ferrin, three mutant plasmids, pTH58K, pTH61G, and pTHKG were constructed with the aid of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mutant proteins were produced in Eshcerichia coli. Mutant ferritin H-subunits produced by the cells carrying plasmids pTH58K and pTHKG were active soluble proteins, whereas the mutant obtained from the plasmid pTH61G was soluble only under osmotic stress in the presence obtained from the plasmid pTH61G was soluble only under osmotic stress in the presence of sorbitol and betaine. Especially, the cells carrying pTH61G together with the plasmid pGroESL harboring the molecular chaperone genes produced soluble ferritin. The mutant ferritin H-subunits were all assembled into ferritin-like holoproteins. These mutant ferritns were capable of forming stable iron cores, which means the mutants are able to accumulate iron with such modified ferroxidase sites. Further functional analysis was also made on the individual amino acid residues of ferroxidase center.

  • PDF

MLS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 항생제 내성인자 단백질인 ErmSF의 domain발현 (Domain Expression of ErmSF, MLS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 Antibiotic Resistance Factor Protein)

  • 진형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45-252
    • /
    • 2001
  • MLS (macrolide-lincosamide-streptogramin B) 항생제 내성인자 단백질인 Erm 단백질들은 아미노산 서열 중 그 동일성과 유사성이 높아 구조적으로도 동등한 단백질의 한 집단을 형성한다. 최근 X-ray crystallography에 의해 구조가 결정된 ErmC\` 및 ErmAM 단백질의 구조에 근거하여 ErmSF 단백질도 catalytic domain과 substrate binding domain으로 구분하였고 N-terminal end에 존재하는 catalytic domain의 대량생산을 다양한 pET 발현 vector를 사용하여 시도하였다. 그리고 catalytic domain을 coding하는 DNA 절편은 세 종류를 사용하였다: DNA 절편 1은 Met 1부터 Glu 186까지를 coding하고 DNA 절편 2는 Arg 60부터 Glu 186까지의 정보를 가진 DNA이고 DNA 절편 3은 Arg 60부터 Arg 240까지를 encoding하는 DNA이다. 사용된 다양한 발현 vector중에서 pET19b는 DNA 절편 3, pET23b는 DNA 절편 1과 2를 성공적으로 대량생산하였다. 그러나 대량생산된 catalytic domain들은 불용성 단백질 집합체인 inclusion body를 형성하였다. ErmSF catalytic domain들의 용해성 단백질의 생산을 위하여 chaperone GroESL과 Thioredoxin의 동시 발현 및 배양온도를 $22^{\circ}C$로 낮추어 시도했으나 대량 발현된 단백질의 용해에는 도움을 얻지 못하였다.

  • PDF

235 rRNA Monomethyltransferase인 tlrD의 클로닝, 이의 대장균에서 대량생산과 활성 검색 (Cloning of tlrD, 23S rRNA Monomethyltransferase Gene, Overexpression in Eschepichia coli and Its Activity)

  • 진형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6-172
    • /
    • 2007
  • ERM 단백질은 23S rRNA의 A2058에 methylation시킴으로써 macrolide-lincosamide- streptogramin B $(MLS_B)$계 항생제의 부착을 저해하여 항생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내성 인자 단백질로 monomethylase와 dimethylase로 나누어진다. Dimethylase와 비교되는 monomethylase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dimethylase (ErmSF)와 monomethylase (TlrD)를 동시에 보유한 Streptomyces fradiae에서 tlrD를 클론하고 대장균에서 최초로 대략생산을 시도하여 $37^{\circ}C$에서 세포내 전체 단백질의 55%를 차지할 정도로 대량생산된 불용성 단백질을 얻어내었다. 그러나 ErmSF와는 달리 낮은 온도에서 대량생산된 단백질이 용해성 단백질로 전환되지 않고 불용성 단백질로 남아있었다. Thioredoxin과 샤페론인 GroESL은 모두 ErmSF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해성 단백질로의 전환에 도움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점은 천재까지 전혀 밝혀지지 않은 단백질내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monomethylase와 dimethylase의 차이점을 밝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말해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ErmSF의 경우와 동일하게 SDS-PAGE에서 검색되지 않은 미량의 발현된 용해성 단백질이 TlrD를 함유한 세포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게 하였고 이렇게 발현된 내성은 monomethylase에 의한 내성에서 기대되는 내성과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