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area

검색결과 2,346건 처리시간 0.031초

녹지네트워크의 기능향상을 위한 서울시 중구의 옥상녹화 입지 선정 - 조류를 목표종으로 활용하여 - (Selection of Green-Roofs' Location to Improve Green-Network in Junggu, Seoul - Using a Bird as Target Species -)

  • 박종훈;양병이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3-10
    • /
    • 2010
  • The subject is to find green roofs' location as stepping stones in green-network in fine scale. The study site is Junggu, Seoul, which has core areas(Bukaksan and Namsan) and green areas(parks, etc.).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loser to core areas and green areas, target species reach green roof easier, and target species must be avifauna(flying species) and high class in food chain, because of possibility of reaching. So, Great Tits, inhabited in Namsan and urban bird, is target species. The location standard of green roofs, realized birds' reaching distance, consists of home range(horizontal range and vertical range) and roof-greening capable area. The green roofs' distribution of location was resulted through GIS analysis of feasible site finding, and classified with weight of score. In discussion, Namsan gives more effect to locate green roofs than Bukaksan does and selected buildings which are grouped in some parts need to be managed with group, green roof district.

소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토환경영향성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화성시 소규모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g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to Small Area Development -The case of small area development in Hwasung-City, Gyunggi-Do-)

  • 오승륜;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9-630
    • /
    • 2009
  • The study area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is Hwaseong city, Gyeonggi-Do where small scale development is currently in progress. For the last three years, we carried out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by u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Most of development works in Hwaseong city, Gyeonggi-Do are small scale developments which are related with factory and distribution complex based on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Howeve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is not being sufficiently reflected beforehand. Especially, because the development takes place mainly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 fine forest is continuously being damaged. We analyzed changes in green zone caused by the developments.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original green zone was decreasing while the percentage of artificial green zone was increasing. We should maintain the percentage of the original green zone in order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damage of the DGN (Degree of Green Naturality, 7) area that has high conservative value was little, but, there was serious damage in the area of DGN 6. In order to conserve natural environment,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nvestigation should be seriously carried out for mitig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amages.

녹지 조건에 따른 최고기온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Maximum Temperature Condition in Green Space)

  • 윤용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1-186
    • /
    • 2001
  •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수림형태 등이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아래와 같은 효과가 실증되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녹지 내의 토지피복현황과 기온분포, 토지피복비율 및 녹적량과 기온 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포장면과 나지 주변에서는 고온역이, 수림지와 수면 주변에서는 저온역이 형성되었다. 특히, 교목+소교목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구역과 수림으로 둘러싸인 수면, 소하천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이었다. 또한, 저온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은 토지피복비율(수림지, 초지, 수면)등이고, 그 토지피복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기온저감효과가 서로 달랐다. 더욱이 녹정량과 기온과의 관계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고, 그 효과는 교목, 소교목, 관목의 순이다.

  • PDF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단지의 녹지면적에 따른 온도변화 모형 (Variation Profiles of Temperature by Green Area of Apartments in Gangnam, Seoul)

  • 홍석환;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3-60
    • /
    • 2004
  • 아파트단지 내부녹지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 한강 이남지역에 위치한 아파트단지중 36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내부온도는 Landsat ETM+영상 2scene을 분석하여 추정하였으며 온도변화 영 향요인으로는 토양피복유형과 건물밀도, 식생활력도로 구분하였다. 토양피복유형과 아파트단지내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녹지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불투수포장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폐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투수포장지를 녹지면적과 불투수포장면적에 각각 합산한 값과 온도값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투수포장면적을 불투수포장면적에 합산하여 산출한 상관계수보다 녹지면적에 합산하는 것이 상관계수가 보다 높게 나타나 투수포장지역도 녹지지역과 함께 도시온도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밀도의 요소로 선정한 용적율은 온도값과 유의성이 없었으며 NDVl는 값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았다. 아파트단지내 온도분포모형 구축을 위해 투수+녹지율, 녹지율, 건폐율, NDVI값을 독립변수로, 대상지온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두 시기 영상 모두 독립변수 중 투수+녹지율만이 회귀식에 채택되었으며 회귀식의 수정 결정 계수($R^2$)는 각각 41.4(2000년 9월)와 40.4(2001년 6월)이었다.

도시 공원녹지의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 비교 및 적용 - 서울시 구로구를 사례로 - (Comparison and Application Quantitative Indices for Analyzing Total Green Space in an Urban Area - Guro-gu in Seoul -)

  • 이경재;최진우;한봉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구로구를 대상으로 공원녹지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를 비교하였다. 지표는 도시계획상, 평면적, 입체적 공원녹지 총량으로 구분하였다. 도시계획상 공원녹지 총량의 지표로써 구로구의 1인당 공원면적은 $2.34m^2$로 공원녹지의 부족을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1인당 공원면적 지표는 도시관리계획에 의해 지정된 공원면적만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녹지인 미지정된 산림, 하천 등과 시가화지역 내 녹지가 포함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평면적 공원녹지 총량의 지표로써 구로구의 1인당 녹피면적은 $18.85m^2$로 실제 녹지를 최대한 반영하였다. 1인당 녹피면적은 시가화지역 내 녹지면적 확대에 초점을 맞추는 지표로써 실질적인 도시녹화의 지표로써 활용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공원녹지 총량개념이 아직까지 면적단위로만 파악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입체적 공원녹지 총량의 지표로써 구로구의 1인당 생육수목주수는 4.1주이었고, 1인당 녹지용적은 $35.8m^2$었다. 이 지표는 고밀도로 개발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수목량 증진 등의 질적인 향상계획에 반영할 수 있었다.

S&T Policy Directions for Green Growth in Korea

  • Jang, Jin Gyu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1호
    • /
    • pp.1-21
    • /
    • 2010
  • To achieve the "low carbon green growth" vision, the first step is securing core technologies. Therefore, S&T policy direction for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is urgently needed. As of 2008, investment in green technology (GT) development hovered around 10% of the government's total R&D budget. Thus, the Korean government developed a plan to increase that percentage to 15%, by 2013. To develop reasonable investment strategies for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targeted strategies that reflect technology and market changes by green technology area are needed. However, the overall planning and coordination of national GT development is currently split among, approximately, 10 government ministries. To establish an efficient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system, the so-called "Green Technology R&D Council" should be launched in collaboration with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and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Furthermore, to build a solid foundation for commercializing the outcomes of GT development projects and promote GT transfer, the government should undertake two initiative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reinforce GT R&D performance management, by establishing a GT R&D performance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the "customized packaged support for promoting green technology business rights and commercialization" and present "e-marketplace for market-oriented green technologies". Creating a pan-ministerial policy for GT development policy would necessitate restructuring the HR(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which is currently separated by technology area. Based upon mid/long-term HR supply and demand forecasts, the government should design differentiated HR development projects, continuously evaluate those projects, and reflect the evaluation results in future policy development. Finally, to create new GT-related industries, the "Green TCS (Testing, Certification, and Standards)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diffusion of R&D results by green technology area, a common standardization plan for testing, analysis, and measurement, like the "Green TCS", should be developed and integrated.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흑화 발현에 미치는 수조색깔 및 자갈기질의 영향 (Influence of Background Color and Substratum on the Blind-side Hypermelanosis in Starry Flounder Plathchthys stellatus)

  • 김원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841-847
    • /
    • 2016
  • To study the influence of background color and substratum on hypermelanosis of starry flounder, we compared the daily food intake (DFI), the feed efficiency (FE), the survival, the growth, the ratio of pigmented area on the blind side and the ratio of hypermelanic fish duplicately reared for 180 days in dark-green FRP aquarium (control), white FRP aquarium together with dark-green substratum. The ratio of pigmented area on the blind sid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dark-green group than at the white group. DFI, FE and growth were higher in the dark-green substratum. Pigmented area rate and ratio of hypermelanic 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dark green group than at the high dark-green substratum. The results suggest that bright tank color and substratum bottom could inhibit the hypermelanosis.

수도권 개발제한구역의 경관생태학적 가치평가 (An Assessment of Landscape Ecological Value of Greenbelt 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오규식;박지혜;이동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867-878
    • /
    • 2011
  • Development restriction areas (greenbelt areas) of Korea were recognized in 1970 as a means to control urban sprawl and con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achievements, for a long time many planners and residents have requested a redefining of the green belt due to individual property rights restrictions and urban management problems. In fact, a lot of the greenbelt area is being destroyed by urban development. Therefore, conservation of ecological spaces in the green belt is needed to maintain urban naturaln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efficient methods to manage the greenbelt through the adoption of a landscape ecological value assessment. The greenbel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is represented as the case study because there has been mounting pressure to develop the area in Korea.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of the landscape ecology in the greenbelt area focuses on landscape structure and function. The assessment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First, patches were derived by NDVI analysis using landsat remote sensing data. Second, characteristics of the patches were quantified by analyzing the landscape structure, such as patch size and shape index. Lastly, the gravity model and least cost path analysis to assess connectivity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landscape function in the green belt areas. The assessment result showed that 48.45% of green belt area should be conserved to maintain ecological stability and function. Moreover, major ecological networks were identified near the large patches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s. However, relative low ecological values were identifi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green belt area due to the lack of green spaces. Furthermore, some development plans in the green belt were also identified near the conservation area.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toration needed areas to enhance ecological value in green belt were displayed. This study suggests efficient management of the greenbelt area, which is disappearing as a result of urban development. The area for conservation chosen in this study should be managed carefully in urban planning.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green belt polices and plans for the promotion of ecological naturalness and stability.

중국의 도시녹지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에 관한 법제도의 현황과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in China)

  • 신익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녹지에 관한 현행 중국의 법제도를 조사하여 도시녹지의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을 항목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그 속성을 이해하고, 국내 규정과 상이한 특이점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향후 이들 법규의 국내 도입 여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원녹지, 생산녹지, 방호녹지, 부속녹지, 기타녹지 등 5종류로 구분되는 중국의 도시녹지는 공원과 녹지 개념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점이 공원과 녹지가 엄밀히 구분되어 있는 국내의 공원녹지 개념과는 상이하며, 종합공원, 공동체공원, 전문공원 및 대상(帶狀)공원 등으로 구분되는 중국의 도시공원의 종류는 하위 법규인 '도시녹지분류표준'에서 밝히고 있다. 둘째, 옥상조경 시 중국에서는 주민 출입이 용이한 지하나 반지하 건물의 옥상 외에는 옥상조경의 조경면적을 도시녹지의 녹지율 산입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고, 도시 주민들의 생활환경 확보를 위해 거주구 계획 설계 시의 녹지 요구 조항과 거주구, 소구(小區), 조단(組團) 등 거주구 종류별 의무적 공공녹지 확보율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셋째, 거주구 내 녹지계획 시 녹지계통 수립이 의무화되고, 기존 수목과 녹지의 보존 이용을 명시하고 있다. 녹지율은 구거주구 재정비시의 경우 신거주구 건설시보다 완화시켜 주고, 특이하게 녹지 경사도를 별도로 명시하고 있다. 거주구공원, 어린이공원(소유원(小遊園)), 조단(組團)녹지 등 각급 중심녹지의 설치 내용, 요구사항 및 최소 면적 규모가 명시되어 있고, 특히 조단녹지의 일종인 정원식 조단녹지는 폐쇄형 녹지와 개방형 녹지로 분류하여, 다층 고층 건물별로 남 북측 건물 간격과 녹지 면적 확보치를 밝히고 있으며, 녹지 면적 계산법이 별도의 규범에 제시되어 있다. 넷째, 거주구별 달성해야 할 거주구 내 공공녹지의 1인당 확보 면적인 총 지표가 정해져 있고, 이 경우 노후 구역 재정비시에는 일정치까지 완화할 수 있다. 공공녹지의 위치와 규모, 최소폭, 개소당 최소 면적 등이 명시되어 있고, 도로와의 인접, 전체 면적 대비 녹화 면적비, 개방적 공간 확보, 일조음영선 범위 등 공간 배치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다섯째, 지하관선 설치 시의 녹지 고려 사항으로 지하관선과 주변 녹화수목과의 최소 수평 이격거리가 명시되어 있고, 공공서비스 시설 중 녹지 설치를 위해 종류별 서비스 내용에 따른 녹지 설치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국내 규정에는 없는 중국 법규만의 특이점에 대한 국내 도입 여부의 검토가 향후 요구되고,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의 도시녹지 관련 법제도 연구의 당면성에 대한 국내 조경가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조경 법제도의 국제화 진입의 계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생태면적율 제도에 대한 비교연구 (A Study of Comparison Betwee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Ecological Area Rate System in Apartment Housing)

  • 김철;임태섭;김병선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91-1296
    • /
    • 2008
  • Recently, ecological area rate system become effective due to enlargement of recognition and high intellectual standard and for ecological circulation in urban areas. Ecological area rate system is to control environmental quality of life what has grown worse in urban districts and corresponds to purpose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for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suggestions through research of theory and comparison between ecological area rate system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