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soil of golf cours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골프장 그린 토양에서 Metalaxyl의 흡ㆍ탈착 특성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Metalaxyl in the Green Soil of Golf Course)

  • 유병로;정경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7-234
    • /
    • 2002
  •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behavior of metalaxyl in environment which was used as pesticide in green soil of golf course and as fun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adsorption, desorption and degradation in soil textur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cid water containing metalaxy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n adsorption, desorption and degradation. The adsorption of metalaxyl played more significant role in organic contents than clay contents, and pH Increases more pH 2.5 than pH 5.6. The desorption of metalaxyl from contaminants soil decreased higher organic contents LS-soil than S-soil, but the desorption amount of metalaxyl increased more pH 5.6 than pH 2.5. The rate of degradation of metalaxyl in green soil environmental increased higher organic contents LS-soil than S-soil and decreased more pH 2.5 than pH 5.6.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havior of metalaxyl of the green soil was affected the soil texture of the golf course. Increasing of organic contents, the adsorption amount of metalaxyl on soil increased. Moreover the decrease of the pH of solution increased adsorption amounts and decreased desorption amounts. As the results, the transportation of metalaxyl in soil decreased the acidic rates. The acidification of soil by the acid rain increased the adsorption amount of metalaxyl, but the degradation of metalaxyl de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stain contamination in run-off the stream and ground water by residuals in soil.

USGA 공법으로 조성된 그린의 토앙물리성과 Bentgrass의 생육 (Turfgrass Establishment of USGA Putting Greens Related with Soil Physical Properties)

  • 권동영;이정호;이동익;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2
    • /
    • 2005
  • USGA green specification is currently accepted in construction method of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growth of turfgrass associated with soil physical properties of soil root-zone on golf green constructed with USGA method. Three putting greens in poor turfgrass and one in good turfgrass condition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on one golf course site at mid-South Korean peninsula. Soil hardness, moisture content, root length, and turf density were measured on-site greens,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lso analyzed in laboratory. As a result of on-site surveys and soil physical tests in laboratory,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urfgrass growth at tested greens. The results of soil particle analysis on green No. 2, in good turf condition, matched USGA sand particle recommendations. But those greens such as Nos. 1, 11 and 16, in poor putting greens, showed high soil compaction and improper soil particle distribution. Those factors created low leaf density, poor root depth, and higher moisture content compared with lower part of topsoil. Such phenomena caused inadequate turfgrass growth with soil hardening associated with poor drainage. Therefore, declin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improper particle distribution caused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urfgrass growth in golf green. Adequate test of soil particle analysis by USGA specification and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llowed by adequate turf maintenance should be performed to obtain optimal turf quality on putting green.

골프 코스관리 비용 분석 (Analysis of Maintenance Expense in various Golf Courses)

  • 유민준;이재필;주영규;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76
    • /
    • 2009
  • 본 연구는 골프장의 적정 코스관리 비용을 구명하고 국내 골프장 29개의 홀당 내장객당 비용과 골프장 8개의 항목별 및 장소별 비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홀 당 내장객이 증가할수록 홀 내장객당 비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2. 골프장 코스관리 비용을 결정하는 인자는 연 내장객, 코스면적, 운영형태, 코스자동화 시설 등이다. 3. 골프장의 단위면적당 코스관리 비용은 869원이었다. 4. 8개 골프장의 홀 당 평균 코스관리 비용은 44,325,000원이었다. 5. 골프장 코스관리 비용 중 인건비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인건비중 그린의 볼마크 보수 인건비가 홀 당 평균 4,163,000원 (26%)으로 가장 높았다. 6. 골프장 총 코스면적의 평균 30% 정도를 차지하는 페어웨이에 사용되는 재료비가 총 재료비용의 $22%{\sim}44%$이며 그중 수입비료, 병충해 방제농약, 배토용 모래등의 구입비가 가장 많았다. 7. 총 코스면적의 평균 2% 정도를 차지하는 그린에 사용되는 재료비가 총 재료비용의 $28%{\sim}36%$이며, 입자형 비료, 미량원소비료, 토양개량제 등의 수입 제품으로 인해 그 구입비가 가장 많았다. 8. 농약 대용으로 미생물, 키토산 등의 친환경제제가 대신 사용된 경우 비용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잔디 엽병을 유발하는 잠재인자로서의 남조류(Blue-Green algae)에 대한 관찰보고 (Blue-green algae as a Potential agent Causing Turf Leaf Disease)

  • 박대섭;이형석;홍범석;최병만;전재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8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가능성에 대한 연구로, 2008년 7월 경기지역 골프장내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식재된 티잉그라운드에서 흑갈색 얼룩 반점병을 일으킨 잎조직이 발견되면서 조류에 의한 잔디 병 발생 요인과 대책을 조사하였다. 1.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반점 염조직으로부터 다수의 남조류(blue-green algae)가 관찰되었고, 흑갈색 반점이 형성 부위의 엽몸, 엽귀, 그리고 엽집에서 남조류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병조직 이외의 개체내 건전부위와 줄기에서도 남조류 파편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남조류는 Oscillatoria 계통이 많았다. 2. 잔디밭에서 남조류는 토양 내 뿌리나 지제부에서 관찰되는데, 이번 관찰시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흑갈색 얼룩반점 병반부위인 상단 엽조직에서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병조직 주위의 건전한 부위에서도 작은 파편형태의 남조류들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현재까지 식물조직 내 남조류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지만 조직 내에서 남조류의 이동 가능성도 있다. 3. 흑갈색 얼룩반점이 형성된 켄터키 블루그래스 뿐만 아니라 황화현상이 발생한 벤트그래스 퍼팅그린의 잔디 잎에서도 남조류가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초종에 따른 조류의 영향에 대한 세부연구가 수행되어져 야 할 것이다. 4. 약제처리로 조류 억제와 흑갈색 얼룩 반점 경감효과를 가져왔는데 프로피코나졸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프로디온과 아족시스트로 빈 순으로 조류 억제가 관찰되었다. 6. 특히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 조류 방제가 어렵고 적절한 조류억제제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조류에 대한 일반적 관리에 머무르기보다는 더 적극적인 방제 방안 및 사전 예방 관리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6. 끝으로 향후 조류의 잔디 조직 내 이동 및 감염 경로를 규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반 조성과 관리방법에 따른 골프장 토양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Method and Maintenance Practise on Soil Profile in Golf Courses)

  • 문경희;김기동;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9-228
    • /
    • 2009
  • 골프장은 인공적으로 건설되어 지고 관리되므로 당연히 환경의 변화가 생성된 곳이므로 건설방식이나 관리 방법에 따라 코스 내 토양 미생물 군집 구조의 특이성이 있을 것이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농약 용탈 저감방안으로 골프코스 그린지반구조에 농약 흡착층을 설치하고 그 재료로 흡착성능이 우수한 입상 활성탄 1등급을 사용할 것을 환경 영향평가서에 명시하고 있다. 본 실험은 활성탄이 처리된 제주도 A, B 골프장을 대상으로 토양에서의 화학적 특성변화와 미생물 군락변화를 분석하였다. 2007년 4월, 6월, 8월 10월에 걸쳐서 총 박테리아 수, 총 곰팡이 수, 수분함량 및 토양 이화학성(pH, EC, NO3-,NH4+ 및 P2O5)의 변화를 그린과 페어웨이에서 깊이별(표토:0-15cm, 심토: 15-30cm)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활성탄의 시용이 수분 보유 능력, 토양산도, 전기전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나, GAC의 물질의 수착 능력에 의하여 유효 양분들을 많이 보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가용성 질산과 암모늄, 및 인산의 농도를 높이는 효과는 없었다. 토양 미생물 실험에 있어서는 총 박테리아 및 총 곰팡이의 시기적 변화가 다양성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농약의 시용에 따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총 곰팡이/총 박테리아 비(F/B ration) 는 활성탄을 혼합한 토양 심토(15-30cm)에서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GAC 토양층의 설치 방법이나 시비와 시약 등이 미생물군집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이는 농약의 시용이 잔디관리에 큰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Methiozolin의 분석법 개발 및 골프장 그린에서의 잔류소실특성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 of methiozolin and dissipation in golf course's green)

  • 조형욱;황규원;황기환;문준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31-336
    • /
    • 2016
  • Methiozolin의 토양, 유출수, 잔디 중 잔류 분석법 확립 및 토양과 그린잔디에서 잔류량 감소현상을 연구하였다. 잔류량은 acetone으로 추출 후,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고, SPE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자외선 검출기가 부착된 HPLC로 280 nm에서 검출하였다. 최소검출량과 정량한계는 유출수, 잔디, 토양에서 각각 1.0, 0.5, 1.0 ng과 0.001, 0.1, 0.01 mg/kg이었다. 분석법의 회수율은 유출수, 잔디, 토양에서 각각 87.5~111.3, 92.8~97.4, 78.2~98.5 %로 methiozolin 잔류분석에 적합하였다. 골프 코스 그린에 약제 처리 후 0, 1, 4, 7, 14, 30, 45, 60일차에 토양과 잔디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methiozolin 잔류량은 하부 토양으로 이동현상이 관찰되지 않았고, 잔디와 잔디 근권토양에 존재하였다. 잔디와 토양 중 반감기는 각각 10.7일과 8.8일로 확인되었다.

Biological Turf Restoration

  • ;김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34
    • /
    • 1993
  • There is a growing concern in the United Stares over the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avy use of water, pesticides, and inorganic ferilizers in maintaining picture perfect golf courses. There is also a growing awareness that a beautiful course is not necessarily a healthy course. The following discussion reviews the interrelationship of turfgrass and the soil that supports it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currently available alternatives to turf management practices that feature intensive application of inorganic fertilizers. water and pesticides. Soil is a dynamic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microorganisms play an important role. Soil contains a large mass of microorganisms which produce thousands of enzymes that can catalyze the transformation and degradation of many organic molecules. (In top soil under optimum conditions may contain 10 billion cells per gram of soil.). Turfgrass and the soil which supports it are interdependent. The natural organic cycle as applied to turf and soil begins with healthy vigorous grass plants storing up the sun's energy in green plant tissues as chemical energy. Animals obtain energy by eating plants and when plants and animals die, their wastes are returned to the soil and provide "food" for soil microorganisms. In the next step of the organic cycle soil microorganisms break down complex plant tissues into more basic forms and make the nutrients available to grass roots. Finally, growing plants extract the available nutrients from the soil. By free operation of this organic cycle, natural grasslands have some of the most fertile soils on earths.

  • PDF

크리핑벤트그래스와 애뉴얼블루그래스 그린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살균제 효과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for Dollar Spot Control on Creeping Bentgrass and Annual Bluegrass Putting Green)

  • 제임스 팝코;옥창호;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1-164
    • /
    • 2010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북미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중요한 잔디병이다. 동전마름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잦은 약제처리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전마름병에 대한 농약의 단용 혹은 다른 약제와의 혼용 처리를 통해 약제의 효과를 평가하고,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브라운 패치(brown patch)와 Pythium aphanidermatum에 의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이차 방제효과(secondary effect)도 조사하였다. 평가기간동안 동전마름병은 유리한 기상조건으로 인하여 평가하기에 적당한 병 발생을 보였다. 처리한 살균제 중 Rhapsody 단용처리를 제외한 모든 살균제의 단용 혹은 혼용처리에서 동전마름병에 대한 유의성 있는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동일한 처리구에서 브라운 패치에 대한 병 방제효과도 인정되었다. 모든 살균제에서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우리나라 골프장의 농약사용 실태 및 관리방안 (Status and Management Strategy of Pesticide Use in Golf Courses in Korea)

  • 김동진;윤정기;유지영;김수정;양재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67-277
    • /
    • 2014
  • 골프장에서 제초와 병해충방제를 위해 농약의 사용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농약은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을 경우 주변 환경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골프장의 농약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통계나 체계적 관리방안이 없는 실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골프장에서 사용되는 농약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조사하였다.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골프장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1년 말 기준으로 421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면적으로 $379.53km^2$이다. 이와 더불어 농약사용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216품목의 농약이 성분량 기준으로 총 118,669.4 kg이었고, 살균제(54.9%) > 살충제(24.4%) > 제초제(13.3%) > 생장조정제(0.1%) 순이었다. 2011년 골프장별 평균 농약사용량은 성분량으로 280.9 kg이였으며, 단위면적당 평균 농약사용량은 $5.4kg\;ha^{-1}$이였으나 이는 일반 농경지에서의 사용량의 50%에 해당되는 것이다. 골프장별 사용량은 $0.0-21.9kg\;ha^{-1}$ 범위로 편차가 매우 컸다. 골프장내 잔류농약성분의 검출빈도는 green > fairway, 잔디 > 토양 순이었다. 과거에는 일부 골프장에서 고독성농약을 사용하거나 검출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하지도 않으며 검출되지도 않았다. 골프장의 농약사용의 실태를 파악하고 농약에 따른 환경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2010년 초에 '골프장 농약 사용실태 관리시스템'(환경부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골프장에서의 농약사용 모니터링과 잔류 농약 검사에 관한 선진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농약 잔류량 검사는 토양, 잔디 및 유출수 시료에 대해 실시하고 있고 검사시료는 골프장의 규모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정하였다. 우리나라는 골프장의 농약사용에 관련된 업무를 여러 부처에서 담당하다가 2009년부터 환경부로 일원화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법령과 행정규칙 등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이다. 골프장에서의 농약사용과 관리 및 주변 생태계와 인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별 골프장에 적합한 지역특이적 최적 관리방안(site-specific best management practices)이 우선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위해서는 위해성평가의 도입이 우선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골프장의 농약사용 및 농약잔류량 검사,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기초연구, 환경오염 저감기술 등 관련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정부에서는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개선 발전시켜 골프장에 의한 환경피해를 최소화하여 골프장이 친환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골프장 모형그린에서 활성탄, Orpar또는 Zeolite의 처리가 Fenitrothion, Triadimefon, Diniconazole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tivated Carbon, Orpar or Zeolite on Leaching Loss of Fenitrothion, Triadimefon and Diniconazole in Model Green of Golf Course)

  • 오상실;고용구;정종배;현해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97-102
    • /
    • 2001
  • 제주도에서 지하수의 충전지역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한라산의 중산간 지역에 집중적으로 골프장이 건설되고 있어 잔디 관리용으로 살포된 농약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흡착제인 활성탄, Orpar또는 zeolite를 Iysimeter 형태의 모형그린에 35 cm 깊이에 3 cm 두께로 처리하여 농약의 용탈 억제 효율을 비교하였다. 시험 농약으로는 fenitrothion, triadimefon, diniconazole을 수화제로 모형그린 표면에 살포하였으며 통상적인 그린 관리 조건하에서 농약의 용탈현상을 조사하였다. 용탈현상은 주로 자연강우에 의해 발생되었으며 비강우시의 관수는 농약의 용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잔류성이 짧거나 흡착성이 큰 농약인 fenitrothion과 triadimefon의 용탈은 강우량이 많은 조사 초기에만 매우 제한적으로 일어났으며 특히 fenitrothion은 용탈 가능성이 거의 없는 농약으로 나타났다. 잔류성이 긴 diniconazole은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또 가장 높은 농도로 용탈되었다. 따라서 투수성이 크고 유기화합물에 대한 흡착력이 낮은 사질의 그린 조건에서는 농약의 잔류성이 용탈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초기 살포량을 기준으로 계산된 용탈율을 보면 fenitrothion과 triadimefon은 0.2% 이하였으며 diniconazole은 1.8% 정도로 비교적 높았다. 흡착제의 처리로 이들 농약의 용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활성탄과 Orpar를 흡착제로 처리한 모형그린에서 농약의 용탈율을 0.01%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흡착제를 처리하지 않을 경우에 용탈수 중에서 검출된 농약의 농도는지하수로 유입된다 하여도 음용수의 수질 측면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로 낮았으며,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를 처리함으로써 골프장에서의 농약 용탈 문제를 보다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