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seed oil.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1초

저강도 모르타르에 있어 유지류 침지의 영향 (The effect of fat and oil soaking for low-strength mortar)

  • 백철;김민상;문병룡;황찬우;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3-114
    • /
    • 2016
  • In this study, various fats and oils were soaked in low-strength mortar to experiment what kind of fats and oils had the worst effect on low-strength mortar; it went as follows. For rate of change in length of fat and oil soaking,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order of pig fat, bio-diesel, grape seed oil, and water; in the case of olive oil it was destroyed within 56 days. For rate of change in mas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order of bio-diesel, water, pig fat, grape seed oil, and olive oil. For relative motion elastic coefficient, there was a decrease in the order of olive oil, grape seed oil, and water. On the whole, pig fat, bio-diesel, and olive oil were shown to have the worst effect on low-strength mortar.

  • PDF

포도씨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의 급여가 흰쥐의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pe Seed Oil, Perilla Oil, or Corn Oil-Containing Diet on Lipid Patterns in Rats and Fatty-Acid Composition in Their Liver Tissues)

  • 강명화;박원종;이지현;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3-10
    • /
    • 2005
  • 포도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식이급원이 상이한 들깨유 및 옥수수유를 흰쥐에게 급여하여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받은 쥐의 체중은 7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급여받은 쥐는 7주 후 체중이 감소하였고 다른 유지군을 급여받은 군들은 8주째부터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 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일반식이군이 높았고 식이효율은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지질패턴 분석결과, 총지질 농도는 들깨유을 혼합한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중성지방과 인지질 농도는 일반식이군에게 들깨유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은 일반식이군이 고지방 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식이군에 포도씨, 들깨유 및 옥수수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던 반면 고지방 식이군와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HDL-C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은고지방식이군과 일반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고지방식이에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포도씨유 급여군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DL-ChDL-C 수치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다른 식이지방에 비하여 PH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은 혈중 지질패턴을유익하게 바꾸어준 결과이며, 이로 인하여 동맥경화인자인Al 지수가 CHF군에 비해 PHF군과 GSHF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지방, 총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 함량은 일반식이군은 들깨유군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이 포도씨유군 및 옥수수유군 순으로 관찰되었다. 간조직의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일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지 급원에 따라함유하는 지방산 조성의 비율도 달라져 식이 급원에 의해 생체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지의 종류를 달리한 호박냉동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ced Pumpkin Paste Cookies Prepared Using Different Fat and Fatty Oils)

  • 신동선;유선미;박보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9-516
    • /
    • 2014
  • 소비자의 건강지향적인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건강기능성 제품 개발에 응용하기 위해 버터, 대두유, 올리브유, 포도씨유의 유지를 달리하고 호박페이스트 첨가냉동쿠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쿠키 반죽의 특성으로 반죽의 pH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버터가 pH 6.55로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유, 대두유 및 포도씨유가 각각 pH 6.47, 6.43 및 6.46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죽의 밀도는 버터가 1.37 g/mL로 가장 높았고 수분함량은 버터가 14.65%로 가장 낮았으며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의 수분함량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쿠키의 퍼짐성을 측정한 결과 버터 쿠키가 가장 높았고 대두유 쿠키가 가장 낮았다. 쿠키의 색도의 경우 L값은 올리브유 쿠키, a값은 대두유 쿠키, b값은 포도씨유 쿠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쿠키의 경도는 대두유 쿠키가 698.26으로 가장 높았으며 버터 쿠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쿠키의 관능적 기호도 평가에서 모든 평가항목에서 포도씨유 쿠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쿠키의 산화안정성으로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식물성 유지가 버터보다 낮은 산가를 나타내어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며 버터 쿠키에 비해 포도씨유 쿠키가 증가의 폭이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쿠키 재료 중 버터를 대신하여 식물성 유지인 올리브유, 대두유, 포도씨유 모두 대체 이용 가능하며 특히 건강기능성에 부합하고 산화안정성으로 효과적인 포도씨유 쿠키가 좋을 것으로 보인다.

포도씨유를 사용한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Different Fat and Methods)

  • 정경임;신은수;김상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3-479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nsory proper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oduced using different fats(butter, grape seed oil) and mixing methods(Creaming method, Foam method, Single-stage method). The muffins weighed between $63.25{\sim}64.50$ g and were $5.77{\sim}6.42$ cm in height. In a texture analyzer test, muffins prepared via the single-stage method with butter evidenced the highest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among the five kinds of muffin prepared in these experiments. The springiness value was highest in the muffin prepared via the foam method with grape seed oil. In the sensory evaluation, we det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uffins in terms of flavor($4.76{\sim}5.24$), taste($4.65{\sim}5.29$), softness ($4.65{\sim}5.41$), and overall acceptability ($4.47{\sim}5.29$).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control group(p<0.05) than in the muffin prepared via the foam method with grape seed oil(p<0.01). We no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uffins in terms of crude lipids or crude ash content.

포도 종실유의 지방질 성분 (Composition of Grape Seed Oil)

  • 유진영;신동화;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7-260
    • /
    • 1984
  • 포도가공시 얻어지는 부산물인 종실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종실지방질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은 총당 $2.78{\sim}5.13%$, 조단백질 $7.68{\sim}15.37%$, 석유에테르추출물 $11.31{\sim}16.96%$, 조회분 $1.81{\sim}2.91%$이었다. 포도종실지방은 $89.5{\sim}99.3%$의 트리그리세리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산은 주로 팔미트산$(6.7{\sim}9.1%)$, 올레산$(13.4{\sim}20.7%)$ 및 리놀레산$(68.1{\sim}78.1%)$으로 구성된 올레-리놀레산계 지방질이었다.

  • PDF

포도씨유 및 추출물의 카테킨류 측정방법 개선 (An Improv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techin and Its Derivatives in Extract and Oil of Grape Seeds)

  • 문성옥;이준영;김은정;최상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76-585
    • /
    • 2003
  • 현재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 공전에서 포도씨유 및 추출물의 catechin 함량 측정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닐린비색법을 polyamide cartridge를 사용함으로써 개선하였고 보다 정확하며 재현성 있게 catechin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HPLC 방법을 개발하였다. 포도씨유 및 용매(열수,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추출물의 catechin 함량을 바닐린비색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0{\sim}40\;mg%$ (g/포도씨유 100g) 및 $17{\sim}43%$(g/추출물 100g) 범위를 차지하였다. 반면, polyamide cartridge를 사용한 개량 바닐린비색법으로 위의 포도씨유 및 추출물의 catech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미량($1{\sim}5ppm$) 및 $4.0{\sim}7.5%$ 차지하였다. 한편, HPLC 방법으로 포도씨유의 catech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포도씨의 주된 4가지 catechin 성분[(+)-catechin, procyanidin $B_2$, (-)-epicatechin 및 (-)-epicatechin gallate]은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포도씨 용매추출물의 catech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4가지 주된 catechin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catechin 및 (-)-epicatechin 함량이 각각 $1.35{\sim}2.60%$$2.35{\sim}4.59%$ 범위로서 상당히 높은 반면, procyanidin $B_2$ 및 (-)-epicatechin gallate 함량은 각각 $0.77{\sim}1.36%$0.06${\sim}0.30%$ 범위로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HPLC에 의해 국내의 포도 품종별 및 산지별 포도씨의 catechin 조성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와같이 위에서 정립된 HPLC 방법에 의한 포도씨의 4가지 주된 catechin 성분의 회수율은 95% 이상으로 높았으며, 재현율은 모두 5% 미만의 편차를 나타내어 분리효율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4가지 catechin 성분의 검출한계는 $1{\sim}5\;ppm$ 범위를 나타내었다.

포도씨 지방질의 분획정량과 이화학적 특성 (Quant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Seed Lipids)

  • 이선화;김종범;강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본 연구는 포도씨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식용유지 자원 등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포도씨의 전체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10.1%, 조단백질 11.7%, 조지방질 29.7%, 조회분 2.53%, 및 총 당 4.38 ${\mu}g/mg$, 환원당 3.96 ${\mu}g/mg$ 등의 평균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렌산이 가장 많아 평균 66.1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을레인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놀레닉산은 아주 적은 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85.4%, 당지방질은 6.50%, 그리고 인지방질은 8.0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포도씨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의 주성분에 인지방질과 당지방질이 소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포도씨 조지방질의 평균 검화가는 187.5을 나타내 들깨 기름 보다는 낮고 참깨 기름 보다는 높은 검화가를 나타내었다. 포도씨 기름의 항산화력이 참깨 또는 들깨씨 기름보다 우수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DPH) 환원 능력에 있어서 각각 12 및 50%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과 페놀 함량에 있어서 참깨유 또는 들깨유보다도 많은 량을 함유하고 있다. 암흑 또는 햇빛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포도씨 기름이 참깨나 들깨 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당히 높은 산화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150^{\circ}C$ 열처리를 가한 다음 산패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포도씨 기름은 이들보다도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산화 안정성은 포도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잎 첨가 쌀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tevia rebaudiana Leaf)

  • 김다솔;신지훈;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1호
    • /
    • pp.14-2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recipe of rice cookies with two different amounts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grape seed oil,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In addition, mixing conditions of rice cookies were optimized by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SM was used to obtain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two replicates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Grape seed oil), and the formulation of Stevia rebaudiana leaf added rice cookies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spread factor, loss rate, leavening rate, sweetness, moisture, pH, and density (P<0.001),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flavor, taste, texture, appearance, and overall quality (P<0.05). As a results, optimal sensory ratio was found to be 1.98 g of Stevia rebaudiana leaf and 37.94 g of Grape seed oil.

오미자씨에서 추출된 유지의 성분 및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Ingredients of Oil Extrac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Seed)

  • 류일환;권태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and its active ingredients.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content extracted with hexane was 36.06%.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extracted with hexane was purified during 20 min at $85^{\circ}C$ with phosphoric acid 0.15% for degumming and 20 min at $80^{\circ}C$ with 3 M NaOH 1% for deaciding. The purified oil consisted of unsaturated fatty acid (88.7%), fatty acid (9.97%), and so on. The major unsaturated fatty acids of purified oil were linoleic acid (71.1%) followed by oleic acid (15.7%), while the main saturated fatty acid was palmitic acid (6.56%). The purified oil was found that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vitamin A, and E were 1.45 g/100 g, 1494.86 RE/100 g, and 0.58 mg ${\alpha}$-TE/100 g, respectively.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91.7%) as compared to grape seed oil and canola seed oil with 87.4% and 85.1% in the DPPH assays.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Schizandra chinensis seed oil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bioactive source for health and preventing numerous diseases.

Mirepoix Au Maigre 함량 수준에 따른 포도씨유 드레싱의 수용도 변화 (Changes in Preference for Grape Seed Oil Dressing according to Mirepoix au Maigre Content Level)

  • 유승석;서민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5-69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cellent salad dressing using grape seed oil, which contains high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First, a vinaigrette was made with grape seed oil and vinegar and divided into five portions. Then, five types of mirepoix au maigre ($M_1,M_2,M_3,M_4,M_5$) were made with apple, onion, carrot, garlic, tomato puree, and tomato ketchup by mixing in a main material vessel. The samples were then allowed to ripen for three days. The control group $M_1$ was named $GD_1$, and the experimental groups $M_2,\;M_3,\;M_4,\;and\;M_5$ were named $GD_2,\;GD_3,\;GD_4,\;and\;GD_5$. respectively. To measure receptiveness,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using a 7 point category scale. The test concentrated on flavor, taste, color, agreeability,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panel consisted of 15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GD_4$ had the best flavor, color and agreeability. The samples with the most preferred taste and aftertaste were $GD_4\;and\;GD_5$. Between $GD_4\;and\;GD_5$,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in taste, aftertaste, or overall acceptability, but differences in color and agreeability did exist. Thus, $GD_4$ proved to be the most favorable product. To determine the best complementing vegetables for $GD_4$ yam($VE_1$), broccoli sprouts($VE_2$), mustard leaves($VE_3$), beet leaves($VE_4$), cucumber($VE_5$), and lettuce(VE6)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Each vegetable has its own peculiar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VE_2$ had the nicest vegetable fragrance recording the highest mean value. The vegetable with the most preferred taste, aftertaste, and agreeability were $VE_2\;and\;VE_6$. $VE_1\;and\;VE_6$ had the nicest color and contained the brightest color as well.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was awarded to $VE_2\;and\;VE_6$ an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orn at a level of 0.05. In conclusion, $VE_2\;and\;VE_6$ were the best complementing vegetables with grape seed oil dressing. However, to commercialize such a dressing, many follow-up studies must be conducted.