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house whitefl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9초

시설딸기 주요 비행해충의 황색끈끈이트랩 이용 효율적인 발생예찰 (Efficient Occurrence Monitoring by Yellow Sticky Traps for Major Flying Pests in Strawberry Greenhouses)

  • 양철준;송정흡;양영택;김효정;송민아;좌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09-314
    • /
    • 2017
  • 시설딸기 주요 비행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유시충,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um에 대해 발생초기 파악을 위한 황색끈끈이트랩 이용기술을 규명하였다. 제주지역 농가 재배 3개소에서 5개년 동안(2013~2017년) 재배 전 기간(9월~이듬해 5월)에 걸쳐 조사한 트랩자료를 이용 분석하였다. 해충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 해충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두 회귀식 중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유시충은 Taylor's power law이, 온실가루이는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이 공간분포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밀도와 최고밀도, 11마리 이상 잡힌 트랩 비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 밀도 4.0마리를 추정에 필요한 최소 트랩수는 꽃노랑총채벌레 13개, 목화진딧물 유시충 11개, 온실가루이 10개이었다. 고정 정확도 0.25 수준에서 3종 해충의 Taylor's power law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상수를 이용하여 축차표본조사 중지선을 구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um) 성충 부속지의 외부 미세구조 관찰 (Ultrastructure of Appendages of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um,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서미자;김기덕;김남성;박수진;채순용;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13-18
    • /
    • 1999
  • 온실가루이의 외부형태적 특징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관찰하였다. 우선 이들은 포탄모양의 알을 산란하는데 짧은 갈고리모양의 구조에 의해 잎 뒷면에 붙어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촉각의 길이는 0.3mm로 전체가 6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첫마디는 굵고 짧으며 둘째 마디부터 가늘고 긴 채찍모양을 하고 있다. 끝마디인 6번째 마디의 끝에는 길이가 $10{\mu}m$정도의 가늘고 비교적 긴 감각기를 가지고 있어 기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식물체의 표면을 탐지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바로 밑부분에는 길이가 $7-8{\mu}m$정도의 비교적 굵은 감각기 2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감각기는 반대편에는 존재하고 있지 않은 비대칭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두 개의 모양이 서로 상이함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의 기능은 주로 기주식물을 탐색하거나 후각기능의 화학적 감각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섭식생동이 이루어지는 온실가루이 구기는 전형적인 piercing-sucking type으로, 구침이 길게 잘 발달되어 있다. 구기의 끝부분은 10여개의 미세감각기가 분포하고 있어 식물체 표면을 탐색하고 맛을 보는 미각기능을 하고 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구침은 종종 구기에서 분리되기도 하지만, 구침을 잡아주는 지지대가 기부쪽에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침은 두 개의 반원형이 붙어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른 흡즙형 구침과는 달리 톱날모양의 구조를 볼 수 없었다. 한편 온실가루이의 다리 끝에 붙어 있는 발톱은 식물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 보이는 두 개의 갈고리 형태의 발톱과 그 사이에 중앙지지대 형태의 구조인 paranychium을 포함하여 3갈래의 구조를 하고 있다.

  • PDF

국내 주요 토마토 주산지에서 발생하는 가루이류 발생현황 (Occurrence Status of Whitefly Populations in Major Domestic Cultivation Areas of Tomatoes)

  • 서미혜;조영식;양창열;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1-416
    • /
    • 2020
  •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시설하우스에서 토마토 재배기간인 11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충남 논산, 부여, 전북 익산에서 가루이의 종류와 발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반면 5월부터 10월까지는 억제재배를 하는 전북 장수지역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시기별로 가루이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와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주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두 종 중 담배가루이의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가루이의 발생은 3월 하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는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수확기가 끝나는 시점에서는 밀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시설하우스에서 가루이의 효율적 방제를 위해서는 촉성재배는 3월 상순부터, 억제작형은 6월 상순부터 예찰하고 밀도가 증가하기 전에 초기 방제하여야 할 것이다.

토마토 온실에서 청색 발광 및 점착트랩을 이용한 온실가루이 유인 효과 (Attraction Effect of Blue Light Emitting Trap Combination of Sticky Trap for Trialeurodes vaporariorum (Hemiptera : Aleyrodidae) Capture in Tomato Greenhouse)

  • 이중섭;이재한;권준국;박경섭;김진현;이동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9-244
    • /
    • 2018
  •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다양한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가지고 온실가루이의 유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치된 램프의 종류는 청색, 황색 그리고 흰색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청색 발광 램프가 설치된 트랩에서 110마리로 가장 많은 온실가루이 성충이 유인되었고 황색램프 트랩과 흰색램프 트랩에서는 각각 71마리와 45마리가 포획되었다. 이때 청색 발광램프 트랩의 파장대역은 330nm에서 430nm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황색광과 흰색광 발광램프 트랩에서도 청색광 램프의 파장대역을 가지고는 있었으나 한편으로 온실가루이가 회피하는 파장대역 또한 동시에 포함하고 있었다. 이 결과 이들 두 개의 트랩에서 보다 청색광 발광트랩이 유인 포획률이 높아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온실가루이의 방제와 예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새로운정착해충 온실가루이 손쉽게 약제방제가능 $\square$ 온실가루이의 국내 유입과 방제대책

  • 유기열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5권2호
    • /
    • pp.58-66
    • /
    • 1984
  • 온실가루이<학명: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ood). 영명: Greenhouse Whitefly. Aleyrodidae(가루이과)>가 국내에 정착해충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해충이 국내에 들어와 정착한 경위와 이 해충의 상태, 형태 및 방제등에 대하여 기술함으로서 이 해충의 조사 연구를 위해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Selection of a Highly Virulent Verticillium lecanii Strain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 at Various Temperatures

  • Lee, Min-Ho;Yoon, Cheol-Sik;Yun, Tae-Yu;Kim, Hong-Sun;Yoo, Jai-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45-148
    • /
    • 2002
  • The virulence of five Verticillium lecanii strains against greenhouse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orum, was tested at various temperatures as a major environmental factor. Strain CS-626 was found to be the most durable strain at a broad temperature range, and highly virulent against greenhouse whiteflies in a detached-leaf bioassay. In a tomato plant pot experiment, the $LT_{50}\;and\;LC_{50}$ of the CS-626 strain were 6.2 days and $2.3{\times}10^6$ conidia/ml, respectively.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CS-626 for successful infection was $1{\times}10^8$conidia/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S-626 strain of Verticillium lecanii has a strong potential for effectively controlling greenhouse whiteflies.

Test of Insecticidal Efficacy of Some Commercial Natural Products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Homoptera : Aleyrodidae), Bemisia tabaci(Homoptera : Aleyrodidae), and Spodoptera litura(Lepidoptera : Noctuidae)

  • Jeong, Hyung-Uk;Kim, Man-Il;Chang, Sung-Kwon;Oh, Hyung-Keu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2호
    • /
    • pp.105-112
    • /
    • 2009
  •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and the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are serious insect pests that have a wide host range including cucumber, tomato, and pepper. In this study, we tested larvicidal efficacy of several on-the-marke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to select the effective products after the target pests were stabilized in indoor rearing condition. The developmental periods of two whiteflie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 vaporariorum, egg duration is 9.6 days and nymph is 18.9 days, and in the case of B. tabaci, egg duration is 7.4 days and nymph is 15.2 days under $25^{\circ}C$ with relative humidity (RH) of $60{\pm}5%$ and a photoperiod of 16 L:8D. The total period of T. vaporariorum was 5 days longer than B. tabaci. Among 22 EFAMs six products showed more than 60% of insecticide efficacy against T. vaporariorum BTV B, BTV D, BTV G, BTV L, BTV M, and BTV S. On the other hand, seven EFAM products showed over 60% of insecticide efficacy against B. tabaci BTV D, BTV G, BTV K, BTV L, BTV M, BTV N, and BTV U. In the case of Spodptera litura previously, 16 EFAMs were tested against $2^{nd}$ instar S. litura, and six EFAMs were found to have more than 90% efficacy. Test of these six EFAMs against entire larval stag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lthough some of these products showed still more than 90% of insecticidal efficacy against up to $3^{rd}$ instar larvae, the efficacy of these EFAMs sharply decreased as ages increase, resulting in less than 60% of efficacy of the products at most. This result indicates the difficulty to control S. litura with the on-the-market EFAMs alone under economic injury level. Collectively, it is required to find more EFAMs, and find alternative method, and combined way of controlling to control those insect pests tested in this study.

친환경 농자재와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의 처리 간격이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treate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Control Efficacy of Isaria javanica Isolate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이병주;한지희;황정화;김정준;이상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1-642
    • /
    • 2017
  • 작물의 재배 과정 중에 발생하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친환경 유기농자재, 미생물 살충제, 화학 살충제와 같은 다양한 방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해충과 병을 방제하기 위해 동일한 포장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된다. 이 방제제들은 서로 영향을 미쳐 방제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살충제와 동시에 또는 동일 포장에 처리될 수 있는 다른 농자재의 혼용가능 여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하우스에서 가루이류 방제를 위해 등록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전처리가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해 개발된 Isaria javanica 균주의 포자 발아, 균사 성장 그리고 방제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담배가루이 방제용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I. javanica 균주는 4종(A, 파라핀오일+계피오일; B, 대두유; C, 님추출물+참깨오일; D, 채종유)의 가루이류 방제용 친환경 살충제 중 A 살충제에 의해 포자 발아($8.9{\pm}1.3%{\sim}24.5{\pm}0.9%$) 및 균사 성장($0.81{\pm}0.01cm{\sim}0cm$)이 감소되었다. 담배가루이 방제에서 친환경 유기농자재와 I. javanica 사이의 처리 간격이 미치는 효과 조사를 위해, 친환경 유기농자재 4종을 I. javanica 균주 처리 0, 1, 4, 7일 전 처리하고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친환경 유기농자재 전처리는 4종 모두 I. javanica의 담배가루이 방제효과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국내에 등록된 가루이류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4종과 개발된 곰팡이 살충제 I. javanica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할 경우, 상호영향을 고려하여 7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담배가루이를 방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