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wood cutting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9초

Propagation by Leafy Stem Cuttings Containing Xylem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 Hak Gon, Kim;Seong Hyeon, Yong;Hyung Ho, Kim;Myung Suk,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49-255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the proliferation of hybrid poplar (P.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an excellent biomass species. It was found that to collect the cuttings of Bonghwa1, it was necessary to use the main stem rather than the axillary branch. Stem growth by green-wood cutting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length of the collected cuttings increased, but the survival rate was low. Therefor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was attempt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cuttings. In th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method, 4 leaves were included in the cuttings, and especially, cuttings were performed using cuttings containing 2-4 cm xylem parts. Leafy stem cutting increased root growth and the number of stems, as well as the survival rate of hybrid poplar clone Bongwha1 compared to green-wood cuttings. The root growth of the leafy stem cutting poplar was better as there was more xylem part. Using two-year-old nursery stocks, the leafy stem cutting was used to produce about 66 cutt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ss propagation of high-quality nursery stocks.

왕벚나무 성숙목의 녹지삽목에서 Auxin 및 Fog 처리 효과 (Effects of Auxin and Fog Treatments on the Green-Wood Cutting of the Mature Trees in Prunus yedoensis)

  • 김장수;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76-683
    • /
    • 2007
  • 왕벚나무 성숙목(45~55년생)의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삽목 후 시기별 발근특성과 auxin 처리(Rootone, IBA 100 ppm, 무처리), 녹지삽수 종류(일반지, 맹아지) 및 fog 분무량(0.9 L/min., 0.54 L/min.)의 상이한 조합의 삽목실험이 수행되었다. 삽목기간에 따른 시기별 발근특성 중 발근율(PR)과 뿌리수(NR)에서, Rootone(l-naphthylacetamide 0.4%) 처리는 삽목 후 초기 발달이 매우 활발했으나 삽목 62일 후의 최종 결과는 오히려 발근이 늦게 시작된 IBA 100 ppm 처리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우세했다. 발근 완료시기는 2차근이 경화되는 삽목 후 62일 이후로 나타났다. 발근특성과 관련된 auxin, fog 분무량 및 녹지삽수 종류의 3요인 비교실험에서 auxin 처리는 IBA 100 ppm이 발근율 89.5%, 뿌리수 6.5개, 뿌리길이 6.4 cm로 가장 우수하였다. Fog 분무량 별로는 0.9 L/min.의 삽목실에서 발근율 76.5%, 뿌리수 6.4개로 0.54 L/min. 삽목실의 71.7%, 5.4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삽수 종류에 따라서는 맹아지 녹지삽수에서 발근율 74.8%, 뿌리수 5.9개, 뿌리길이 5.7 cm로 일반지 녹지삽수의 73.3%, 5.9개, 5.4 cm보다 발근율만 약간 큰 값을 보였다. 3요인 대부분의 조합간에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발근율은 평균적으로 맹아지 삽수가 다소 우수하였으나 일반지 녹지삽수+IBA 100 ppm+fog 분무량 0.54 L/min.에서 98.0%로 가장 우수하였다. 뿌리수는 fog 분무량 0.9 L/min.에서 일반지 녹지삽수가 우수했으나, 0.54 L/min.에서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삽목묘에서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는 $360^{\circ}$의 발근 형성은 IBA 100 ppm 처리에서 85.6%로 가장 우수하였다.

비목나무 번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agation of Lindera erythroearpa Makino)

  • 이동철;심경구;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0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propaga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the treatment of warm stratification for 1 month followed by cold stratification for 3 months, the germination ratio of seeds of Lindera erythrocarpa was from 84.6 to 93.6 percent. But, dry stored seeds lose their viability Quickly and should be placed in pretreatment im-mediately. Also, the seeds of control district germinated from 68.6 to 74.6 percent.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eed of Lindera erythocaeicarpa was not doubly dormant. 2. Softwood cuttings of Lindera erythrocarpa with 5,000 ppm IBA on August 4. 1992 resulted in the best rooting of 95.0 percentage. 3.Twenty percent of the graft union were obtained in the green wood grafting in Lindera erythrocarpa on June 7, 1993. And five percent of the graft union were obtained in the hard wood grafting in Lindera erythrcoar pa on April 6. 1993.

  • PDF

왕벚나무 성목 녹지삽목에서 삽목시기, 옥신처리 및 삽수부위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과 이식 삽목묘의 생육특성 (Effects of Cutting Time, Auxin Treatment,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of the Green-wood Cutting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nsplanted Cuttings in the Adult Prunus yedoensis)

  • 김장수;김진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6
    • /
    • 2012
  • 왕벚나무 성목(43-58년생)의 삽목묘 대량증식 방법을 밝히기 위해 삽목시기별, 옥신처리별 및 삽수부위별로 자동안개관수장치가 설치된 무가온 비닐하우스에 삽목을 실시했으며, 삽목묘의 가로수 식재 성공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발근된 삽목묘를 묘포장에 이식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에 따른 평균 발근율의 분산분석 결과는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나타났다. 시기별 평균 발근율에서 6월 1일의 삽목(61.4%)이 8월 1일(23.6%)보다 2배 이상 높아 6월 1일이 적합한 시기로 나타났다. 발근율이 가장 좋은 옥신 처리는 IBA $1,000mg{\cdot}L^{-1}$와 IBA $500mg{\cdot}L^{-1}$ 처리에서 각각 90.8%, 89.2%로 나타났으며, 발근율에 대한 각 처리간의 상호효과($P$ < 0.0001)가 인정되었다. 삽수부위에서 상단부 + IBA $1,000mg{\cdot}L^{-1}$ 처리가 발근율 9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삽목묘의 묘포장 이식 활착률 역시 옥신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인정되었으며, 잎이 있는 삽목묘의 평균 이식활착률은 46.5%로 낮았으나 IBA $1,000mg{\cdot}L^{-1}$ 처리는 79.2%로 높았다. 그러나 잎이 없는 삽목묘의 이식활착율은 8.7%로 대부분 고사하였다. 활착된 삽목묘와 접목묘 및 실생묘의 생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장(수고, 근원경), 뿌리수, 가지수, 잎수 등에서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나타났으며 삽목묘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안개관수장치로 안정적인 습도조절과 온도유지가 가능한 삽목실에서 6 - 7월의 삽목실시, 상단부 삽수의 선택, IBA처리 및 8월에 발근된 삽목묘의 묘포장 이식을 통해 개량된 왕벚나무의 대량증식과 성공적인 가로수 식재가 가능할 것이다.

황금(黃金)포도나무(Elder berry)의 삽목시험(揷木試驗) (Studies on the Rooting Ability of Cutting in Elder Berry(Sambucus canadiensis))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50
    • /
    • 1978
  • 본(本) 연구(硏究)는 천연식용색소(天然食用色素)와 고급주(高級酒)및 천연과실(天然果實) 음료(飮料) 개발(開發)의 중요자원(重要資源)이 되는 Elder berry의 다량증식(多量增殖)과 보급(普及)을 위(爲)하여 각처리별(各處理別)로 삽목실험(揷木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삽목상(揷木床)은 온실내(溫實內)에 온도(溫度)와 습도(濕度)를 완전자동화(完全自動化) 할때에 100%의 활착(活着)을 높일 수 있었고 처리간(處理間)에는 1%의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2. 품종간(品種間) 비교실험(比較實驗)에 있어서는 평균(平均) 93.8%의 삽목활착율(揷木活着率)을 보였고 품종내(品種內)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삽수(揷穗)의 각기관별(各器管別) 실험(實驗)에서는 평균(平均)57.5%의 삽목활착율(揷木活着率)을 냈으며 휴안지(休眼枝) 2 마디를 쓰는 것이 가장 좋았으며 처리간(處理間)에는 1%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4. 휴안아(休眼芽)의 삽목(揷木)이 가능(可能)하여 17.66%의 활착(活着)이 되었다. 5. 조직(組織)의 분화별(分化別) 및 경화도(硬化度)에 따른 삽목활착(揷木活着)에는 1% 이상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6月 15일경(日頃)의 반숙지(半熟枝)인 경우가 54%로서 가깅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 PDF

섬오갈피나무의 발아 및 유묘의 생육특성 (Growth of Seedl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 고한종;송창길;조남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2
    • /
    • 2003
  • 제주특산 식물인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 NAKAI)의 다량증식을 위하여 번식방법 및 유묘 생육 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는 15 에서 60일간 후숙시킨 다음 Kinetin 50ppm에서 24시간 침지후 5 에서 60일간 저온처리 하여 휴면타파한 것이 발아율 64%였다. 2. 녹지삽에서 호르몬 농도처리시 발근율은 IBA 100ppm에서 61.7%, NAA 50ppm에서 56.7%, IAA 100ppm에서 60.0%였다. 3. 녹지삽목에서 상토재료별 루톤 분의 처리 시 발근율은 송이+원예상토에서 76.7%, 비화산회토양에서 66.7%로 효과적 이었다. 4. 3월 30일 삽목하여 8월 10일 정식묘에서 활착율은 75%, 차광망 설치구에서 96%로 좋았으며 지상부 생육상황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좋았다. 5. 9월 30일 삽목하여 다음해 5월 2일 정식묘에서 활착율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91%로 좋았으며, 생육 및 수량성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양호하였다. 6. 전정부위에 따른 줄기 재생력은 지상 30cm 높이에서 전정한 것이 생육이 좋았다.

목서류(木犀類)의 증식(增殖)에 관(關)한 연구(研究) (Studies on the Propagation of the Genus Osmanthus)

  • 윤기식;구관효;조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19-24
    • /
    • 1986
  • 우리나라 남부지역(南地部域)에 있어서 관상(觀償) 및 조경수(造景樹)로서 이용(利用) 가치(價値)가 높은 목서류(木犀類)의 증식(增殖)에 관(關)하여 연구(研究)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쥐똥나무를 대목(臺木)으로 사용(使用)하여 접목(接木)을 해 본 결과(結果) 그 활착율(活着率)은 금목서(金木犀) 63% 은목서(銀木犀)가 60%로 나타났다. 2) 접목묘(接木苗)에 있어서 최초발순(最初發荀)은 접목일(接木日)로부터 28일(日)째 시작(始作) 되었고 신장(伸長)은 3차생장(次生長)까지 하였으며 그 신장(伸長) 비율(比率)은 금목서(金木犀) 63%, 은목서(銀木犀)가 59%로 나타났다. 3) 삽목상별(揷木床別)로 발근율(發根率)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perlite와 Vermiculite 1:1 비율(比率)의 혼합상(混合床)이 가장 효과적(効果的)이 었으며 그 성적(成績)은 금목서(金木犀) 93%, 은목서(銀木犀)가 90%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4) 삽목(揷木)에 의(依)한 묘목생장(苗木生長)은 녹지삽목(綠枝揷木)이 휴면지삽목(休眠枝揷木)보다 발근율(發根率)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접목묘(接木苗)에 있어서 신장생장(伸長生長)은 7월(月)과 9월(月)에 왕성(旺盛)한 생장(生長)을 나타내었으며 10월중(月中)이 신초생장(新梢生長)이 중지(中止)되었다. 6) 금목서(金木犀)의 접목(接木) 묘고(苗高)와 근원경간(根元徑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고 동시(同時)에 직선적(直線的) 관계(關係)($r=0.70^{**}$)가 성립(成立)되었으므로 안정(安定)된 생장(生長)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