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id search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8초

Probability Constrained Search Range Determination for Fast Motion Estimation

  • Kang, Hyun-Soo;Lee, Si-Woong;Hosseini, Hamid Gholam
    • ETRI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369-378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adaptive search range motion estimation methods where the search ranges are constrained by the probabilities of motion vector differences and a search point sampling technique is applied to the constrained search ranges. Our new methods are based on our previous work, in which the search ranges were analytically determined by the probabilities. Since the proposed adaptive search range motion estimation methods effectively restrict the search ranges instead of search point sampling patterns, they provide a very flexible and hardware-friendly approach in motion estimation. The proposed methods were evaluated and tested with JM16.2 of the H.264/AVC video coding standard. Experiment results exhibit that with negligible degradation in PSNR, the proposed methods considerably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In particular, the combined method provides performance similar to that of the hybrid unsymmetrical-cross multi-hexagon-grid search method and outstanding merits in hardware implementation.

격자 구조 회선 교환망에서의 호 차단 확률 및 Link Failure Model에 근거한 신뢰도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eliability Based On Call Blocking Probability And Link Failure Model in Grid Topology Circuit Switched Networks)

  • 이상준;박찬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5-36
    • /
    • 1996
  • 본 논문은 격자 구조 회선 교환 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호 차단 확률 및 failure model을 설정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failure model에서는 link failure 모델을 고려하였다. 대상 모델은.flooding search routing 방식을 사용하여 패킷을 통화 대상자 노드에 전송하였다. 이때. 각 링크failure는 독립적이라고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failure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joint probability를 이용하여 소규모 격자 구조 회선 교환망의 신뢰도를 분석해 보았으며. 이를 시뮬레이션 한 값과 비교해 보았다 또한. 통신망에서 주요한 성능 지표중 하나8! 호 차단 확률을 구하여 회선망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 PDF

위치탐색을 위한 Wi-Fi 신호 기반 가변 Grid Map 설계 (Design of Variable Grid Map based on Wi-Fi Signal for Location Search)

  • 김동현;이현섭;장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61
    • /
    • 2022
  • 무선 AP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기법 중 핑거프린트 기법은 측위를 수행하기 전 AP의 Mac 정보와 수신세기를 수집하여 Radio Map을 구축하고 이후 측위 과정에서 수집되는 AP의 정보와 비교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기법이다. 단, 기존 Radio Map 구축방법은 실내를 일정한 크기의 Grid Map으로 나누어 측정했을 때 실내 환경에 따라 수많은 AP들의 충돌로 인한 상호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 신호 패턴에 영향을 주어 신호 세기 탐색 결과가 항상 일정하게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정형 Radio Map 구축 방법과 측정 구역 자체를 신호 세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분석하여 구성하는 가변적 Radio Map 구축기법에 대하여 비교 설명한다.

  • PDF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계층 경로 알고리즘의 탐색 영역 결정 기법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Method to Determine Search Space of Hierarchical Path Algorithm for Finding Optimal Path)

  • 이현섭;윤상두;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35-838
    • /
    • 2008
  • 계층 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탐색 기법에 대한 연구는 많은 논문에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효과적인 영역의 분할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주 영역과 부 영역을 효과적으로 나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기법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1) 보로노이 알고리즘 이용하여 하나의 주 노드를 중심으로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 (2)고정 그리드를 기반으로 주 영역과 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제안한 기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전통적인 Dijkstra 알고리즘을 주 노드에서 탐색하여 가장 인접한 주 노드 4개를 통해 주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였다. 실험 평가 항목은 탐색된 경로의 정확도와 연산시간이며, 실험 결과 연산 속도 측면에서는 보로노이 기반 기법이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그리드 기반 기법이 정확도 측면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비디오 데이타를 위한 그리드 기반의 유사 부분 궤적 검색 기법 (Similar sub-Trajectory Retrieval Technique based on Grid for Video Data)

  • 이기영;임명재;김규호;김정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83-189
    • /
    • 2009
  • 최근, PCS, PDA와 같은 이동기기 보급의 확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활용, 유무선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일반 사용자들조차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에 대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타 중에서도 비디오 데이타는 텍스트나 이미지 데이타와는 달리 이동 객체에 대한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공간의 변화를 가지는 시공간적 특성을 가진다. 객체의 공간적 위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변하는 이동객체(Moving Object)들의 연속적인 움직임들의 모임을 궤적이라 하며, 데이타베이스에서 사용자로부터 주어진 질의 궤적과 유사한 궤적을 포함하는 데이타를 찾는 것을 유사 부분궤적 검색(Similar Sub-trajectory Retrieval)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사 부분궤적 검색을 하기 위해선 사용자 질의 궤적과 주어진 유사정도(Tolerance) 내에서 유사한 데이타 궤적을 검색 할 수 있는 근사 매칭(Approximate Matching)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방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타 만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도록 기존 연구와는 다른 효과적인 검색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검색을 위해 궤적을 그리드로 분할하여 이동 객체의 궤적에 대한 효율적인 유사 부분궤적 검색을 지원하는 새로운 그리드 기반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Case Study of the Base Technology for the Smart Grid Security: Focusing on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Basic Algorithm for the DDoS Attacks Detection Using CUDA

  • Huh, Jun-Ho;Seo, Kyungryo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11-417
    • /
    • 2016
  • Since the development of Graphic Processing Unit (GPU) in 1999, the development speed of GPUs has become much faster than that of CPUs and currently, the computational power of GPUs exceeds CPUs dozens and hundreds times in terms of decimal calculations and costs much less. Owing to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hardwares, general-purpose computing and utilization using GPUs are on the rise. Thus, in this paper, we have identified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for the Smart Grid Security. Focusing on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Basic Algorithm for the Stateful Inspection to Detect DDoS Attacks using CUDA. In the program, we compared the search speeds of GPU against CPU while they search for the suffix trees. For the computation, the system constraints and specifications were made identical during the experiment. We were able to understan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at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improves when GPU is used. The other finding was that performance of the system had been enhanced when shared memory was used explicitly instead of a global memory as the volume of data became larger.

대학 웹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조사 (A Survey on User Interface Design of University Webzines)

  • 이주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03-308
    • /
    • 2014
  • 이 논문은 대학 웹진 현황을 토대로 웹진의 목적과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진의 내용적 측면과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구성과 컬러 및 내비게이션 디자인 측면에서 조사해 보았다. 조사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대학 웹진 제작을 위해 사용자와 제작자가 어떤 점에 유의하고 참고하여 디자인해야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웹진 제작자와 사용자의 상호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공감하기 위해 웹진이 주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웹진의 이런 특성을 살려 제작한 대학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드론 안전비행맵 구축 및 비행경로 탐색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Drone Safety Flight Map and The Flight Path Search Algorithm)

  • 홍기호;원진희;박상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38-1551
    • /
    • 2021
  • The current drone flight plan creation creates a flight path point of two-dimensional coordinates on the map and sets an arbitrary altitude value considering the altitude of the terrain and the possible flight altitude. If the created flight path is a simple terrain such as a mountain or field, or if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terrain, setting the flight altitude will not be difficult. However, for drone flight in a city where buildings are dense, a safer and more precise flight path generation method is needed. In this study, using high-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we construct a drone safety flight map with a 3D grid map structure and propose a flight path search algorithm based on it. The safety of the flight path is checked through the virtual drone flight simulation extracted by searching for the flight path based on the 3D grid map created by setting weights on the properties of obstacles and terrain such as buildings.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 (Smart Social Grid System using Interactive Sketch Map)

  • 김정숙;이희영;이야리;김보원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88-397
    • /
    • 2012
  • 최근 웹 기반 서비스에서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는 SNS로 불려지는 "인적 관계 서비스"이다. 이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지도 서비스는 오프라인 현실과 연동된 직관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시각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과거의 지도 서비스가 주로 물리적 현실 정보를 담고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오늘날 지도는 실제 세계를 담는 단순한 검색 플랫폼을 넘어 사회관계를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SNS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 확대된 소셜 그리드를 통한 인맥 네트워크 구성 시 거버넌스 허브 툴로의 활용, 여타 SNS와 연계한 매쉬업 소프트웨어와의 브리지 역할, 소셜 그리드 데이터를 재생산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 구축, 향상된 탐색 기술을 통한 보다 빠른 서비스 구축 등의 특징을 갖는다.

Grid Search Based Production Switching Heuristic for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 Nam, Sang-Jin;Kim, Joung-Ja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7-138
    • /
    • 1993
  • The Production Switching Heuristic (PSH) develope dby Mellichamp and Love (1978) has been suggested as a more realistic, practical and intuitively appealing approach to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APP). In this researh, PSH has been modified to present a more sophisticated open grid search procedure for solving the APP problem.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has been demonstrated by determining a better near-optimala solution to the classic paint factory problem. The performance of the modified production switching heuristic is then compared in the context of the paint factory problem with results obtained by other prominent APP models including LDR, PPP, and PSH to conclude that the modified PSH offers a better minimum cost solution than the original PSH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