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catechin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초

보성산 녹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화학 성분의 변화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 김상희;한대석;박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42-546
    • /
    • 2004
  • 국내산 녹차의 채엽시기가 녹차 중의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및 무기질 함량과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총 카테킨 함량은 40.61-52.04mg/g으로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조성은 채엽시기에 관계없이 EGC, EGCg, EC, CC, ECg, C, GCg 및 Cg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테킨류 중 기능성 작용이 우수한 EGC 및 EGCg는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온화한 떫은맛으로 후미에 감미를 남기는 유리형 카테킨인 EC와 EGC는 전체의 53.21%에서 57.09%를 차지하였다. 카페인 함량은 4월차 17.56mg/g, 5월차 15.71mg/g, 6월차 14.92mg/g 및 7월차 14.61mg/g으로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4월차 45.84mg/g, 5월차 22.64mg/g, 6월차 12.22mg/g 및 7월차 10.45mg/g으로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갖는 theanine의 감소 폭이 큰 것으로 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Fe, Mn 및 Mg는 증가하였으며, Cu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녹차 및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Green and Fermented Tea Extracts)

  • 손미예;김성희;남상해;박석규;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20-924
    • /
    • 2004
  • 국내산 녹차와 후발효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성분 및 몇 가지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차 추출물$(413.3\;{\mu}g/g)$과 후발효차 추출물$(405.7\;{\mu}g/g)$ 이 비슷하게 함유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은 후발효차 추출물 $(23.5\;{\mu}g/g)$보다 녹차 추출물$(46.8\;{\mu}g/g)$이 더 높게 포함되었다. 녹차 추출물의 catechin류에서는 EGC, GC, catechin, catechol 및 EGCG가 검출되었는데, 이 중 EGCG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후발효차의 열수 추출물에서는 EGCG가 검출되지 않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그 활성이 증가하였다. Hydroxyl radical의 소거능은 각 추출물의 $3000\;{\mu}g/ml$농도에서 $60\%$ 이상을 나타내었고, $\beta-carotene-linoleate\;system$에서는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후발효차 추출물보다 녹차 추출물에서 효과적이었다.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 김선봉;여생규;김인수;안철우;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0-168
    • /
    • 1995
  • Desmutagenicities against 2-amino-1-methyl-6-phenylimidazo[4, 5-b] pyridine(PhIP) and 2-amino-3, 8-dimethylimidazo[4, 5-f]quinoxaline(MelQx) of tea extracts (steamed green tea, roasted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ere investigated. All the fractions obtained from tea extracts showed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against PhIP and MeIQx toward S. typhimurium TA 98 in the presence of the S-9 mix. The crude catechin fraction exhibited the strongest desmutagenic activity. Among these tea extracts, black tea especially exhibited the strongest desmutagenic activity and the activity was 70.9~91.0% against PhIP and 92.2~98.8% against MelQx at a concentration(0.5~1.0mg/plate) for drinking. The activity of authentic catechins of (-)-EGC, (-)-EGCg, (-)-ECg and (-)-EC were 79.5%, 60.2%, 46.1% and 43.5% against PhIP, and were 52.3%, 11.6%, 8.2% and 22.1% against MelQx by addition of 1.0mg/plate, respectively. The desmutagenic activity was supposedly due to the (-)-EGCg, (-)-EGC and (-)-EC in tea polyphenols, and the browning materials. The desmutagenicity was stronger when mutagens were preincubated with S-9 mix after reaciton with black tea extracts than when preincubated with them after reaction with S-9 mix. The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s was rather expressed by reacting directly with mutagens than by deactivating the activated forms of mutagens.

  • PDF

체중감량 목적으로 사용되는 녹차추출물의 임상정보 (Clinical Information on Green Tea Extract Used for Weight Loss)

  • 윤영진;신상윤;정경혜;김은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2-346
    • /
    • 2018
  • Background: Green tea extracts are approved as nonprescription drug and available as health functional foods, health foods, and beverages. Clinical information on the products is lacking. Method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on green tea nonprescription drugs was obtained from the website of the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The Naver, i.e., a top ranking online search portal, was used for compiling the lis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using key words of 'green tea catechin' on August 23, 2018. The recommended daily dosages of catechins were calculated as 30% of the total dried mass of green tea and about 50% of the catechins were considered as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Results: A total of two types of nonprescription drugs containing green tea powder or extracts, nine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and three types of health foods were found. The regulatory requirements of the EGCG exceeding 800 mg were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of elevated liver enzyme. If consumers take several green tea products concurrently, such as nonprescription drugs with health functional foods or health foods, it could exceed the recommended amount of EGCG. Conclusion: The concurrent use of green tea products as nonprescription drug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healthy foods may lead to an increased exposure to EGCG. Pharmacists should be aware the availability of various types of green tea products and the potential risk of liver toxicity due to excessive consumption of EGCG.

케르세틴 분자각인 고정상 추출을 이용한 녹차에서 카페인 및 카테킨 화합물의 분리 (Separation of Caffeine and Catechin Compounds from Green Tea by Quercetin Molecular Imprinted Solid-Phase Extraction)

  • 김은철;노경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5-170
    • /
    • 2007
  • 고정상 추출에 케르세틴 분자각인 고분자를 흡착제로 하여 녹차에서 카페인과 +C, EGC, EGCG와 같은 카테킨 화합물을 추출하였다. Quercetin을 주형분자로, MAA를 단량체로, EGDMA를 가교제로 하고 AIBN을 개시제로 하여 MIP를 합성하였다. 녹차에서 카페인과 카테킨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고정상 추출에서의 주입, 세척, 용출용매로 각각 물, 메탄올, 메탄올:아세트산=90:10(vol.%)을 사용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조건은 C18 컬럼(5 μm, 250×4.6 mm, RS-tech 회사), 메탄올/물(40/60, vol.%)을 이동상 조건으로하고 유속은 0.5 ml/min으로 하였다. 분자각인 고정상 추출을 통과함으로써, 카페인과 카테킨 화합물의 분리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케르세틴 분자각인 고분자는 생성된 공극 구조와 유사한 화학적구조식을 가진 +C화합물에 대하여 더 우수한 선택성을 가졌다.

녹차로부터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from Green Tea)

  • 강지훈;박영광;정성택;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517-522
    • /
    • 1999
  • 실험에 사용된 녹차는 전남 보성에서 재배된 것으로 국내시장에서 구입하였다. 녹차 5g을 순수한 물 5$0^{\circ}C$에서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하였다. 추출액을 크로마토그래픽 컬럼 (4.6$\times$250 mm, 15$\mu\textrm{m}$, Lichrospher 100RP-18)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추출액으로부터 $\mu$-Bondapak $C_18$(3.9$\times$300mm, 10$\mu\textrm{m}$) 컬럼을 이용하여 녹차에 포함된 카테킨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EGC(Epigallocatechin, C(catechin), EC(Epicatechin),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CG(Epicatechin Gallate)의 순으로 용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는 목적물질인 EGCG를 분리하기 위해 이동상의 조성은 0.1%의 아세트산이 포함된 물/아세토나이트릴, 87/13 %(v/v)이었다. 유량은 1.0 $m\ell$/min, UV 검지기는 280nm로 고정하였다. 위의 실험조건으로 5g의 전남 보성산 녹차로부터 순도 98% 이상의 121.3mg EGCG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Dyeing Characteristics and UV Protection Property of Green Tea Dyed Cotton Fabrics - Focusing on the Effect of Chitosan Mordanting Condition-

  • Kim Sin-Hee
    • Fibers and Polymers
    • /
    • 제7권3호
    • /
    • pp.255-261
    • /
    • 2006
  •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many beneficial aspects of green tea to human such as anti-carcinogenic, anti-aggregant, anti-allergic, anti-bacterial,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Besides these beneficial aspects, it has been reported that green tea ingredients, especially polyphenolic families (i.e., catechin), have some UV protection property both in vivo and in topic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green tea extract was used as a dyeing stock for cotton and the UV protection property of the dyed cotton fabric was examined. To increase the affinity of cotton fiber to the polyphenolic components in the green tea extract, a natural biopolymer, chitosan, was used as mordanting agent. The effects of chitosan concentration in mordanting on the dyeing characteristics and the UV protection property were examined. Chitosan mordanted green tea dyed cotton showed better dyeing characteristic and higher UV protection property compared with the unmordanted green tea dyed cotton. As the chitosan concentration in mordanting increased, the dyeing efficiency and the UV protection property also increased. Therefore, adapting chitosan mordanting in green tea dyeing can increase the UV protection property of cotton fabrics to some extent.

녹차추출물 성분 catechin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Catechin on UVB-Induced Skin Damage)

  • 이은희;이종권;홍진태;정경미;김용규;이선희;정수연;이용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7-124
    • /
    • 2001
  • 녹차의 주요 성분인 catechin은 항돌연변이, 항종양, 항균, 항바이러스 활성 및 콜레스테를 저하, 혈압 상승 억제, 해독, 방사선 차단 작용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환경 오염의 급증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증가됨에 따라 피부노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암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역학적 및 실험실적 연구에서 자외선 조사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atechin이 UVB에 의해서 손상된 피부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광발암과정에서 catechin의 억제효과가 apoptosis에 어떤 영향을 주어 작용하는지를 in vivo hairless mouse skin에서 연구하였다. 녹차잎에서 추출한 catechin을 hairless mouse를 대조군, catechin을 처리한 군, 자외선을 처리한 군, catechin과 자외선을 처리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catechin의 농도는 3mg/mouse로 피부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100 mJ/$ extrm{cm}^2$ 조사하였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조직에 미치는 catechin의 영향을 H&E stain을 실시하여 확인하였고, apoptosis에 미치는 catechin의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NA laddering 형성 여부와 TUNEL assay로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apoptoic activity와 관련된 단백질인 p53연구하였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세포증식에 미치는 catechin을 영향을 bromodeoxyuridine(BrdU) 면역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자외선에 의하여 피부는 진피층의 교원섬유의 증가가 정상피부보다 2~3배 비후되었고, 염증세포의 침윤과 섬유화세포 등이 관탈되었으며 표피층은 두꺼워졌으나 상피세포가 소실되어 1~2층으로 되었다. UVB조사와 catechin을 2주간 처리한 후의 mouse의 피부는 표피층이 9~12층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세포의 핵은 과염색성을 보이며 커져있어 손상된 표피층 상피세포가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poptosis에 미치는 결과에서 UVB 조사군은 apoptosis의 대표적 특징인 DNA fragmentation이 관찰되었고, UVB와 catechin을 처리한 군에서는 생성되지 않아 뚜렷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TUNEL assay를 실시한 결과 UVB군과 catechin 군을 비교하였을 때 UVB+catechin군에서 apoptotic cells이 유의성 있는 차이(p<0.05)를 보였다. Apoptosis 관련 단백질인 p53발현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해볼 때 UVB군과 UVB와 catechin을 처리한 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자외선에 의한 세포증식에 미치는 catechin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BrdU에서는 UVB군과 UVB+catechin군을 비교하였을 때 UVB+catechin군에서 BrdU 세포수가 유의성 있는(p<0.05)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 녹차의 주요성분인 catechin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증식 및 apoptosis를 억제하고, 세포손상, 세포증식 및 apoptosis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Solid-Phase Extraction of Caffeine and Catechin Compounds from Green Tea by Caffeine Molecular Imprinted Polymer

  • Jin, Yinzhe;Row, Ky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2호
    • /
    • pp.276-280
    • /
    • 2007
  • In this work, caffeine and some catechin compounds + C, EC, EGC, and EGCG were extracted from green tea by using molecular imprinted polymers (MIP) as sorbent materials in a solid-phase extraction (SPE) process known as MISPE (molecular imprinted solid-phase extraction). For synthesis of MIP, caffeine was employed as the template, MAA as the monomer, EGDMA as the crosslinker, and AIBN as the initiator. A solution of caffeine (0.2 mg/mL in methanol) was utilized in the solid extraction cartridges following loading, washing, and elution procedures with acetonitrile, methanol, and methanol-acetic acid (90/10, %v/v) as the solvents, respectively. This solid-phase extraction protocol was applied for the extraction of caffeine and some catechin compounds from green tea.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with the MIP cartridges and a traditional C18 reversed-phase cartridge. It was thereupon found that the recovery of caffeine by the MIPbased sorbent used in this work was almost two and four times greater than that by a commercially available C18 material.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sing a C18 column (5 μm, 250 × 4.6 mm) with methanol/water (40/60, %v/v) as the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0.5 mL/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